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구성 및 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Sense of Loss Scale for Korean Elderl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주된 정서의 하나인 상실감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상실감 척도(K-SSL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건강, 관계, 역할, 경제영역이 노년기 상실의 주요 영역임을 확인하고, 이들 영역에 속하는 101개 상실감 관련 1차 예비문항을 수집하였다. 다음, 전문가들의 평정을 통해 81개 2차 예비문항을 선정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56개 3차 예비문항을 선정한 후 다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 관계, 역할, 경제의 4요인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고 최종 31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끝으로, 최종 문항에 대한 수렴타당도와 변별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 졌다. K-SSLE의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우울, 스트레스 척도와는 정적상관을, 낙천주의 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고,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라 상실감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이 확인 되었다. 이로써 K-SSLE는 한국 노인들이 겪는 다양한 상실의 문제들과 관련된 감정 상태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만족할 만한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노인상실감, 한국노인의 상실감 영역, 척도개발, 타당도, The sense of loss for Korean elderly,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nse of Loss Scale for Korean Elderly (K-SSLE). The 101 items were cre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We selected the 81 items through the professional group and the 56 items from a survey. As a result, 31 items were determined in four constructs(physical, relationship, role, economic)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plit-half reliability were acceptabl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cale, stress scale and life orientation scale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K-SSLE. Based on this scale, the four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demographic variable. Overall, the results provide K-SSLE has adequat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has potential utility for researchers of the elderly.

keywords
노인상실감, 한국노인의 상실감 영역, 척도개발, 타당도, The sense of loss for Korean elderly,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참고문헌

1.

공수자, 한규석, 이은희 (2004). 한국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모형개발: 자존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건강, 9, 243-269.

2.

기백석 (1996).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35(2), 298-307.

3.

김기분, 이경호, 오혜경 (2001). 여성노인의 슬픔. 대한간호학회지, 31, 1021-1033.

4.

김만두, 한혜경 (1993).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학지사.

5.

김명자 (1982). 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0(3), 45-54.

6.

김미령 (2002). 스트레스이론의 비교 및 노인의 역할변화 연구에의 적용. 한국노년학회지, 22(2), 41-60.

7.

김미혜, 신경림 (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5(2), 35-52.

8.

김숙남 (1998). 여성의 자궁절제술 후 삶의 질 구조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승연 (2006). 배우자 사별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애순 (2006).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11.

김영범, 박준식 (2004).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24, 169-185.

12.

김정엽, 권복순 (2007). 노인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37, 111-130.

13.

김태현 (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14.

김태현 (2002). 고령화 사회의 노인과 생활환경. 생활과학논집, 6(1), 131-141.

15.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한국노년학회지, 19, 61-81.

16.

김후경, 이순철, 오주석 (2007). 고령자의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17-32.

17.

김현정, 오윤희, 오강섭, 서동우, 신영철, 정지영(2006), 긍정적 사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767-784.

18.

김형수 (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1), 159-172.

19.

네이버국어사전 (2008). 상실, 상실감. www.naver.com

20.

박선아 (1997). 노인정신질환자의 상실감회복을 위한 무용요법.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 71-89.

21.

박미정 (2007). 간호정보 제공이 자궁절제술 환자의 지식, 상실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상철 (1998).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전문적인 노인사회사업가의 역할.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2), 251-270.

23.

서현미, 유수정, 하양숙 (2001). 노인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1), 94-106.

24.

서형숙 (1994). 절단환자가 느끼는 상실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성태제 (1996).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양서원.

26.

성태제 (2002).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7.

성태제 (2007).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8.

손의성 (2006). 배우자 사별노인의 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신정원 (2002). 성향적 낙관주의와 기분상태가 만성 동통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엄한주 (2001). 요인분석 모형의 이해와 적용: 주성분모형과 공통요인모형의 방법론적 비교.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3(1), 101 -130.

31.

윤진 (1993). 성인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32.

윤현희 (1994). 남녀노인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심리적 적응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33.

윤훈, 이순철, 오주석 (2007). 고령자의 상실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1-15.

34.

이미라 (2005). 애도개념개발: 배우자 사별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성해 (1997). 한국의 노인문제 실태와 그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사회조사연구, 12, 85-104.

36.

이신숙, 이경주 (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 1-20.

37.

이철우 (2003). 한국노인의 생활불안. 한국학연구, 18, 38-67.

38.

이춘희 (1993). 남자노인의 역할활동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춘희, 옥선화 (1994). 남자노인의 역할활동과 생활만족도. 가족학회지, 6, 69-101.

40.

이혜원 (2004). 노인복지론. 서울: 유풍출판사.

41.

임인숙 (2000). 경제위기가 남편의 권위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4(4), 1105- 1127.

42.

전길양, 김정옥 (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43, 155-170.

43.

전길양, 송현애, 고선주, 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한국노년학회지, 20(1), 69-91.

44.

정미경 (2006). 노인을 위한 동년배 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선녀 (2006). 정서지능, 낙관주의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 은 (1994). 상배여성의 사회적응을 위한 심리사회적 접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최성재, 장인협 (1987).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48.

최순남 (1997). 한국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 출판부.

49.

통계청 (2006). 고령자 통계.

50.

한미숙 (2005). 자궁적출술을 받은 자궁암 환자의 상실감, 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한소영, 신희천 (2006).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17-835.

52.

허준수, 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7-35.

53.

홍상욱 (1997). 노인이 인지하는 노년기 역할과 만족도. 노인학 연구, 창간호, 영남대 노인학 연구소.

54.

홍성경 (1994). 정보적 지지가 항암요법을 받는 환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홍세희 (1999). 문항반응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1999년도 한국 임상심리학학회 3차 워크삽 자료집. 제주도.

56.

Ada, C. M. (2001).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3(3/4), 281-299.

57.

Bankoff, E. A. (1993).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widow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1, 827-839.

58.

Bulter, R. N., & Lewis, M. I. (1982). Aging and mental health(3rd.). St. louis: C. V. Mosby.

59.

Fedderly, M. D. (1993). How executives handle the loss of power at retire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t. Thomas.

60.

Gruendemann, B. J. (1981). Problem of Physical Self Loss, In Roy, C(Ed.),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129-209.

61.

Laditka, J. N., & Laditka, S. B. (2003). Increased hospitalization risk for recently windowed older women and protective effects of social contacts. Journal of Women & Aging, 15, 7-28.

62.

Lenon, B. W., Bengtson, V. L., & Perterson, J. A.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4), 511-523.

63.

Morgan, D. L. (1989). Adjusting to widowhood: Do social networks really make it easier? The Gerontologist, 29(1), 101-107.

64.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ow-Hill.

65.

Pett, M. A., Lackey, R. N., & Sullivan, J. J. (2003).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66.

Reitzes, D. C., Mutran, E., & Pope, H. (1991). Location and Well-being Among Retireed Men. Journal of Gerontology, 46, 195-203.

67.

Ryff, C. D., & singer, B. H. (2000). Interpersonal flourising: 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nium.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review, 4(1), 30-40.

68.

Scheier, M. F., & Carver, C. S. (1992).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2). 210-228.

69.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70.

Schuchter, S. R., & Zisook, S. (1993). The course of normal grief. In M. Stroebe, W. Stroebe, & R. O. Hansson(Eds.), Handbook of bereavemen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Susan, D. K., & Mary, D. B. (2008).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Grief in widow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1, 23-30.

72.

Wong, Paul T. P. (1989).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 30(3), 516-525.

73.

Worden, J. W. (1991).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A handbook for mental health practitioner(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