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학술지 평가에서도 인용지수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학술지 평가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학술지 인용 영향력 지수 JIF에서는 학술논문이 발행된 당해 연도에 즉시 인용된 횟수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통시적 영향력 지수 IMP는 논문이 발행된 당해년도의 인용 횟수를 포함하지만, 평가시기 직전년도의 논문을 평가하지 못하고 몇 해 전에 출간된 논문에 대한 평가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지수로 총 영향력 지수 TIF와 평균 영향력 지수 MIF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수를 KCI 데이터에 실험적으로 적용해본 결과, TIF가 당해년도의 인용을 포함하면서 연차별 안정성이 높아서 특히 국내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의 다면적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ortance of citation measures has been increasing in the evaluation of scholarly journals and it becomes a major issue for Korean Citation Index (KCI) journals. The Journal Impact Factor (JIF), a widely used measure for academic journals, has a problematic issue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number of citations for a paper immediately made in the year in which the cited paper was published. On the contrary, the Diachronous Impact Factor (IMP) includes the number of citations made in the published year, but IMP is a measure for papers published a few years ago, not in the last year. It does not represent the recent value of journals effectively. To overcome these problems, Total Impact Factor (TIF) and Mean Impact Factor (MIF) are proposed as new journal citation indicators. This study calculate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indicators experimentally on KCI data. The result shows that TIF is a promising measure for the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journals in Korea because it has high stability by year and includes the immediate citations of the published year.
고영만, 박지영. 2012. 한국 학술지 평가를 위한 KCI 기반 복합지표의 지수 값과 질적․양적 평가요소사이의 연관성 및 학술지 등재 상태 구별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245-260.
고영만, 조수련, 박지영. 2013. 학술지의 피인용횟수 순위를 적용한 tapered h-지수의 변형지표 Kor-hT"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111-131.
김판준, 이재윤. 2010. 학술지 영향력 측정을 위한 h-지수의 응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1), 269-287.
송재도, 조은성. 2011. 국내외 마케팅 학술지의 영향력: Kor-Factor와 Impact Factor의 문제점을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6(2), 53-82.
오세희. 2012. 학술지 평가제도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495-509.
이재윤. 2014. 통시적 저널 영향력 지수에 대한 고찰. 제21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년 8월 21일, 서울: 중앙대학교: 3-6.
이재윤. 2016. 공저자 수를 고려한 h-지수 산출. 정보관리학회지, 33(3), 7-29.
이재윤. 2017. 연구성과 평가를 위한 g-지수의 변형 지수 제안. 정보관리학회지, 34(3), 209-228.
이춘실. 2002. 한국 의학학술지 인용지표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1), 27-41.
최은주, 양기덕, 이혜경. 2016. Quality Factor: 교수연구업적평가를 위한 새로운 계량 지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2), 287-304.
한국연구재단. 2018. 2018년도 학술지평가 계속평가 신청요강. 대전: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 [online] [cited 2018. 8. 10.] <https://www.kci.go.kr/>
한상완, 박홍석. 1999. 국내 학술지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2), 89-118.
Donner, P. 2018. Effect of Publication Month on Citation Impact. Journal of Informetrics, 12(1), 330-343.
Garfield, E. 1972. Citation Analysis as a Tool in Journal Evaluation. Science, 178, 471-479.
Google. 2018. Google Scholar Top Publications in Korean. [online] [cited 2018. 11. 1.]<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view_op=top_venues&hl=en&vq=ko>
Haustein, S. 2012. Multidimensional Journal Evaluation: Analyzing Scientific Periodicals beyond the Impact Factor. Berlin: De Gruyter/Saur.
Ingwersen, P. et al. 2001. The Publication-Citation Matrix and Its Derived Quantities.Chinese Science Bulletin, 46(6), 524-528.
Leydesdorff, L. 2012. Alternatives to the Journal Impact Factor: I3 and the Top-10% (or Top-25%) of the Most-Highly Cited Papers. Scientometrics, 92(2), 355-365.
Plume, A., and Colledge, L. 2016. New Metrics Will Make Journal Assessment More Complete and Transparent. Elsevier Connect, (December 8, 2016). [online] [cited 2018. 8. 10.]<https://www.elsevier.com/connect/new-metrics-will-make-journal-evaluation-easier-and-more-transparent>
Rousseau, R. and Leydesdorff, L. 2011. Simple Arithmetic versus Intuitive Understanding:The Case of the Impact Factor. ISSI Newsletter, 7(1),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