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 설계 - 방법 및 효과 -

A Design of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for the Struggling Readers: Methods and Effect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3, pp.157-180
https://doi.org/10.4275/KSLIS.2012.46.3.157
김수연 (인천재능대학교)
강정아 (제천기적의도서관)

초록

이 연구는 생각과 경험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읽기 체험 활동을 통해 읽기부진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설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연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교수설계의 ADDIE모형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하여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Kolb의 나선형 체험학습 단계를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의 장면에 적용하였다. 체험의 과정을 통하여 정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의 증대 → 구체화 → 명료화의 흐름을 제공하였다. 둘째,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대상자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전체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고, 하위요인별로 학업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사회적 환경과 독서 환경 즉, 적절한 독서프로그램이 도서관에서 제공되고 이를 제도화시켜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 읽기부진아의 독서태도를 신장시켜 독서습관을 형성하고, 독서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체험형 독서프로그램, 읽기부진, 자아존중감, 그림책, 독서프로그램 설계,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The Struggling Readers, The Self-Esteem, Picture Books,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The Struggling Readers, The Self-Esteem, Picture Books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ign and apply an experienced-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for the struggling readers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and to analyze and verify how this program influences their self-esteem. The final objects of this study are 53 struggling readers who are 1-4th graders in 8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e specific goals are set up as follows: First,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ADDIE teaching design model and Kolb’s experience learning cycle are planned and developed to improve reading abilities and self-esteem of the struggling readers. Second, it also aimed to clarify how the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nfluence the struggling readers’ self-esteem in affective ones. As a result, this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s effective on improving the struggling readers' self-esteem, generally. Although the degree of improvement is different from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overall scores of self-esteem are raised.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s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ruggling readers. And it is also needed to produce a research manual to get the same test condition that prescribes the methods of pre-test and post-test.

keywords
체험형 독서프로그램, 읽기부진, 자아존중감, 그림책, 독서프로그램 설계,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The Struggling Readers, The Self-Esteem, Picture Books,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The Struggling Readers, The Self-Esteem, Picture Books

참고문헌

1.

고종숙. 2006. 『읽기 학습부진아를 위한 독서지도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2003. 『학습장애 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3.

김봉순, 최명환. 2005. 읽기 부진의 진단과 지도. 『공주교대논총』, 42(1): 91-106.

4.

김유미. 2003. 『읽기 부진의 양상과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5.

김유미. 2006. 읽기 부진학생의 읽기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70: 1-33.

6.

김연중. 2009.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교육연구논총』, 30(2):1-22.

7.

김인경. 2005. 『독서치료가 읽기부진아의 독해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8.

김효정 외. 1999.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올바른 독서지도 이렇게 하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9.

박성익. 1986. 『학습부진아교육』.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배옥선. 2007.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서나라.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국어교육학사전』. 서울: 대교출판.

13.

신현경. 2001. 『너의 그림에 대해 말해주겠니?』. 서울: 청년사.

14.

엄훈. 2006.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교육인류학연구』, 9(1): 57-97.

15.

우혜경. 2007. 『교정적 읽기 전략을 통한 독서 부진아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6.

이경화. 2004. 읽기 부진아 지도 방법 연구. 『청람어문교육』, 29: 191-217.

17.

이경화. 2007.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5: 157-178.

18.

이상금, 장영희. 2001. 『유아문학론』. 서울: 교문사.

19.

이선옥. 2002. 『읽기 학습 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독서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

이연숙. 2005.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이영아, 최숙기. 2011.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교육연구: 북미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O 2011-10.

22.

이영주. 2008.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독서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23.

이정이. 2004. 『독서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이지혜. 2002.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5.

이칭찬, 이의길. 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태영출판사.

26.

임성관. 2004. 『읽기 부진아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7.

임정화. 1997. 『읽기 부진의 상관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8.

정윤혜 외 10인. 2010. 『그림책을 읽는 특별한 시간: 읽기 부진아를 위한 독서성장 프로그램』. [대구]: 교육과학기술부, 대구광역시 교육청.

29.

천경록. 2005. 국어과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국어교육』, 117: 327-352.

30.

최동선. 2008. 직업세계 체험 주간 운영의 실태와 과제. 『제26차 한국진로교육학회 춘계학슬대회자료집: 새정부의 진로교육 추진계획과 전략』. [서울: 서울대학교].

31.

허승희. 2000. 우리나라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과제. 『초등교육연구』, 14(1): 129-144.

32.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33.

Gest, S. D., Freeman, N. R., Domitrovich, C. E., & Welsh, J. A. 2004. “Shared 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age comprehension skill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discipline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 319-336.

34.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nglewood Cliff, NJ: Prentice Hall.

35.

Jordan, G. E., Snow, C. E., & Porsche, M. V. 2000. “Project EASE: The effect of a family literacy project on kindergarten students' early 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5: 524-546.

36.

Wade, B., & Moore, M. 2000. “A sure start with books.” Early Years, 20(Spring): 39-46.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