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초기 성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및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asons for Liv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의 우울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및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19세~35세 초기 성인 331명을 대상으로 우울척도(K-CES-D), 대인관계 욕구 척도(INQ-R), 삶의 이유 척도(RFL), 자살사고 척도(SIQ)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PSS 24.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한 결과 우울은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자살사고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삶의 이유는 우울, 자살사고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삶의 이유의 하위변인의 조절효과도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기 성인의 자살사고 문제를 효과적으로 상담하기 위해서는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이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young adults, depressio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suicidal ideation, reasons for living, 초기 성인, 우울,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이유, 자살사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reasons for liv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For this study, 331 young adults completed a survey comprised of the following: K-CES-D,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Revised, Reasons for Living, and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PSS PROCESS macro,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simple slope test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reasons for living significantly moderated the impact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for counseling and intervention to be effective with young adults, clinicians should focus o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reasons for living, coping beliefs, family responsibility, and future expectations.

keywords
young adults, depressio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suicidal ideation, reasons for living, 초기 성인, 우울,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이유, 자살사고

참고문헌

1.

강석화, 나동성 (2013).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4), 49-71.

2.

권석만 (2011).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3.

권중돈 (200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학지사.

4.

김동연 (2010). 군생활 스트레스가 군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 절망감, 삶의 이유,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명원 (2012). 우울과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민경 (2011).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부정적 정서와 사회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12), 101- 129.

7.

김신연, 채규만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34(1), 1-13.

8.

김현순, 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 219.

9.

김혜진 (2016). 초기성인기 이성관계에서의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미치는 영향 :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효창 (2010). 자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조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6(2), 165-178.

11.

노상선, 조용래, 최미경 (2014). 대학생의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증상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3(4), 735-754.

12.

박 경 (2009). 부정적 스트레스와 자살사고 및 우울과의 관계 고찰.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 1-16.

13.

박소영, 박경. (2016).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삶의 이유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8), 23-45.

14.

박순천 (2005).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할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6.

서미순 (2005).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석예진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을 조절변인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신민섭. (1992).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 도피 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양귀화, 김종남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041-1065.

20.

양선미, 박경 (2015). 대학생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8), 105-130.

21.

여지영, 박태영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121-145.

22.

유계숙, 손현겸 (2015).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대인관계 욕구와 삶의 이유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 75-100.

23.

유혜선 (2015). 성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연령대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

이기원, 현명호, 이수진 (2010).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27-242.

25.

이윤주 (2008). 아동, 청소년 상담: 중학생의 자살위험요인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9(2), 659-673.

26.

이지숙 (2013). 일상적 스트레스아 대처방법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대처방법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3), 321-344.

27.

이지영 (2012). 삶의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노 표현, 삶의 이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이현정 (2015). 노인 자살위험 집단의 삶의 태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 거주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연구, 67(0), 249-276.

29.

임수영 (1996).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31.

차미영, 강승호 (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우울의 효과.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추경진, 이승연 (2012).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31-53.

33.

최민영 (2015).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 :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상진, 최인재 (2002). 한국인의 문화 심리적 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55-71.

35.

최우경, 김진숙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1), 255-272.

36.

최현정, 홍혜영. (2011). 대학생의 낙관성과 삶의 이유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8(4), 149-170.

37.

통계청 (2016). 2015년 사망원인통계. 서울: 통계청.

38.

하정미, 설연욱, 좌문경 (2010).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4), 223- 246.

39.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40.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Thousand Oaks, CA: Sage.

41.

Bagge, C. L., Lamis, D. A., Nadorff, M., & Osman, A. (2014). Relations between hopelessn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ity: Mediation by reasons for liv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70(1), 18-31.

4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3.

Beautrais, A. L. (2003). Suicide and serious suicide attempts in youth: A multiple-group comparison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6), 1093-1099.

44.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5.

Bonner, R. L., & Rich, A. R. (1987). Toward a predic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ome preliminary data in college stud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7(1), 50-63.

46.

Bower, G. (1981). Mood and Memory. American Psychologist, 36(2), 129-148.

47.

Brent, D. A., Perper, J., Moritz, G., Baugher, M., & Allman, C. (1993). Suicide in adolescents with no apparent psychopath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2(3), 494-500.

48.

Connell, D. K., & Meyer, R. G. (1991).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and a college populatio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s, beliefs, and coping skill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7(4), 485-489.

49.

Coyne, J. C. (1976). Depression and the response of oth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2), 186-193.

50.

Davidson, C. L., Wingate, L. R., Grant, D. M., Judah, M. R., & Mills, A. C. (2011). Interpersonal suicide risk and ideati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30(8), 842-855.

51.

Davidson, C. L., Wingate, L. R., Rasmussen, K. A., & Slish, M. L. (2009). Hope as a predictor of interpersonal suicide risk.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9(5), 499-507.

52.

Erikson, E. H. (1956). The problem of ego identity.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4(1), 56-121.

53.

Freedenthal, S., Lamis, D. A., Osman, A., Kahlo, D., & Gutierrez, P. M. (2011).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12 in samples of men and wome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7(6), 609-623.

54.

Galfalvy, H., Oquendo, M. A., Carballo, J. J., Sher, L., Grunebaum, M. F., Burke, A., & John Mann, J. (2006). Clinical predictors of suicidal acts after major depression in bipolar disorder: A prospective study. Bipolar Disorders, 8(5), 586-595.

55.

Garlow, S. J., Rosenberg, J., Moore, J. D., Haas, A. P., Koestner, B., Hendin, H., & Nemeroff, C. B. (2008). Depression, desperat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Results from the American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College Screening Project at Emory University. Depression and Anxiety, 25(6), 482-488.

