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b is rich with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that go beyond the contents of documents, such as hyperlinks and manually classified directories of Web documents such as Yahoo. This research extends past fusion IR studies, which have repeatedly shown that combining multiple sources of evidence (i.e. fusion) can improve retrieval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mbining three distinct retrieval approaches for Web IR: the text-based approach that leverages document texts, the link-based approach that leverages hyperlinks, and the classification-based approach that leverages Yahoo categories. Retrieval results of text-, link-, and classification-based methods were combined using variations of the linear combination formula to produce fusion results, which were compared to individual retrieval results using traditional retrieval evaluation metrics. Fusion results were also examined to ascertain the significance of overlap (i.e. the number of systems that retrieve a document) in fusion. The analysis of results suggests that the solution spaces of text-, link-, and classification-based retrieval methods are diverse enough for fusion to be beneficial while reveal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fusion environment, such as effects of system parameters and relationship between overlap, document ranking and relevance.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설립·운영모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설립·운영환경인 도서관의 시도별 및 설립주체별 현황, 권역별 및 연도별 수장공간의 부족률, 공동보존서고의 입지조건과 후보지 평가기준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권역별 공동보존서고 설립·운영을 위한 지향성과 기본원칙, 공동보존서고가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과 업무, 수장방식별(고정서가시스템, 밀집배가시스템, 자동서고시스템) 수장공간 규모 및 연면적 산출, 이관할 자료의 기준 및 소유권 귀속모형, 바람직한 관리운영 주체와 조직체계를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s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academic libraries by reg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author analyzed the status of academic libraries by provinces and types, the collection space shortage of academic libraries, loc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of collaborative repository.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uthor proposed the basic principles, key functions and practices to accomplish, architectural scales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ies, transfer criteria and ownership model of library collection, desir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uni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 분야별 가이드를 개발하고 관련 정보원 구축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며, 이를 기반으로 시범적으로 정책정보원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책분야 주제별 가이드 개발 및 구축을 위하여 첫째, 수집된 정보자료의 유형을 상위 9개로, 세부 유형을 총 19개로 구분하였다. 둘째, 정부기능분류체계인 BRM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주제별 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구축하였고, BRM 서비스 주제 단계는 3단계, 총 133개 세부 주제 분야로 가이드 구축범위를 확정하였다. 셋째, 133개 BRM 주제분야별로 개발된 주제가이드에 따라 총 6,305건의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책분야 주제가이드는 실험적 데이터 구축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eveloped the subject guide by policy areas for advancement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 designed the system for constructing the policy-related resources, and tried to construct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on a trial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policy areas subject guide, first, we divided the aggregated materials into top 9 types, and subdivided into 19 types. Second, we constructed the policy contents for subject guide service, based on BRM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Third, a total of 6,305 were build in accordance with 133 BRM subject guide. As a result, it is sai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ubject guide developed by this study, were verified by constructing the experimental data.
본 연구는 통합서지용 KORMARC으로의 효과적인 DB 변환과 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서강대학교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합서지용 KORMARC 표준이 제정된 이래 많은 도서관에서 새로운 표준에 맞추어 서지 DB를 변환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은 KERIS 변환기와 같은 공공 기관의 변환기를 통하여 변환하지 않고 시스템 벤더를 별도 선정, 자체 변환을 시도하였다. 자체 변환은 자관 서지 DB의 오류 수정이나 데이터 보완 기능을 변환기에 상당부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 데이터 보정의 인력적 여력이 없는 기관에 유리하다. 아울러 전체 DB를 여러 번 변환하지 않고 샘플링 변환을 반복함으로써 변환의 안전성과 시간적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thod of effective DB conversion and related system development for the integrated KORMARC Format on the basis of the case of Sogang University Library. Since the integrated KORMARC bibliographic format was established, libraries have been converting bibliographic DB according to the new format. Loyola Library of Sogang University internally proceeded DB conversion using bibliographic DB convertor, which was developed and customized with a system vendor for Sogang University Library. The internal conversion enabled to correct or supplement bibliographic data errors. Besides, it enhanced stability of conversion and shortened the project time by adopting sampling conversion method. It was effective to reduce the additional work for DB quality maintenance, so this kind of conversion is recommendable to the library that has limited manpower for manual data corre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절차와 과정, 그리고 주요 고려사항들을 분석하여 적절한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역 도서관정책의 허브이자 지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 지역 도서관․정보정책을 총괄하고 중앙정부와의 협력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지식정보인프라 역할을 하는 지역 대표도서관의 건립은 꼭 필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을 사례로 하여 시민 모두가 자유롭게 어우러지는 신개념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대표도서관 건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가늠하고, 향후 지역에서 대표도서관을 건립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기능과 역할, 그리고 건축계획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propose a construction plan for a new main library in a metropolitan city. The case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is the new library of Busan. Library Law revised in 2007 requires each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o designate a public library as the representative regional main library or to build a new one. The city of Busan has been enthusiastic to build a new main library that can serve as a representative public library for the citizen. This new public library will serve as a community center, an intellectual archive, and the policy hub for the regional information services. In this paper, the strategy for the new Busan central metropolitan library will be discussed. It will strive to illustrate elements to be considered for the planning of a regional central library as other citied and provinces may refer to for their own regional central libraries.