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하 한국대학생들의 독서율이 점차 저하되고 있다. 독서부진의 제반 요인을 여러 부분에서 진단, 고찰하고, 독서저해요인을 추출함으로써 독서생활을 조장하고 독서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독서철학 확립을 위한 논의를 정리하고, 또한 대학생 독서부진 해결을 위한 교육제도적 방안으로서 독서학점부과제도 또는 독서인증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solution of the problem that have made university students poor readings. What is the factors in make poor progress in reading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for correcting and improving the poor reading of university students. Especially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ading philosophy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at is the presentation of reading certification and the credit system of reading in educational system and in reading guidance.
이 논문에서는 인도의 최대주인 Tamil Nadu의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조직구조에 대해 개관하고 공공도서관의 성장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1975년부터 2006년에 걸친 기간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자원에 대한 통계데이터와 연차보고서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Public Library System in Tamil Nadu, the first state in the Indian Republic, and brings out the growth of public libraries in Tamil Nadu after the approval of the library reorganization committee recommendations. Appraises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Library System in Tamil Nadu from 1975 to 2006. An analysis has been made about the nature and adequacy of the existing resources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in the state of Tamil Nadu,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data relating to public libraries and their use collected from the annual administration reports of the Directorate of Public Libraries, Government of Tamil Nadu. Based on the analysis and observationsa few suggestions are give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ystem and services in India general and Tamil Nadu in particular.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센터와 게이트웨이로서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개인과 집단에게 평생학습, 문화활동, 정보해득력 등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당위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평생학습활동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지향성을 모색하였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은 핵심역량과 평생학습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정보해득력을 제고시키는 프로그램을 개설하며, 특히 소외계층인 장애인과 노령자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평생학습프로그램을 개발제공해야 한다.
The public library is the local centre of information, the gateway to knowledge. Based on these identities, the public libraries should provide a basic condition for lifelong learning, cultural activities, and information literacy skills of the individual and social group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it's directions in Korea. The lifelong learning of public libraries for the future needs to focus on a closer connection with library core competences, supporting information literacy, reducing and bridging the digital divid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aged.
본 연구는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LMS) 자격제도의 구성과 발전, 자격요건, 명칭, 교육 프로그램, 배치규정 등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SLMS의 자격요건은 주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중요한 요건은 교사자격과 문헌정보학 석사학위이다. 자격명칭 역시 주에 따라 다양하지만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Library Media Specialist가 가장 일반적이다. 자격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 교육청, 준비교육기관(대학), 전문직 단체가 있으며, 전국 교사교육 인가위원회인 NCATE가 ALA와 함께 교육프로그램 인가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SLMS의 배치는 주 교육청 또는 지역 교육기관 인가단체에서 규정하는데 2002년 현재 19개 주가 규정을 갖고 있으며 늘어나는 추세이다. 6개의 지역 인가단체 중 3개 단체는 아주 명확한 규정을 확립하고 있다. 분야별 수석교사 평가제도인 NBPTS와 최근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의 위상을 위협하는 '65% 해법'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s the state of the art of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LMS)'s cert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content includes development of the SLMS certificati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titles, preparatory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accredited by ALA and NCATE, personnel standards and regulations of states. The basic certification requirements are teacher certification and/or MLIS(MLS), but varying from state to state. Personnel standards are regulated by the Education Department of states, otherwise regional associations of colleges and schools. Nineteen states have the standards and three regional associations among six have very specified ones. The paper also analyzes NBPTS for Library Media and discussions on ‘65% Solution' which is an education reform movement affecting school library seriously.
