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테마 컬렉션이 가지는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에 주목하여 이의 기능과 특성을 분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테마 컬렉션의 등장 배경을 도서관 자원 조직의 문제와 북 큐레이션 서비스 도입에 관한 논의를 통해 파악하였고, 도서관의 테마 컬렉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목적을 밝혔다. 또한, 테마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들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구체적인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분류와 범주화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로서의 기능 및 특성을 다른 지식조직체계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의 효용과 활용성을 제시하여 향후 도서관의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논의에 기반으로 삼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use of the theme collection as a new classific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interest of users in terms of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of the theme collec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library resource organiz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uration service of bookstore. In addition, based on case analysis, which is building the theme collection, concret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me collection are deriv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themes collection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s a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with other categories relatively. Finally, the ut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theme collection is presented and it is based on the discussions about th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of the library in the future.
김경아. 2017. 큐레이션의 시대, 사서로 산다는 것. 오늘의 도서관, 249, 10-11. 2017년 1-2월호.
박양하. 2016. 학교도서관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도서추천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79-303.
박영숙. 2014. 이용자를 왕처럼 모시진 않겠습니다. 서울: 일마.
백지원. 2010. 주제어 기반 분류에 관한 연구: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179-201.
백지원. 2012.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 정립 및 발전 방안: 발전과정 및 기능 분석을통하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5-24.
백지원. 2013. 주제어기반 분류의 특성 분석: 범주화 및 분류체계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57-79.
사사키 도시나오. 2012. 큐레이션의 시대. 서울: 민음사.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평생학습관 사서추천도서포털. 2018. [online] [cited 2018. 4. 17.]<http://lib.sen.go.kr/books/index.do>
안정희. 2015. 책 읽고 싶어지는 도서관 디스플레이. 경기도도서관총서 13.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online] [cited 2018. 2. 21.]<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3344fabd94516dfc9bab726d1688df94.pdf>
이아영. 2018. 강남구립도서관 북큐레이션 사례. 한국도서관협회 독서문화위원회. 사서 중심의 도서관 북 큐레이션 워크숍 자료집: 13-24.
이은정, 김기영. 2017. 학교도서관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독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4(1), 73-110.
정유라, 이지연. 2017. 공공도서관의 테마전시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및 이용행태변화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4(2), 27-45.
하바 요시타카. 2016. 책 따위 안 읽어도 좋지만: 세계적 북 디렉터의 책과 서가 이야기. 서울:더난.
Baker, S. L. 1986. The Display Phenomenon: An Exploration into Factors causing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Displayed Books. Library Quarterly, 56(3), 237-257.
Camacho, L., Spackman, A. and Cluff, D.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2), 114-124.
Dutta, D. N. 1961. Display of Books in The Library. Journal of Library Science, 4, 5-8.
Hjørland, B. 2017. Subject (of Documents). Knowledge Organization, 44(1), 55-64.
Martínez-Ávila, D., Segundo, R. S. and Olson, H. A. 2014. The Use of BISAC in Libraries as New Cases of Reader-Interest Classifica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2, 137-155.
Martinez-Avila, D. and Kipp, M. 2014. Implications of the Adoption of BISAC for Classifying Library Collections. Knowledge Organization, 41(5), 377-392.
Martinez-Avila, D. 2015. Reader-interest Classifications: Local Classifications or Global Industry Interest?. Global and Local Knowledge Organization One-day conference in Copenhagen on August 12, 2015.
Rosenbaum, S. C. 2011. Curation Nation: How to Win in a World where Consumers Are Creators.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스티븐 로젠바움 지음; 이시은 옮김. 서울:명진.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