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용자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토착적 시각에서 진단하면서 우리 도서관 환경에 적합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도입부에서는 도서관서비스로서 이용자교육이 갖는 의미를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면서 우리 도서관계의 용어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어, 우리 도서관계에서 시행하고 있는 이용자교육을 미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과 비교하면서 그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는데, 특히, 양국의 도서관계가 이용자교육을 담당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반과 실무 기술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으며, 현재의 문헌정보 교육시스템이 그러한 능력을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이용자교육을 우리 도서관계의 주요 서비스로 건강하게 정착시키려면 우리 도서관 현장과 문헌정보 강단이 어떠한 전략과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user education in Korean libraries,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o establish user education as a library service. To the end, the main focus of discussion is on identifying both current situation and special features in user education of Korean libraries, as compared to those of the U.S. libraries. Also followed is a comparative discussion on the formal education systems to educate instruction librarians and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to train instruction librarians between Korea and the U.S. The final suggestion is given regarding the obligations that Korean LIS scholars, professional library associations, and individual librarians should fulfill to establish user education as a healthy library service,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library situations.
사서교사가 독서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독서에 관한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학생들의 독서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독서 플로우 유형을 분류하고, 독서 플로우 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제안하였다. 독서 플로우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서 4개의 연구모형(워너, 던과 던, MBTI, flow 구성모형)을 설정하고, 각 모형을 AMOS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입하여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연구모형 중 flow 구성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flow 구성 모형을 바탕으로 독서 플로우 유형을 분류하고, 독서 플로우 유형 검사를 위한 도구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독서 플로우 유형은 4차원 16가지의 세부 유형으로 구성되고 있고, 검사도구는 4개 영역, 28개 문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위해 수집한 1,836개의 데이터를 재사용하였다.
Successful reading instruction of teacher librarian should be to identify the read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Nevertheless, there are insufficient tools for to identify the reading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propose the reading flow type classification and test instruments reading flow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verify the reading flow type, this study established 4 temporary model(Warner, Dunn & Dunn, MBTI, flow construction), conformed using AMO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most fit model of 4 temporary model were conformed flow construction. Test instruments for reading flow was developed based on conformed flow construction. Suggested reading flow type classification consist of 16 styles in four dimensions. Reading flow test instruments consist of 28 item styles in four dimensions. The data for this study re-used 1,836 students questionary for prior paper of this researcher.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S어린이도서관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사회, 문화, 경제적 영향력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이용 통계 분석을 하였고, 타도서관 대비 효율성 비교 분석, 그리고 설문지를 통한 이용자 평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조사의 결과로 얻어낸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S어린이도서관의 서비스 수준을 확인하였고, 지역사회에서의 어린이도서관의 역할과 존재적 의미를 파악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인식을 통한 S어린이도서관의 지역사회에서의 경제적 기여도에 대한 측정을 함으로써 S어린이도서관의 가치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This work investigated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impacts of the services that S Children's Library provides to local community and its resident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user statistics by using Korean Library Automation System III, practic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libraries over circulation efficiency, and reviewed the user's evaluation through user survey. The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lue of S Children's Library by verifying the service status of S Children's Library based on the analyzed data, assess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hildren's library within the community, and measuring the economical contribution through user evaluation.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공과 실패는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달려 있다. 그것은 공공도서관의 직원이 운영과 서비스 제공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우수한 직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제기구, 주요 선진국, 한국의 공공도서관 직원기준과 지침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후속연구인 최적 배치기준 제시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ublic library system depends up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human resources. It means that public library’s staff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the operation and delivery of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service to the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excellent staff to make effective use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library and to meet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se the staf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public librarie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IFLA/ UNESCO, ISO), major developed countries(USA, UK, Canada, Australia, Taiwan, Japan), and Korea.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ovide a valuabl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ationale for the future research.