이 글은 지금까지 한국 사회학에서 탈식민성 담론, 특히 ‘미국 사회학’의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를 개괄한 다음, 이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한국사회학>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학술논문 213편과 여기에 실린 10,172편의 참고문헌을 대상으로 연도별저자 최종학위 취득 국별저자 직업별논문 대상별저자 전공 영역별 인용문헌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사회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상당히 국외문헌 지향적이며, 문제 관심은 국내문헌에서 이끌어내고 있지만 이론적 자원은 거의 국외문헌에 의존하고 있었다. 2) 국외에서 학위를 취득한 연구자의 국외문헌 인용율이 크게 높게 나타나 최종학위 취득국과 외국문헌 인용율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한국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조차 국외문헌 인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학은 대외 의존성을 탈피하지 못한 상태였으며, 학문적 재생산 방식이 국내의 문제관심을 외국이론에 적용해 보는 전형적인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made as part of an attempt to explore the citation dependency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213 articles by 136 authors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by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issued in 2001~2005 were surveyed and their 10,172 references were analyzed.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1) Researchers in this field are fairly foreign literature oriented, and problem interest(sources of research ideas) was deriving from domestic literature, but theoretical resources was depending on foreign literature almost. 2) The foreign citation dependency of ‘Foreign Doctor' appeared greatly higher than that of ‘Domestic Doctor', therefore, the country of doctor' degree and the citation dependency was close correlation. 3) Foreign citation dependency appeared high even research to Korea society.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독서교육 내용체계를 비교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독서 교과의 교육과정은 물론 미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독서 관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영역, 45개 요소의 독서교육 내용(요소)을 1차적으로 설정하였다. 초중등학교 현장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1차적으로 설정한 독서교육의 범위(요소)에 대한 타당성과 지도하기에 적합한 학교 급별 수준을 조사한 후 최종적으로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ontents(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 the contents of reading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merican and Japan. Basing on the comparative and analyzed results, It has established a scope for reading education, 10 area and 45 elements. It survey reliability against established a scope and sequence(suitable school year) with 52 teacher librarian in Korea. It proposed the contents(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with final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3년간의 추진 실적을 조사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현황조사, 학교도서관 인식조사, 집단면담이 사용되었다. 연구는 앞으로 학교도서관이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보이는 4가지 요인, 즉 학교도서관 운영시간, 프로그램, 장서, 이용률을 선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설치 혹은 리모델링으로 인하여 이용자들의 학교도서관 활용도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이 미국의 학교도서관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과로 발전해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도서관장서와 전담 전문인력은 아직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ree-year results and impact of a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chool library surveys, questionnaires, and group interviews. The analyses particularly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library schedules, programs, collections and uses on the school library's academic achievements.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chool library uses and the recognition of their importanc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school library establishment and remodelling and that school libraries could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s shown by studies of the U.S. school libraries. Due to the lack of library collections and professionals, however, it is desired to carry out a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의 연구 지원 봉사의 문제점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도서관의 연구 기능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도서관 봉사의 요건, 그리고 연구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증명하려는 것은 정보 기술을 포함하는 연구 환경은 빠른 속도로 변하지만 도서관 환경은 이에 비례하여 변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우리 대학도서관 봉사요건의 변화와 봉사의 현황을 미국과 영국의 변화 및 현황과 비교하였다. 비교의 결과를 근거로 대학도서관의 문제점들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problems in the services for research of academ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research functions of academic libraries and the requirements for them are identified. The hypothesis to be verified is that the service environments of academic libraries have not been coping properly with the changing needs of research activities. The statistics on budgets, staff and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It is concluded that the environments of academic libraries have not met the changing needs of research environments. Based on the conclusion, some suggestions are provided.
본 연구는 이용자 교육을 받아 본적이 없는 학부 신입생들의 대학도서관 사이트에 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는 한성대학교 학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자료수집과정에서 식별된 인식은 도서관 홈페이지의 부분별 기능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불확신성, 어려움, 혼란, 의문점 등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결과는 도서관 사이트 이용과 관련, 신입생들의 부족한 관련지식 및 탐색기술과 더불어, 시스템 상의 미흡한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 점을 토대로 이용자 교육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freshmen students on the use of a university library site. The students were in the beginning month of their undergraduate program in Hansung University without being taught a formal library instruction session. The results show users experienced uncertainty, difficultly, confusion and anxiety while they were interacting with various functions of the library sit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users' perceptions were originated from: (1) the insufficiency of th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library use and (2) the inadequacy of the library system features, in particular its interface featur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to improve library instructional services and system interfaces are suggested.
