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지연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척도, 문제해결능력 척도, 지연행동 척도를 실시하였고, 299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문제해결능력(문제해결 자신감, 접근-회피 양식, 개인적 통제감), 지연행동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검증을 수행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 절차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지연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문제해결능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는 문제해결능력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문제해결 자신감과 개인적 통제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줄이고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해결 자신감과 개인적 통제감을 지각하기 위한 심리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Data from 299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which was further verified via the Bollen-Stine bootstrap procedure. Results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crastination. Second, problem solving abil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Third, problem-solving confidence(PSC) and personal control(PC) significantly mediated a por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but no mediation effect was found for approach-avoidance style(AA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that influences procrastin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강정임 (2013).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광숙, 김정희 (2007). 꾸물거림과 성격의 5 요인,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33-947.
김민정 (2012).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능력 지각과 시간적 거리지각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보영, 김영근 (2016). 초기부적응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6(3), 403-422.
김수진 (2008). 반추적, 반성적, 주의전환적 반응양식에 따른 문제해결력의 차이. 가톡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유림, 강지현 (2014).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2(4), 1-24.
김정희 (2003). 습관적 지연 극복을 위한 집단훈련의 효과 검증: 대학생의 학업과 관련하여. 상담학연구, 4(4), 685-698.
김희정, 이영호 (2015). 능동-수동 지연행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22(2), 71-93.
박 경 (2004).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2), 265-283.
서은희, 박승호 (2007). 지연행동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교육학연구, 45(2), 105-119.
서지은 (2012).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동의 행동지연의 관계: 분노억제와 우울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다희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희수, 안명희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621-641.
안희정 (2012).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과 청소년의 죄책감, 수치심 및 자기비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출판사.
이미란 (2004). 부모-자녀 및 친구관계가 청소년의 자존감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영, 김성일, 봉미미 (2016). 학업지연행동의 기질적, 환경적, 동기적 선행요인 검증. 교육심리연구, 30(3), 635-669.
이수민, 양난미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이현정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 결정성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혜연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심리통제가 청소년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희경 (2008). 낙관성/비관성, 문제해결평가 및 정적/부적 감정 간의 관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603-623.
임성문 (2006). 초기 부적응 도식과 만성적 지연행동간의 관계: 매개변인과 경로모형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성문, 박명희 (2010). 위험회피 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만성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7(2), 127-146.
임소연 (2013).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현우, 이동귀, 박현주 (2004). 한국판 문제해결질문지. Dr. Heppner 초청 특별 심포지움: 상담에서의 문제해결. 12월 18일. 서울: 서강대학교. 미간행.
전숙영 (2007). 어머니의 심리통제 및 아동의 행동적 자율성과 자기 통제력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69-179.
정다정, 권해수 (2017).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극복을 위한 웹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 효과. 인간이해, 38(2), 13-31.
차미애 (2015). 성격특성 및 완벽주의가 만성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황임숙, 장성숙 (2010).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적 지연행동: 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를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lkis, M., & Duru, E. (2007). The evaluation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procrastination in the framework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guidance.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7(1), 376-385.
Bandalos, D. L., & Finney, S. J. (2001).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 R. E. Schumacker (Eds.)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p. 269-296).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Carscaddon, D. M., Poston, J., & Sachs, E. (1988). Problem-solving appraisal as it relates to state-trait personality factors. A Journal of Human Behavior, 25(3-4), 73-76.
Dixon, W. A., Heppner, P. P., & Anderson, W. P. (1991). Problem-solving appraisal,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1), 51-56.
Heppner, P. P., Hibel, J., Neal, G. W., Weinstein, C. L., & Rabinowitz, F. E. (1982). Personal problem solving: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6), 580-590.
Heppner, P. P., & Peterse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66-75.
Heppner, P. P., Pretorius, T. B., Wei, M., Lee, D. G., & Wang, Y. W. (2002). Examining the generalizability of problem-solving appraisal in Black South Africa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4), 484-498.
Heppner, P. P., Reeder, B. L., & Larson, L. M. (1983). Cogni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ersonal problem-solving apprais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4), 537-545.
Heppner, P. P., Witty, T. E., & Dixon, W. A. (2004). Problem-solving appraisal and human adjustment: A review of 20 years of research using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The Counseling Pshchologist, 32(3), 344-428.
Hong, J. C., Hwang, M. Y., Kuo, Y. C., & Hsu, W. Y. (2015). Parental monitoring and helicopter parenting relevant to vocational student's procrast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139-146.
Klingsieck, K. B., Fries, S., Horz, C., & Hofer, M. (2012). Procrastination in a distance university setting. Distance Education, 33(3), 295-310.
Lay, C. H. (1986). At last, my research article on procrastin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0(4), 474-495.
Lay, C. H., & Schouwenburg, H. C. (1993). Trait procrastination,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behavior.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8(4), 647-662.
Milgram, N., & Tenne, R. (2000). Personality correlates of decisional task avoidant procrastinat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4(2), 141-156.
Nucci, L. P., Killen, M., & Smetana, J. G. (1996). Autonomy and the personal: Negotiation and social reciprocity in adult‐child social exchange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73, 7-24.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Bates, J. E.,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 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98.
Rozental, A., & Calbring, P. (2014). Understanding and treating procrastination: A review of a common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y, 5(13), 1488-1502.
Sirois, F. M. (2007). “I’ll look after my health, later”: A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procrastination-health model with community- dwelling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1), 15-26.
Smetana, J. G., & Daddis, C. (2002). Domain-specific anteceden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The role of parenting beliefs and practices. Child Development, 73(2), 563-580.
Solomon, L. J., & Rothblum, E. D.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Stead, R., Shanahan, M. J., & Neufeld, R. W. (2010). “I’ll go to therapy, eventually”: Procrastination, stress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3), 175-180.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Tice, D. M., & Baumeister, R. 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8(6), 454-458.
Tuckman, B. W. (1991). The developmen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procrastination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1(2), 473-480.
Van Eerde, W. (2003). A meta-analytically derived nomological network of procrast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6), 1401-1418.
Youniss, J. (1980). Parents and Peers in Social Development: A Sullivan-Piaget Perspectiv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