장애인들은 오랫동안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소외되어 왔다.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해소라는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자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야 할 것이며, 장애유형별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를 창출하고 그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 및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보건복지부 장애인 통계 및 실태조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장애인의 장애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o achiev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all by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librarians have to think of them in new ways, and be knowledgeable about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nd how to best assist the patron. And public libraries must provide them with services designed by types of dis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sabled people by types of disability and proposed the directions to develop of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ies.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실태와 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수준-사서교사 학교, 사서교사는 없으나 이용 활성화 학교, 비활성화 학교-에 따라 효과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용실태로는 학교생활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차지하는 비중, 이용빈도, 도서관의 유익성, 이용 목적, 도서관활용수업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학생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7개 영역 38문항으로 조사하였다. 7개 영역 전체의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24이며 실태조사와 인지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이 독서활동에서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수준별로 효과 인지도의 평균을 비교하면 사서교사 학교 3.37, 활성화 학교 3.20, 그리고 비활성화 학교 3.16이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수준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의 지표가 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school libraries' educational impact, two different surveys were conducted. One examined students' school library use in general, including the frequency, purpose, and effect of their library us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library in their campus life. The other examined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 of the benefit of the school library to determine if any differences exist among the following three levels: 1) libraries staffed with a dedicated teacher librarian, 2) libraries without a dedicated teacher librarian but active, and 3) libraries without a dedicated teacher librarian and inactive. The questionnaire to survey student's perception had 38 statements. The surveys on student's library use and their perceptions indicated that school libraries benefit the students' reading activities the most. The overall mean of the perception was 3.24(in 5 scales).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levels of school library conditions: the mean for libraries with a teacher librarian scored highest at 3.37, libraries without a teacher librarian but active scored second highest at 3.20, and libraries without a teacher librarian and inactive scored lowest at 3.16. The levels of school library condition suggested direct links to the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s.
인터넷과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오늘날 한국 대학도서관은 사서감축이나 혹은 이용자 감소 등으로 인하여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화과정에 많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기업의 변화관리에 관한 문헌들을 참조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대학도서관은 사서들이 공감하는 위기의식을 이끌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들에 의해 비전제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비전은 단순히 제시되는 것보다 이를 실천해야 한다.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서 관리자와 영향력 있는 일반 사서들이 리더십을 공유하는 것이 현 시점의 대학도서관에서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본다. 나아가 사서들을 위한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이 필요할 때이다.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re facing a crisis because of decline of users and librarian reduction from internet development and digital media. To solve this problem, author referred to the literatures on change management of company. Because there are many accumulat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bout company chang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lead the sympathetic sense of crisis by all university librarians. The vision should be made by all librarians’ agreement. But the vision practice is more important than developing. In order to practice the vision, it is more useful to share the leadership with general manager and influential librarians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Furthermore, systematic leadership training for librarians is needed than ever.
이 글은 장서문제를 중심으로 지적자유의 의의를 고찰하고 관련 사례를 일별하여 도서관 장서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최근 여러 사례를 통해 지적자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나라에서의 관련 논의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보서비스 현장에서 관찰되는 지적자유의 의의와 사례들을 바탕으로 지적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다양한 측면들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자유 즉, 사상과 표현의 자유의 개념, 공권력에 의한 정보독점과 정보통제의 문제, 그리고 이에 대한 접근권을 요구하는 알권리의 개념 등 제도적 장치와 도서관계의 노력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대 정보사회에 있어서 지적자유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관련 문건과 정책문서 등을 통해 세계적 흐름에서 지적자유의 문제를 조망하고 우리 도서관계에 암시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portray the issues of intellectual freedom that confront librarians in developing collections in libraries. It is observed that the issue has hardly been drawn attention in Korea while, from various cases, concerns about intellectual freedom have been increased in many countries. Situated i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surveys various aspects of endeavors to protect intellectual freedom in information service settings. It is also stressed how such issues as free access to information, freedom to know, information barriers in public sectors, and freedom of expression are addressed in library world. Emphasis was also put on the meaning of intellectual freedom as viewed through some policy documents and guidelines in other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방법으로써 교육실습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으로 사전교육, 실습프로그램, 지도교사, 실습환경, 실습기관의 조직적 분위기를 선정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모형에서는 사서교사의 주요 전문성 신장경로인 대학교육과정, 교육실습, 현장경험 및 자기계발이 역할인식과 직무수행 역량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습프로그램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신장경로 중 교육실습은 직무수행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은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과정으로써 실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육실습의 효과적 전개방안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제고,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사전준비, 지도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and to identify how much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affects their expertise in Korea. For this, two research models are constructed. The first model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between the effect of practice teaching and the following variables: pretraining, practice program, advisory teacher, training condition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The second model is to analyze how much the practice teaching affects their role perception and expertise compared with training courses and field experiences. The result is as follow: It is the training program that greatly affects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among those variables. And the practice teach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the practice teaching is effective in developing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And more systematic practice teaching program, enough pretraining and the efforts of advisory teacher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본 연구는 정보서비스측면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문제점을 다루어봄으로써 교육의 전문성과 현장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32개 대학의 2005년과 2009년의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미국의 현황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문헌정보학의 경우, 개론 및 원론위주의 교과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간 제공 교과목의 수에 차이가 많았으며, 도서관 현장에 대한 이해 및 관찰, 그리고 참여가 이루어지는 교과목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교과목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용자와 주제에 대한 이해 및 서비스를 위한 과정의 제공과 도서관 현장과의 연계방안을 통한 실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교육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의 확충과 대학별 특화도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make the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ore professional and more practical by going through the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aspect of ‘reference service'.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um changes of 32 domestic universities offer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etween 2005 and 2009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 The research has revealed some problems. First of all, it shows that the subjec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or the theo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ill comprise a large portion of the domestic curriculum. Additionally, there seems to be much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ubjects between the universities. Lastly, there are few subjects which consist of the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ibrary field, and participation therein. Therefore, to operate the ‘reference service' curriculum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offer courses for understanding the users and subjects and for the reference ser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actical education through a close connection with the library field. Finally, it is urgent not only to expand the subjects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user education and communication but also to make the curriculum of each university specialized.
