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소년의 위기 중복 유형 탐색: 서울, 인천지역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위기지원 청소년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Multiple Crisis Patterns among Adolesc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위기 중복 실태를 조사하여 인접한 위기 유형들을 밝혀 위기 청소년 선별 과정의 타당성을 제공하기 위한 경험적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위기청소년 세부유형을 표기한 점검목록을 구성하였다. 서울, 인천 지역에 소재한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청소년동반자, 위기상담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524명(남자 278명, 여자 2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위기요인 구분에 따라 연구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복합된 위기요인의 수와 복합율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에게 나타난 위기요인 발생의 양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다차원척도분석을 실시한 후 도출된 좌표에 위치한 개별 위기요인들의 좌표 값을 사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기요인들에 대한 근접성을 확인하고 유형화한 결과 청소년의 위기요인은 비행관련 위기요인과 비행 무관련 위기요인을 중심으로 하는 두 개 차원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이에 따라 6가지 위기 유형 군집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위기진행과정에 대한 기존 모델의 단계 내 위기 유형들에 대한 경험적 타당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존 모델이 고려하고 있는 않은 위기 항목들을 통합함으로서 위기 진행 모델을 확장하였다.

keywords
위기청소년, 위기 중복 유형, 다차원척도분석, 포지셔닝맵, youth at risk, multiple crisis pattern,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positioning map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multiple crisis occurrences among adolescences and identified the adjacent crisis factor to each crisis factor in order to advance crisis intervention. 524 adolescence cases(male: 278, female: 246) from Youth Counseling Support Centers in Seoul and Incheon were analyzed. They had received either youth companion(YC) services or crisis counseling. The number and the rate of multiple crisis occurrenc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counselors' crisis screening check-lists which were composed of 26 crisis factor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MDS) and clustering analysis and a positioning map illustrating distance among 26 crisis factors was elicited. The primary dimension was identified as delinquency related crisis vs. delinquency not related crisis. Crisis factors were clustered into 6 groups.

keywords
위기청소년, 위기 중복 유형, 다차원척도분석, 포지셔닝맵, youth at risk, multiple crisis pattern,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positioning map

참고문헌

1.

구본용 (2005). 위기(가능)청소년 지원모델 개발 연구, 지역사회위기청소년사회안정망 구축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79-80.

2.

김영희. 박영신, 김의철 (2004). 청소년의 일탈행동 무경험 집단과 경험집단의 환경, 심리, 행동 특성의 차이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3(2), 201-129.

3.

보건복지부 (2001). 의료기관을 방문한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리 조사. 보건복지부

4.

이봉주, 김동일, 정익중, 유순덕 (2008). 위기청소년개념정립 및 통계화 방안 연구. 국가청소년위원회.

5.

이창호, 김택호, 정찬석, 박재연 (2005). 특별지원청소년 지원방안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6.

정기선 (2000). 청소년 인터넷 사용의 심리사회적 영향. 인터넷과 청소년 학술 심포지움. 청소년보호위원회

7.

정지민 (1998). 학교폭력 피해-가해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주영아, 김동일 (2006).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이용자 특성분석 및 서비스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9.

청소년위원회 (2005). 청소년 복지지원법.

10.

Fraser, M. W., Richman, J. M., Galinsky, M. J. (1999). Risk, protection, and resilience: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work. Social Work Research, 23(3), 131-143.

11.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155-171.

12.

Kane, M., & Trochim, W. (2006).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California.

13.

McWhirter, J., McWhirter, B., McWhirter, E., & McWhirter, R. (2004). At-Risk Youth: A Comprehensive Response. Belmont. CA: rooks/ Cole-Thompson Learning.

14.

Rigby, K., & Slee, P. K. (1991). Bullying among Australian school children: Reported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victim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1(5), 615-62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