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 관련 정보를 개념화하고 풍부하게 조직할 수 있는 패싯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식 분야의 학문적인 흐름과 동향, 핵심적인 개념을 파악하여 한식 분야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였고 한식 관련 국내서 776권의 목차 데이터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디렉터리에서 한식 관련 항목명, 총 23,470건을 수집․분석하였다. 수집된 용어를 범주화하여 공통 속성을 도출하고, 기본 패싯 및 하위 패싯을 정의하였으며, 패싯 간에 계층 구조, 기본 열거 순서와 기호화를 결정하였다. 한식에 관한 16개의 기본 패싯과 85개의 하위 패싯과 함께 패싯의 인용 순서를 ‘음식 종류’를 중심으로 재료, 에너지, 공간, 시간 순으로 조합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한식 정보 조직과 검색의 효율화를 가져올 것이며, 패싯 분석을 통한 주제 분야별 분류체계 모형 개발의 기초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ceted classification that enables the conceptual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Korean food information. 23,470 terms were collected, categorized, and analyzed from the table of contents in 776 monographs and directory headings in portal sites related to Korean food.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food classification, common propertie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erms. Then basic facets and subfacets were defined and assigned, and hierarchies among facets and concepts, citation orders, and notations were decided. As a result, the classification scheme consisted of 16 basic facets and 85 subfacets. The citation order of facets was proposed in order of Personality facet (kinds of dishes), Matter facet (materials, cooking utensils/equipment/containers, and nutrients), Energy facet (cooking processes and techniques, eating sense, type of cooking, table services, and agents of cooking), Space facet (countries/ethnic groups/geography, and eating places), Time facet (situation/purposes, season, time of meals, periods, and ag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organizing, searching, retrieving, and providing Korean food information effectively around the world. Also, it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subject-oriented classification using facet analysis in other disciplines.
강인희. 1987. ..韓國의 맛...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정현, 강명수. 2008. KDC 제4판 식품영양학 분야의 수정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171-188.
도태현. 1998. 열거식 계층분류체계에 분석합성식 기법의 도입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29: 241-272.
박옥남, 오삼균, 김세영. 2009.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197-219.
박지영. 2010. 시소러스를 연계한 문학류 패싯 분류체계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77-89.
박지영, 김태수. 2004. 다차원 시소러스 구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지식처리연구.., 5(1/2): 1-33.
..서울신문.., 2013. 초라하게 막내린 MB정부 한식 세계화 … 2막은?, 1월 4일.
오동근, 황일원. 2003. Shakespeare 관련자료 분류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217-237.
유영준. 2006. 고전 용어 시소러스의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415-434.
유영준. 2008. 신학 용어 분류를 위한 패싯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259-279.
이미화, 정연경. 2010.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17-137.
이민아. 2008. 한식의 세계화 전략. ..식품과학과 산업.., 41(4): 2-15.
이승민. 2010. 시소러스 통합을 위한 개념기반 패싯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269-290.
정연경, 최윤경. 2010.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43-57.
정연경, 최윤경. 2011. 한식 분야의 듀이십진분류법 수정 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29-49.
정해성. 1996. 열거식 분류표가 지향하는 조합식 분류에 관한 고찰. ..도서관학논집.., 24: 449-484.
정해성. 1999. DDC의 패싯구조에 대한 연구: 생명과학과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3): 53-96.
정해성. 2003. 문학류를 위한 새로운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2): 273-296.
정해성. 2005. KDC의 조합식 분류체계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133-153.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십진분류법...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식재단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2.10.18]. <http://www.hansik.org>.
Bliss, Henry E., Broughton, V., Lang, V., & Mills, J. 1977. Bliss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London: Butterworths.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2005.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London: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Broughton, V., & Slavic, A. 2007. “Building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the humanities: Principles and procedures.” Journal of Documentation, 63(5): 727-754.
Dewey, Melvil. 201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23rd. edition).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Fensel, Dieter, Handler, J., Lieberman, H., & Wahlster, W. 2003. Spinning the Semantic Web: Bringing the World Wide Web to Its Full Potential. Cambridge: MIT Press.
Giess, M. D., Wild, P. J., & McMahon, C. A. 2008. “The generation of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s for use in the organisation of engineering design docu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8(5): 379-390.
Hunter, Eric J. 2009. Classification made simple. Farnham, Surrey: Ashgate.
Menard, E., Mas, S., & Alberts, I. 2010. “Faceted classification for museum artefacts: A methodology to support web site development of large cultural organizations.” Aslib Proceedings: New Information Perspectives, 62(4-5): 523-532.
Nasir Uddin, M., & Janecek, P. 2007. “Faceted classification in web information architecture: A framework for using semantic web tools.” Electronic Library, 25(2): 219-233.
Ranganathan, S. R. 196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New York: Asia Publishing House.
Spiteri, L. 1998. “Simplified Model for Facet Analysis.”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3: 1-30.
Vickery, B. C. 1960. Faceted classification: a guide to construction and use of special schemes. London: Asl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