KORMARC 형식은 지금까지 서지정보용, 전거통제용, 소장정보용으로 크게 3가지 종류의 형식이 개발되었으며, 이 가운데 서지정보용은 다시 매체별로 단행본용, 연속간행물용, 비도서자료용, 고서용으로 각각 발간되어 있어 도서관현장에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KORMARC 형식 가운데 서지정보용이 매체별로 각각 발간되어 있었지만 하나의 통합서지용으로 발간하게 된 경위와 KORMARC 형식의 구체적인 통합내용을 개략적으로 분석하며, 또한 통합을 하였지만 여전히 잔존하고 있는 KORMARC 형식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비롯하여 입력원칙의 미비, 필드의 반복 여부 등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ORMARC formats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ype of materials at different times. The format was firstly developed and soon after with formats for serials, audiovisual materials, archival and manuscript materials. Although all of the forma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s, there were same inconsistencies among them. However, there are solved above problems as integrating KORMARC bibliographic formats. First of all, the result was better than we had expected both unified cataloging rules and standard of a descriptive form as accepted KCR4. This study is to roughly analyze integrating process, integrating contents, and problems of KORMARC forma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 추진 속에서 대학도서관의 발전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경영난과 구조개혁에 따른 대학도서관 경영의 변화 추이를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안사항 및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선진국 대학도서관의 발전전략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중장기 발전 계획 및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rategies for development which could help academic libraries expand and strengthen their significances in the midst of structural innovations for universiti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trend in changes in academic libraries affected by financial difficulties and structural reforms in universities is analyzed, and major issues and challenges that academic libraries have currently faced are investigated. Also, reviewed are strategies that major academic libraries in advanced countries have built, and it is suggested how to establish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medium-and long-term plan for improving academic libraries, which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government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의 고객만족지수를 측정하는데 있다. NDSL 정보시스템에 맞는 이용자만족지수 모형을 제안하고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도구인 LISREL을 통해 인과적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차원별로 서로 다른 이용자 만족지수 산출 방법을 수립하고 수립된 산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of NDSL. we propose new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for NDSL and verify the new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LISREL. We also build new measurement method for customer satisfaction index by different dimension and measure diver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ccording to different calculation method.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 기능이 날로 확장되고 있는 상태에서 평생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당위성을 공공도서관과 평생교육의 관계를 통해 논거를 제시하였다. 이 논거를 기반으로 해외 및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생교육의 추세와 경향을 교육의 내용, 대상, 연계, 기반시설 등을 고찰해봄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에서의 평생교육체제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In these days, the public library role for the lifelong education is getting enlarger. Thus the study suggested the ground of argument for the necessity that the public library should be in charge of the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library and the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is argument, the tendency or trend of the lifelong education, which has been performed overseas and domestically, was researched in the aspects of content, object, connection, basic facility and etc. As the result, th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the library was suggested.
전자학술지의 급격한 도입에도 불구하고 인쇄학술지의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하지만 국내의 해외인쇄학술지 보유량은 상당히 미미하며 그나마 도서관간 중복이 심한 것으로 나타난다. 국내 미보유 외국인쇄학술지의 체계적인 수집과 공유를 위해서 정부 지원의 외국학술지 지원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연구 역량이 갖춰진 대학의 도서관에 설치되는 지원센터는 해당 학문 분야의 외국학술지를 전문적으로 조사하여 확보하며 이를 기반한 전국적인 공유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역량이 증대될 뿐 아니라 국가 차원의 학술정보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Despite the rapid adoption of electronic journals, the need for print journals still remains. The current level of foreign journals acquisition poses a threat to strengthening the national research capabilities. Furthermore, there is too much overlap among academic libraries for foreign journals.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funded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s to systematically acquire and distribute foreign print journals. We discuss specific approaches to selecting and operating such centers.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national scholarly information infrastructure as well as the academic libraries' core capabilities.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들은 도서관계의 의사와는 달리 어떤 계획을 실행하는 수가 많다. 공공도서관 명칭변경, 민간위탁 운영, 도서관 정책담당 부서의 폐지 등이 그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시점을 우리는 위기상황이라고 판단하고 그 대처방안으로 성명서, 건의서 또는 공한을 발표하거나 관련기관에 전달하고 있다. 우리가 발표하는 항의문에는 어떤 논리로 그것에 대한 부당성을 지적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정부기관은 어떤 계기로 도서관계의 염원과는 거리가 먼 도서관 발전 저해행위를 하는지도 검토한다. 그리고 도서관계는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어떤 논의가 있는지도 알아본다. 연구자들의 연구주제나 도서관계 여러 조직단체들의 활동은 위기상황에 대하여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지도 살펴보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librarians' proclamations, recommendations and official letters stated on the library issues. Library issues included contracting out, outsourcing and name changes of public library. Th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se issues was also analyzed and the research papers were studied to find out solutions of the issues.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활성화의 한 방안으로 대표적인 기관 리포지토리로 알려진 dCollection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평가 기준으로는 유용성, 유효성 등의 다섯 가지 기준을 이용하였고, 평가자로는 기관 리포지토리 담당 사서(30명) 및 제출자(30명) 그룹들을 활용하였다. 분석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대학 환경에서의 기관 리포지토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 방안은 시스템의 관리, 제출 및 검색 모듈의 핵심 화면들을 중심으로 해당 화면에서의 구조적 및 시각적 디자인, 기능, 접근성에서의 문제점들을 예시하고, 그 해결책들을 제안하였다.