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비롯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계에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독서치료 방법도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독서치료 영역에서는 단순하고 획일적인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진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독서치료에 적합한 심리평가도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독서치료에서 심리평가도구는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에 앞서 독서치료사가 치료 대상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자료 선정 및 관련 활동을 설계하는 기초가 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효과 측정을 위한 질적 심리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면담과 행동평가, 종합 평가 보고서 양식을 개발하고, 실제 독서치료 프로그램 장면에 적용한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Public libraries and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s departments at Korean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application of a variety of bibliotherapy methods. Bibliotherapy serves as a therapy to understand a client and participants basic material sources and the effects of that particular treatment (necessary for program verification of psychological tools utilized). Its design is based both on literature selection and employed activities tools. Currently, bibliotherapy has been used mainly as a method to understand and diagnose a client and participants using simple and uniform questions.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nd, possibly, additional assessment tools and report forms required for bibliotherapy evaluations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actual case scenario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is program and/or tools.
본 연구는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서진흥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독서문화진흥법」을 중심으로 국내 독서진흥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독서진흥 정책은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법, 캠페인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독서진흥에 기여정도, 여론지지 정도, 정책 시행의 현실성 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책의 대상이자 독서를 하는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가 교육적 도구가 아닌 즐거움의 도구라는 인식의 전환과 그러한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확인했다.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lternative policy guidelines and suggestions to enhance reading culture in the country. Analyzing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which is the keystone legal frame to promote readership in Korea, followed by major foreign policie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main policy areas including ‘Reading infrastructure’, ‘Tax support’, and ‘Public Campaign’.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of experts’ assessments of how much is the recognition of, contribution to, pubic support of, and actual applicability to the reading promotion for the readers. Through the survey along with the Focus Group Interviews of different age groups, this study could develop useful guidelines and suggestions to strengthen existing reading promotion polici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society should realize that reading is not just educational purpose but ‘enjoyment’ itself and for that matter, the government needs more careful and active public campaig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records related to Korea shown in the catalog of major 10 European university libra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most libraries apply subject headings of the national library, or go together with LCSH, and organize records in MARC 21 format rather than UNIMARC. Second, Korean materials usually Romanize Korean words, but three libraries are only marked with the original Korean language and available Korean search. Third, Korea-related records in most university libraries are very poor except for some libraries and are generally 2 times less than Japan related records. There are even 6 times less in 2 libraries. Forth, on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istribution in sub criteria of Korea-related records, subject related to ‘history’, ‘politics’, and ‘economy’ is largely shown in the highest rate. Fifth, Among the Korea-related subject heading, the terms such as ‘Taekwondo’, ‘Kimchi’, ‘Dokdo’, ‘Donghae’, ‘Duman-gang’, ‘Baekdu-san’ hav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libraries. However, these terms agree to LCSH in most libraries except for some libraries.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독서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환경 기반에서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 주요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심층적 검토와 분석을 통해 특장점을 모색한 후, 독서지도 분야 전문가들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의견수렴과 검증 작업을 거쳐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은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지도의 주요 기능 및 목적을 달성하고 이를 독서지도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6가지의 교육영역, 21가지의 교과목, 82가지의 교과내용으로 각각 구성되어 설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newly which can perform a reading instruction effectively in digital environment as the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the overall paradigm of reading.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was designed and proposed finally through deriving the implications over an study of the changes about reading paradigm in digital environment, searching the features and benefits over an in-dept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practices for training reading specialist, collecting the opinions and verification work over a Delphi survey of experts in the field of reading instruction. The finally developed curriculum consists of 6 kinds of training area, 21 kinds of subject and 82 kinds of training course content respectively to achieve the main function and purpose of the changed reading instruction in digital environment and in order to train reading specialist capable of applying properly them in reading instruc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마케팅 모형의 제안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활용된 방법론은 국내 문헌정보학자들의 도서관 마케팅관련 연구논문들에 대한 내용분석방법이다. 관련 연구논문들에 대하여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일반 비영리조직의 마케팅모형과 비교 분석하여 최종 도서관 마케팅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 도서관 마케팅모형의 구성요소는 첫째, ‘고객(도서관 이용자)’, 둘째, ‘내적 환경 변화’, 셋째, ‘외적 환경 변화’, 넷째, ‘도서관 마케팅 목표 설정’, 다섯째, ‘다양한 도서관 마케팅 전략’, 여섯째, ‘구체적 마케팅 실행계획의 수립’, 일곱째, ‘실행계획의 집행’, 여덟째, ‘평가’, 아홉째, ‘긍정적 평가 결과’, 열 번째, ‘부정적 평가 결과’, 열한 번째, ‘고객만족’, 열두 번째, ‘도서관 이용률 제고’, 열세 번째, ‘도서관의 긍정적 사회적 가치 확립’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library marketing model.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is research adopted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The research papers relating to the subject library marketing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In addition, the study result was revis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general nonprofit marketing process model. As a result, library marketing model was proposed. The final library marketing model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elements: 1)Customers(Library users), 2)Internal environmental changes, 3)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4)Set library marketing goals, 5)Various library marketing strategies, 6)Specific marketing strategy tactics, 7)Implementation of the tactics, 8)Evaluation, 9)Positive evaluation result, 10)Negative evaluation result, 11)Customer satisfaction, 12)Increased library usage rate. and 13)Establishment the positive social value of library.