이 연구는 도서관에서 간접적이고 기술적인 업무로 여겨지는 ‘자료조직' 영역을 중심으로 우리 교육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이기 위한 기초 작업이자 이 영역의 교육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발제로서의 목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전국의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 중 자료조직 교과목의 비중과 교육의 주요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어, 우리 학문의 원조가 되어 온 미국의 문헌정보학계에서 진행되어온 자료조직 영역의 교육목표와 기본방향, 그리고 내용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살펴보면서 자료조직과 관련한 우리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논의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는 기존의 국내외 연구는 물론이고, 전국 32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과 강의개요, 그리고 북미의 주요 문헌정보대학원의 교육목표와 내용 등을 활용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Korea's LIS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in detail. Emphasis was on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um in Korea's LIS school and on discussing facing problems and new directions in the education of the field. To the end, this study collected and examined exhaustively the course contents and instruction of the related courses in 32 Korea's LIS schools, and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LIS education, especially information organization's education. In addition, American LIS education was analyzed to compare with Korea'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IS school education should emerged from excessive emphasis on practical skills and concentrate on the philosophy, principles and the implicit value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이 연구는 일본의 대표적인 주제명표목표인 NDLSH 2008년판에 수록된 한국과 중국 관련 주제명을 추출하여 표목의 수와 주제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관련 주제명은 표목과 참조어를 포함하여 총 222개로, 중국 관련 주제명에 비해 33% 수준이며, 주제의 다양성이나 특정성 측면에서도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현존하지 않는 ‘朝鮮’의 국호를 한국의 국가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이나 ‘渤海’를 중국의 역사로 배정한 점 등은 조속한 개정이 요구된다. 한편, 중국 관련 주제명에는 다민족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대민족명, 소수민족의 거주 지역명, 그리고 소수민족의 언어 등 한국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주제명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This study selected Korea and China-related subject headings among all names contained in Japan 2008 Version of NDLSH,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number of headings and the features according to each theme.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Korea-related subject headings is 222 including its headings and referent words. At comparing with China-related subject headings, the number of Korea-related subject headings was very small size, and shows many limits in terms of the variety or the specificity of themes. Especially, the facts that ‘Joseon', which is not existed any longer, is used as Korea's nation name, or that Balhae's history is assigned into Chinese history are required to be corrected quickly. Meanwhile, in the China-related subject headings field, multi-racial nation's features are reflected, and are contained many theme names like ancient racial names, each minority's residental area name and its native language which are rarely appeared in Korean theme names field.
최근 우리사회의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함께 민간단체 등에서 비롯된 다국어/다문화자료의 구비와 다국어/다문화 정보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공공도서관으로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다국어/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들은 국가 도서관 정책단위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등)로부터 정책, 예산, 기술적 지원을 풍부하게 얻지 못한 상황에서 개별적으로 자료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개약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들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다국어/다문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전국적 차원에서 국내 도서관들의 다국어/다문화 서비스의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국어/다문화 서비스와 관련된 국가적 차원의 도서관 정책 뿐만 아니라 다국어/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개별 도서관들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ationwide status of the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library services in Korea. To do this, a survey aimed at the public libraries,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al bodies that provided library services with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materials was conducted. Also, 15 librarians and the persons in charge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not only regarding national library policies but also regarding public libraries providing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o local use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도서관 운영 여부와 독서에 적합한 환경구성이 제대로 조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도서관을 활용한 독서교육 및 인식에 대한 조사를 위해 설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도서관과 담당사서가 필요한 이유는 ‘유아들의 독서교육을 위해서’, ‘도서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순으로 분석되었고, 효율적인 독서교육을 위하여 필요한 점으로 ‘전문지식을 가진 인력체계 구축’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operate libraries and find out if those environments are suitable for reading, and to investigate on educations on reading by utilizing libraries and how it's perceived by surveying and analyz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higher rate of institutions with active libraries and as for the reasons for needing an assigned libraria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to educate young children for reading' an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books'. Points of necessity for the efficient reading education was found to be ‘establishing of staff system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인 네이버 통합 검색의 클릭 집중 문서의 특징을 조사, 분석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클릭 집중 문서들을 대상으로 클릭 집중 비율,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를 조사하고, 문서의 적합도, 최신성, 신뢰도 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들이 입력한 통합 검색 질의들로 구성된 질의 로그와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에서 이용자들이 조회한 문서를 기록한 클릭 로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클릭 집중 문서가 가장 많이 발생한 컬렉션은 블로그였으며, 질의별로 클릭의 절반가량이 한 문서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릭 집중 문서의 적합도와 최신성은 상당히 높지만, 신뢰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 및 인터페이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most clicked documents of Naver's universal search service.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most clicked documents such as click ratio, collection distribution, and yearly distribution. Also, clicked docume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relevance, credibility, and currency. In conducting this study, query logs and click logs of unified search servic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clicks occurred in blog collection and average click concentration rate reached almost 50%. Also, the relevance and currency of most clicked documents were quite high, but credibility of these documents were on averag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the portal's effective development of searching algorithm and interface.