To improve the dCollection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usability tests of the dCollection system are needed to find out whether submitters or IR managers are satisfied with the system or not. For the usability evaluations, we used sixty participants, thirty for its management module and thirty for its submit and retrieval modules and for its test constructed the five evaluation indicators including architectural/visual clarity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s, some improvements in terms of supportiveness, usefulness and visual clarit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도서관 장기발전계획에 대한 점검과 평가를 통하여 도서관에서 전략적 계획수립이 갖는 의미를 재인식하고, 나아가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수립사례에 대한 집중적인 탐구와 분석을 통하여 타산지석의 교훈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SMART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B대학교 학술정보관 장기발전계획에 명시된 비전, 사명, 핵심전략, 실행계획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실성, 시간계획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비전은 Be the Smart Library, 사명은 Initiative User, Intelligent Environment, Informative Content, 핵심전략은 이용자정보소양 강화, 24x7서비스 실현, 주제별조직 활성화, 5A(Any time, where, service, device, network) 실현, Broadbanding LPR(Library Public Relations), Intelligent 건물구축, E-자원 확충, 정보자원수집과 관리의 경제성 확보, U-library 구현이다. 둘째, SMART 평가결과,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비전은 3.80, 사명은 3.97, 핵심전략은 3.74, 실행계획은 3.64이다. 셋째, B대학교 학술정보관 장기발전계획의 구체성은 4.06, 측정가능성은 3.72, 달성가능성은 3.68, 적실성은 3.90, 시간계획성은 3.58이다. 넷째,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장기발전계획을 종합평가한 결과, 발전계획 구성 요소에서는 사명이 가장 우수한 반면, 실행계획에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SMART 평가 요소에서는 구체성이 가장 우수한 반면, 시간계획성에는 문제가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ision, mission, strategies, and action plans from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B University’s library, and specificity, measurability, achievability, relevance, and time-frame were measured and evaluated for each with SMART metho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ly, SMART evaluation result for the B University’s library was 3.80 for the vision, 3.97 for the mission, 3.74 for strategies, and 3.64 for action plans. Secondly, specificity of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B University’s library was 4.06, measurability was 3.72, achievability was 3.68, relevance was 3.90, and time-frame was 3.58. Thirdly,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B University’s library showed that among components from the development plan, the mission was the most superior while action plans had problems. Fourthly, in SMART evaluation factors, specificity was the most superior while time-frame had problems such that i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권과 관련하여 도서관 운영자들의 올바른 정보구축과 이용자들의 정당한 이용을 유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원문정보서비스나 상호대차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32개의 국내 의과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작권과 관련된 내용을 웹사이트에 나타낸 도서관은 9개 대학(28%)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고, 사용용어는 ‘저작권법’(4개(44.4%))이나 ‘저작권’(3개(33.3%))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위치는 공지사항 및 도서관 안내와 이용안내 메뉴 아래 위치하고 있었다. 저작권과 관련된 세부영역은 자료복사와전송, 원문 DB이용, 국내외학위논문서비스, FAX/파일전송, Image(Ariel), 해외상호대차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작권과 관련된 도서관의 올바른 인식과 이용자의 정당한 이용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a librarian to construct databases lawfully and the user with a copyright and the fair use. Based on information from web sites, the domestic medical libraries(32) were investigated for analyzing how to deal with copyright problems. The results show that only 28% of the medical libraries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on copyright at their web site. The terminology used was different among libraries. 44.4% of the libraries use ‘copyright law' and 33.3% ‘copyright'. The terminology appeared at the ‘notice' menu and ‘library guidance' menu. The detail part of copyright contents was shown at ‘the data copy and transmission', ‘full text DB use', ‘thesis and dissertation service', ‘FAX/file transfer', ‘Image(Ariel)', and ‘interlibrary loan'. In general, there was a necessity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pyright and fair use.