이 연구는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독서태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음으로 도서관긍정성, 독서롤모델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의 경우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성격유형 간 평균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구조모형 분석 결과 성격유형이 독서태도 및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reading effectiveness and to structur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In consequence, reading attitude is the greatest factor that influences reading effectiveness, followed by library positivity and the reading role model. According to ANOVA, there is a difference in average between personality types, but PLS(Partial Least Squares) shows that personality types do not affect reading attitudes and reading effectiveness.
이 연구는 정보의 생산에서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 필요한 교육은 물론 관련현상을 연구하는 강력한 학문으로 정착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성격을 규명하기 쉽지 않은 문헌정보학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적 특수성과 수강경험이 문헌정보라는 용어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성별, 연령에 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였다. 둘째, 수강경험과 관련하여 수강경험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강경험의 횟수와 수강경험의 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개인적 특성 및 수강경험 등의 조건과 상관없이 응답자 대부분은 문헌정보라는 용어에 대한 의미를 문헌에 담긴 정보와 문헌에 대한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문헌정보학에서 의미하는 문헌정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문헌과 정보의 화학적 결합보다는 범위의 확장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또한 특수한 개인적 경험에 의해 다르게 이해되기도 하는 다의적 용어라는 점과 이에 대한 학문적 규명작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research started from bringing up a problem about special situa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not easy to investigate its academic characteristics, although it has settled down as a powerful science studying related phenomena as well as education required for the whole process from production of information to consumption of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questingly investigate whether the personal specialty and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affect recognition of the term ‘library and information’, and if so, through which channel it influences. In this background,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student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r this research, and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 results: first, as fo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not generat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but according to scholastic year the results were different; second, as for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there were not differenc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of the experience, but the results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ype of the experience; and third, most of the respondents surveyed understood the meaning of a term ‘library and information’ as the conception of cover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literature and information of it, regardles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term ‘library and information’ mean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s generally understood as expansion of range, rather than chemical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nformation, it is a terminology with various meanings sometimes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pecial personal experiences, and it also needs scientific investigation of it.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 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 experience of Pre-Service Librarian Teacher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This helps us understand the overall process and diverse environment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We conducted in 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who had recently experienced. and data analysis was undertaken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devised by Giorgi. The significance of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experiences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can be summarized in five categories as follows: ‘the formation of Pre-service Librarian teacher's awareness about library and librarian through growth process’, ‘concretization and Strategy Implementation about Career Planning’, ‘Self-growth Need through experience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Face reality about library and librarian’. These constituent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ime sequ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for improving the overall environment at Student Teaching Practice.
본 연구는 경기도 31개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편성과 운영형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도서관 행정조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본청에 직속으로 편성된 도서관 조직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사업소 등의 외청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또한 도서관 관련 조직이 도서관사업소 등의 독립적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타 업무나 조직 하에 배속되어 있는 경우가 매우 많았으며 셋째,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봉사대상 인구수나 도서관 직원 수, 도서관 수를 감안했을 때 이에 부합하지 않는 직급의 도서관 행정조직을 구성한 곳도 많았다. 넷째, 도서관 정책담당 부서의 설치가 미비하였다. 다섯째, 도서관 운영체제(중앙관-거점관-분관)가 효율적으로 구성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d model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ased on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s of libraries in 31 local governments of Gyeonggi province. With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ere are few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province with library-related organizations. Most of them had more organized position of extraordinary session than of affiliation with each local government. Also, library policy departments were incomplete, and local governments did not configure the library operating System(central library - base library - branch library) efficiently.