This study presents the publication of books by Guam LeeJung who is a Confucian scholar and a public official in 16th century. He played important roles in editing, correcting, and publishing of 20 books, of which 3 books were edited and published by him; 4 books corrected and published ; and 12 books published. His works were helped by contemporary scholars and officials such as LeeWhang, NamgungChim, KimChungkap, and KimHong. All the books are related with Confucian studies except one book, and they were published in the period from 1554 and 1566 when he serve as the head of counties, Sungju(성주), Kyungju(경주), and Sunchun(순천). The publication record of one book is unclear, and all others were printed with woodblocks.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일환으로 일부 대학도서관에서 과제 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과제 작성 교육은 대학생들이 과제 작성을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 즉, 주제선정, 정보 유형 및 소재 파악, 정보검색,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표절 유형 그리고 과제 작성 구성 체재(표지․목차․본문구성)에 관한 교육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교육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제 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교육시기, 교육방법, 교육자, 교육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도서관에서는 정보 유형 및 소재 파악과 정보검색 부분에 많은 치중을 두고 있었으며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특히 표절 관련 교육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그리고 주제선정과 과제 작성 구성 체재 교육은 실시하지 않는 도서관도 있었다. 교육방법에도 개선점이 필요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그리고 앞으로 교육을 실시하게 될 대학도서관에 효율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ome academic libraries have paper writing education as par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aper writing educa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tents; choice of subject, information type an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citation and bibliography writing, plagiarism type and(a front) cover․table of contents writing. This study investigated paper writing education of the academic libraries that have it. Upon investigation, the academic libraries put a high importance on information type, location and retrieval. On the other hand, they lacked of the education on citation and bibliography writing, especially plagiarism. And some of the academic libraries had not the education on a choice of subject and(a front) cover․a table of contents writing.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was required. This study finding will give effective material to the academic libraries having education and will have education.
방대한 이용자 기반을 지닌 인터넷 검색 포털인 구글은 도서검색(Book Search)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글은 도서검색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정보자원의 확보를 위해 출판계 및 도서관계와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출판계와는 출판사가 저작권을 보유한 도서의 이용을 목적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도서관계와는 도서관이 소장한 장서의 디지털화 및 디지털로 변환한 자료의 활용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구글도서검색 서비스는 방대한 이용자 규모에 기반을 두는 구글의 영향력에 따른 독점의 위험성과 독점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논란을 빚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글도서검색과 관련하여 도서관계가 취해야 할 대응방안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Google, an internet search service with extensive user base, has provided Book Search service. Google has pursued collaboration with publishers and libraries to obtain content for Book Search service; publisher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sourcing the books with copyrights, and the libraries for the purpose of digitizing their collections and also utilizing already digitized resources. Google Book Search Service has evoked significant controversy because of the potential monopoly problems and its risk, accompanied by Google's huge influence and broad user spectrum. This study, thus, suggests the countermeasures that library community should prepare in order to cope with the Google Book Search.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 경영에서 마케팅 개념을 도입할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어린이서비스 중 ‘가족장소도서관’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었다. ‘가족장소도서관’은 영․유아와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2011년 2월 현재 미국 공공도서관 중 300여개 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뉴욕주를 중심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주요 사례 도서관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여 이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고, 미국 여러 주의 도서관 내외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경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Public libraries face various changes and challenges in the knowledge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marketing' concept into th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is increasing. This study focuses on ‘Family Place Library' program among the children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Family Place Library' is the library program for the youngest children and families, which has been spread over 300 public libraries of USA until February, 2011. The researcher di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t the libraries which are the main cases for ‘Family Place Libraries' in New York, USA. And the researcher analysed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did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professionals in and out of libraries over many states of US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