근자에 들어 편목업무의 일부 혹은 전체를 외부의 업체에 위탁하는 행태가 관종을 막론하고 도서관계 전체에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이 연구는 편목업무의 아웃소싱을 통해 우리가 얻는 것과 잃는 것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편목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사서들과 도서관경영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실무 사서의 육성을 통해 그들의 시각에서 본 편목업무 아웃소싱의 득과 실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about practices of cataloging outsourcing implemented in Korea libraries. To the end, this study examined (1) how many libraries is carrying out the cataloging outsourcing, (2) why libraries consider cataloging outsourcing, (3) methods and procedures of cataloging outsourcing and (4)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ataloging outsourcing from catalogers' perspectives. The data needed for discussion were collected by two methods: a survey with 138 public libraries and an in-depth interviews with 10 catalogers drawn from the survey participa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요인이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직무요인을 크게 직무특성, 직무만족, 직무관여, 직무성과 네 가지로 나누고 조직몰입도를 정서적, 유지적, 규범적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직무요인 네 가지 요인에 따른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조직몰입 정도를 유형별로 알아보고, 요인별 관계 및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level of effect the job factor ha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librarians. To do this, I have divided the job factors in to four categories; Job specification,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Job performance, and classifi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o three categories; affective, continuance, normative and examin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librarians for each classification, and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for each factors and their importance.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도시 저소득계층의 일상적 생활세계를 ‘정보’를 매개로 조망하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기초적인 설문조사와 질적 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부산지역 A, B, C지역 저소득계층이 지니고 있는 일상적 정보요구와 정보행태를 면밀하게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이 당면해 있는 정보빈곤의 실태와 이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제반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정보빈곤 현상과 정보행태의 소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도시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노년층, 농어촌 지역 주민, 장애인 등 소외계층의 정보세계에 노정된 소외의 양상을 밝히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도시 저소득층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행태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 일상적 관심사의 유형과 대처 방식, (2) 일상적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청하는 대상, (3) 일상의 영위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그들이 이용하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 등의 범주를 다루었다.
This study intends to portray the everyday lives of the urban poor in Busan metro area, especially in terms of the information perspective. Employing basic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ools such as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study attempts to illustrate such phenomena as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s, and to scrutinize the reasons of particular behaviors in information seeking and gathering.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 and information-related behavior of the urban poor; types of everyday concerns and ways to cope with such concerns; types of the help providers;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channels of everyday inform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The role that interpersonal sources play in their everyday lives, has been emphasized in reality of their information environment along with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related behaviors includ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information seeking.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를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31개의 현행 국내 어린이도서관 각 웹사이트의 메뉴를 통해 컨텐츠 구성, 구조 및 레이블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메뉴를 통해 정보내용에 따른 컨텐츠 구성요소를 15개의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컨텐츠 구조 및 레이블 분석대상을 이용자의 정보이용 판단에 일차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인메뉴와 1차 서브메뉴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효율적인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어린이도서관의 목적과 기능에 준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구성된 컨텐츠는 적절한 구조와 표준화된 레이블을 통해 제공해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menu, and labeling system to support the functions of children's library websites as an access tool to its contents. As a result, the main menu structure consisted of 15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provided by 31 existing children's websites. Second, first-level categories consisted of total 57 categories under 15 main menu categ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in children's website design should consider the goals and function of children's library. Also the study implied that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site should use consistent and standardized menu structure and lab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