사서직의 전문성에 대한 고민은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육과정 및 자격제도의 개선을 통해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서직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과과정을 개편하고 전문성 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 사례에 주목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으려하였다. 첫째, 일본의 사서관련 자격제도와 교육제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일본의 도서관정보학 분야의 연구결과와 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정리하였다. 셋째, 이러한 연구결과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최근에 변화된 사서교육과정과 전문성 평가 제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장․단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worries of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ions have been long lasting and the debate of securing the expertise by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system as well.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on cases where Japanese' securing the expertise of profession through practicing specific and systematic movement b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implicating an expertise evaluation system. First, we analyzed the relevant qualifications for librarians and education system of Japan. Second, we organize the requirements of the Library and the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in Japan to secure expertise. Third,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site and the results, we have discus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y focusing on recent changes in the curriculums and expertise evaluation system.
본 연구는 복합용도건축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이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인프라 확충 방안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서울에 있는 112개 모든 공립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복합화 여부를 현장방문과 전화문의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도서관의 약 50%에 해당하는 55개 도서관이 복합건축물형이다. 복합용도건축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규모, 위치, 공간구성에 대해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더 많은 상업시설, 학교시설 그리고 관시설과의 복합화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within multi-use complex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expand infra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A survey on the complexation rat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was made through on-the-spot visits and telephone interviews. It turned out that out of all 112 public libraries in Seoul, 55 of them are in multi complex buildings. In order to efficiently establish public libraries to multi-use complex, absolute consideration on the size, location, and space should be made. Moreover, if necessary, additional complexation with commercial facilities, schools, and local government buildings should be made.
이 연구에서는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디스커버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합탐색도구로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근거하여, (1) 디스커버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개념 및 유형 등 디스커버리의 실체를 살펴보고, (2)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위한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3) 도출된 기준과 지표에 따라 디스커버리에서 제공하는 통합색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뒤, (4) 디스커버리의 도입에 앞서 우리 학계와 도서관계가 고민해야 할 과제와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EDS를 사용하는 P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371건의 표본 레코드를 추출한 뒤, 이를 대상으로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수행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into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Discovery, and to explore how to make full use of Discovery in library cataloging. To this end, first discussed is the meaning of Discovery, which has a variety definitions. For the quality evaluation, 5 criteria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hen this study conducted the quality evaluation on the basis of previously developed 5 criteria and usefulness of Discovery in library catalogs is thoroughly discussed. Based on these, the final discussion includes strategies for Korean LIS scholars and library practitioners to consider when applying Discovery as an integrated search tool.
본 연구는 최근 문헌정보학에 대두되고 있는 정보코먼스 및 러닝코먼스에 대한 개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일본 공공도서관의 러닝코먼스화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러닝코먼스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러닝코먼스화 분석을 위해 러닝코먼스의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정리해보고,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분석의 틀을 설계하고 일본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분석의 결과, 도서관이 정보의 도구에 의해 주도된 정보 코먼스를 넘어 본연의 학습기능으로 돌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러닝코먼스를 지향하는 공공도서관이 해야 할 미래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 and learning commons that has emerged in recent years, and point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cepts, as well as its implications for public libraries, which get lessons learned from learning commons at Japanese public libraries. To track its evolution to learning commons, the theoretical component of learning common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ference, a research framework for the case study of learning commons was developed. With IT technology diffusion, libraries have become information commons. However, the main mission of libraries should basically remain as learning. Because of this, libraries which function as information commons should go back to being learning commons, which are primarily places of learning. This research shows that libraries should stress its original basic mission which is learning, beyond being information commons in the Japanese library.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지명방법에 의해 가장 유능한 독서치료 전문가로 선정된 2인이 운영한 집단에 집단원으로 참여한 성인 14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경험을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집단독서치료의 변화경험과 과정을 밝힘으로써 집단독서치료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change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group bibliotherapy.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adults who were chosen by the best bibliotherapists through peer no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sor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provide a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f group bibliotherapy by exploring participants’ experiences in depth through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revealing the changes experienced and process of group bibliotherapy.
본 연구에서 부산대표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의 일부로 수행된 건립타당성 분석 중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대한 기초적인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비용편익 분석과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조건부가상가치법(CVM)을 활용하여 편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산대표도서관 건립부지를 중심지 또는 외곽지로 할 때의 값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지에 건립할 경우 부산대표도서관은 충분한 경제적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곽지에 건립할 경우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basic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Busan Central Library, which was included the construction feasibility analysis conducted as one part of the Busan Central Library Construction Master Pl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accomplished to do Benefit-Cost analysis, Net Present Value, Internal Rate of Return.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used for calculating the benefit; we investigated two CVMs for Busan Central Library, which are for central construction site and for outer construction sit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ion of Busan Central Library in the central site would be feasible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On the contrary, the construction in the outer site would not be feasible econom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