56.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ition, New York: David Mckay.

57.

Hayes, A. F. (2015).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이형권 역). 파주: 신영사. (원전은 2013년에 출판).

58.

Heisel, M. J., & Duberstein, P. R. (2005). Suicide prevention in older adult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2(3), 242-259.

59.

Heisel, M. J., Neufeld, E., & Flett, G. L. (2016). Reasons for living, meaning in life, and suicide ideation: Investigating the roles of key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in reducing suicide risk in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20(2), 195-207.

60.

Hill, R. M., & Pettit, J. W. (2012). Suicidal ideation and sexual orient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role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rejection due to sexual orient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42(5), 567-579.

61.

Jahn, D. R., Cukrowicz, K. C., Linton, K., & Prabhu, F. (2011).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old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15(2), 214-220.

62.

Joiner T. E (2012). 왜 사람들은 자살을 하는가? (김재성 역). 서울 : 황소자리. (원전은 2007에 출판)

63.

Joiner T. E., Van Orden, K. A., Witte, T. K., Selby, E. A., Ribeiro, J. D., Lewis, R., & Rudd, M. D. (2009). Main predictions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Empirical tests in two samples of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8(3), 634-646.

64.

Kandel, D. B., & Davies, M. (1986). Adult sequelae of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3), 255-262.

65.

Kleiman, E. M., Law, K. C., & Anestis, M. D. (2014). Do theories of suicide play well together? Integrating components of the hopelessness and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ies of suicide. Comprehensive Psychiatry, 55(3), 431-438.

66.

Kleiman, E. M., Liu, R. T., & Riskind, J. H. (2013). Integrating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into the depression/suicidal ideation relationship: A short-term prospective study. Behavior Therapy, 45(2), 212-221.

67.

Levinson, D. J.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Random House Digital, Inc.

68.

Linehan, M. M., Goodstein, J. L., Nielsen, S. L., & Chiles, J. A. (1983).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 are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2), 276-286.

69.

Lizardi, D., Currier, D., Galfalvy, H., Sher, L., Burke, A., Mann, J., & Oquendo, M. (2007). Perceived reasons for living at index hospitalization and future suicide attempt.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5(5), 451-455.

70.

Malone, K. M., Oquendo, M. A., Haas, G. L., Ellis, S. P., Li, S., & Mann, J. J. (2000). Protective factors against suicidal acts in major depression: Reasons for liv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7), 1084-1088.

71.

McLaren, S. (2011). Age, gender, and reasons for living among Australian adul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41(6), 650-660.

72.

Miller, S., Segal, Daniel L., & Coolidge, Frederick L. (2001). A comparison of suicidal thinking and reasons for living among younger and older adults. Death studies, 25(4), 357-365.

73.

Miranda, R., Tsypes, A., Gallagher, M., & Rajappa, K. (2013). Rumination and hopelessness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emotion dysregulation and suicidal ide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4), 786-795.

74.

Mize, A. E., & Ellis, J. B. (2003). Reasons for living and suicide ideation in young adults from divorced and non-divorced home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40(1-2), 1-16.

75.

Nemeroff, C. B., Compton, M. T., & Berger, J. (2001). The depressed suicidal patient: Assessment and treatm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32(1), 1-23.

76.

Nsamenang, S. A., Webb, J. R., Cukrowicz, K. C., & Hirsch, J. K. (2013). Depressive symptoms and interpersonal needs as mediators of forgiveness and suicidal behavior among rural primary care pati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49(1), 282-290.

77.

O’Keefe, V. M., & Wingate, L. R. (2013). The role of hope and optimism in suicide risk for American Indians/Alaska Native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43(6), 621-633.

78.

Pfeiffer, P. N., Brandfon, S., Garcia, E., Duffy, S., Ganoczy, D., Kim, H. M., & Valenstein, M. (2014).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depressed veterans and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2(1), 277-281.

79.

Reynolds, W. M. (1991).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6(2), 289-307.

80.

Ribeiro, J. D., & Joiner, T. E. (2009).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12), 1291-1299.

81.

Segal, D. L., Gottschling, J., Marty, M., Meyer, W. J., & Coolidge, F. L. (2015). Relationships among depressive, passive-aggressive, sadistic and self-defeating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with suicidal ideation and reasons for living among old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19(12), 1071-1077.

82.

Stellrecht, N. E., Joinrt JR, T. E., & Rudd, M. D. (2006). Responding to and treating negative interpersonal processes in suicidal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2(9), 1129-1140.

83.

Strosahl, K., Chiles, J. A., & Linehan, M. (1992). Prediction of suicide intent in hospitalized parasuicides: Reasons for living, hopelessness, and depression. Comprehensive Psychiatry, 33(6), 366-373.

84.

Van Orden, K. A., Bamonti, P. M., King, D. A., & Duberstein, P. R. (2012). Does perceived burdensomeness erode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16(7), 855-860.

85.

Van Orden, K. A., Cukrowicz, K. C., Witte, T. K., & Joiner Jr, T. E. (2012).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Construct valid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24(1), 197-215.

86.

Van Orden, K. A., Witte, T. K., Cukrowicz, K. C., Braithwaite, S. R., Selby, E. A., & Joiner Jr, T. E. (2010).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Psychological Review, 117(2), 575-600.

87.

Van Orden, K. A., Witte, T. K., Gordon, K. H., Bender, T. W., & Joiner Jr, T. E. (2008). Suicidal desire and the capability for suicide: Tests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among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1), 72-8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