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 비행 아동의 인터넷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내담자는 모두 21명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11명, 비교집단이 10명이었다. 본 프로그램은 개인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1시간 30분씩 6회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중독, 사이버 비행행동, 사회적 관심, 자기격려 척도를 사전, 사후, 추후로 실시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인터넷 중독 점수 및 그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긍정적기대, 가상적대인관계지향성, 일탈행동, 내성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현실구분장애, 금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이버 비행행동 및 그 하위요인인 지위비행, 재산비행, 폭력비행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성비행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였다. 넷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기격려 및 그 하위요인인 인지, 행동, 정서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인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집단상담이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 비행행동을 줄이고 사회적 관심과 자기격려를 증가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일반화의 제한점 및 보완될 프로그램 내용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ternet addiction and cyber delinquent children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on internet addiction was evaluated. Twenty-on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11 subjects) or a control group(10 subjects) for six sessions.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 all subjects completed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Cyber-Delinquency Behaviors Scale, Social Interest Scale, and Self Encouragement Scale at three times (e.g., before the first session, after the last session, and two month follow-up). And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outcomes. Results showed that the Individual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reducing internet addiction and cyber delinquency behaviors as well as increasing social interest and self encouragement.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경찰철 (2010). 사이버범죄 범죄통계(연령별). http://www.police.go.kr/infodata/pds_07_totalpds _03_01.jsp#none
기채영, 신현숙, 홍경자 (2009).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기격려 및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117-133.
김미란 (2005). 아들러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목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미화 (2010). 아들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혜 (2006). 현실 치료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애진 (2010). 격려 중심의 학습 운영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력 및 자기격려에 미치는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심 (2007). 인터넷 활용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2002). 인터넷중독 예방 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김춘경 (2004). 상담과 심리치료-Adler 개인심리학의 통합적 접근. 서울: 학지사.
노안영, 강만철, 오익수, 김광운, 송현종, 강영신, 오명자 (2005). Adler 상담이론과 실제.서울: 학지사.
노안영, 정 민 (2007).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75-692.
라민오 (2001). 충동성, 인터넷 중독 경향과 청소년의 사이버 관련 비행의 관계. 강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리학 (2008).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서울여대 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문옥 (2007). 초등학생의 정보통신 윤리의식과사이버비행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종철 (2008). 인지행동집단상담이 인터넷 과다사용 아동의 변화동기에 따라 인터넷과다사용 감소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진숙 (2006).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인터넷 게임중독 완화와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진숙 (2008).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행동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돈규 (2000).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상관성. 청소년학연구, 7(2), 117-136.
유순옥 (2003).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응력과의 관계.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희 (2012).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격려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동일, 위수경, 최종복, 오봉욱 (2008). 청소년사이버 비행 영향 요인. 사회복지리뷰, 12,149-170.
정민, 노안영 (2002). 생활양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 14(2), 375-387.
정민 (2004). 대학생의 게임중독 특성 분석.대학생활연구, 6, 3-20, 동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정영희 (2011). 자기격려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남근, 양돈규 (200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 중독경향 및 인터넷관련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14(1), 91-111.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초등게임중독예방프로그램. 서울: 정보통신부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0). 인터넷 중독의 특성분석 연구: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의 심리적특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한종욱 (2001). 청소년 사이버비행자의 사회유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3,357-384.
Adler, A. (1924). The practice and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 New York: Harcourt, Brace and CO.
Adler, A. (1958). What life should mean to you. New York: Perigee Books.
Crandal, J. E. (1975). A scale for social interest.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31(2), 187-195.
Dinkmeyer, D. & Losoncy, L. (1996). The skills of encouragement. New York: St. Lucie Press.
Ebeling, W, S., Frank, L. M., & Lester, D. (2007). Shyness, Internet Use, and Personality, Cyber Psychology & Behavior, 10(5), 713-716.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www. rider.edu/user/suler/psycyber/supportgp.html.
Hirschi, H. B.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James, S. G. (1999). Mentoring makes a difference. http://www.thefreelibrary.com/Mentoring+Make s+A+Difference.-a054806048
Masaster, G. J. & Corsini, R. J. (1999). Individual psychology: theory and practice. Chicago: Adler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Rehbein, F., Psych, G., Kleimann, M., Mdeiasci, G., & Moble, T. (201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video game dependency in adolescence: result of a German nationwide survey, Cyber 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3), 269-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