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부모의 기대에 대해 어떻게 경험하고 반응하는지를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성인 진입기에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기대와 이에 따른 심리적 적응을 탐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6개 대학의 5학기 이상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03명의 대학생 중 부모기대부응척도로 부모기대에 부응하지 못 하고 있는 하위 30%를 선별한 후, 삶 만족척도 수준이 높은 사람들과 낮은 사람들로 각각 8명씩 총 16명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의 부모기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부모의 기대’, ‘부모의 태도와 표현방식’, ‘부모의 기대로 인한 영향과 반응’, ‘부모의 기대에 대한 대처방식’의 4개 영역과 2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 맥락에서 성인 진입기에 나타나는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심리적 적응 방안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ed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perceive, experience, and react to parental expectations. Participants included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5th semester, or beyond, from Seoul, Korea. Among the 103 survey respondents who completed the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 Inventory, those perceived they were not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 (lower 30%) were selected as potential interviewees. Then, using scores from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8 participants from the low and high life satisfaction groups respectively, were selected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of parental expectations. As a result, 4 domains (Parental Expectations, Parental Attitudes and Modes of Expression, Impacts and Reactions, and Coping Strategies) and 26 categories emer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ssisting with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proces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discussed.
강완숙 (2000). 지각된 부와 모의 가치, 부모-자녀간 정서적 친밀도 및 부모의 과잉통제와 대학생의 소외감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유정, 최수동, 김성민, 서경현 (2008).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 간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16(3), 251-259.
김은정 (2015). 부모 자녀 관계를 통해서 본 20대 청년층의 성인기 이행 과정 연구. 가족과 문화, 27(1), 69-116.
김의철, 박영신 (2008).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Ⅱ).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63-109.
김종백, 김준엽 (2009). 학업 성취 관련 요인과 자아개념을 매개로한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관여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3 (2), 389-412.
김홍석 (2013). 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상담학연구, 14(2), 1165-1187.
김혜정, 백용매 (2006).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우울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7(3), 683-699.
나은영, 차재호 (1999). 1970 년대와 1990 년대 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 증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37-60.
남정민, 성현란, 권선영 (2014).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ㆍ여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147-170.
류승하 (1996). 부부의 갈등해소양식 변화에 미치는 의사소통 기술 훈련과 신념변화훈련의 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2009). 진로상담: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1), 417-435.
박선영, 조용주 (2011). 부모의 공감과 청소년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8(10), 35-63.
박아청 (1998). 과보호의 발달심리학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인간발달연구, 5(1), 53-72.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박영신, 김의철, 안자영, 이임순 (2014). 자녀가 지각한 효도의 구성개념과 형성: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이자녀의 효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8(3), 421-454.
박영신, 김의철, 한기혜 (2003). 아동과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2), 127-164.
박우현 (2017, 2, 15). [청년 체감실업률 22% 최악] 늘어나는 숨은 실업자…취업 장벽 더 높아져. 서울경제. http://www.sedaily. com/NewsView/1OC3SJVZ0E 에서 검색.
서선희 (1998). 한국적 효 개념의 특수성. 한국노년학, 18(3), 142-154.
서수균, 전지혜, 안정신, 정영숙 (2015). 중년부모와 대학생 자녀 간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4(4), 971- 990.
손승영 (2009).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0(1), 57-84.
안창규 (2016, 11, 7). 연애·취업·인간관계·결혼·출산까지 포기 위기의 `N포 세대`에 희망을…. 경북매일. http://www.kbmaeil. com/news/articleView.html?idxno=398406 에서 검색.
양명숙 (1996). 예비 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관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167-181.
양혜경, 남인숙 (2012). 중산층 중, 고생 어머니의 자녀와의 갈등 및 의사소통에 관한 질적연구. 교육학 논총, 33(2), 1-17.
이민경 (2008). 대학생들의 교육경험 담론 분석-입시교육과 진로경험의 의미화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1, 79-102.
이상희 (2012).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3(3), 1461-1479.
이영미, 한재희 (2013). 모가 지각한 부모기대로 인한 부모-자녀 간 갈등극복경험. 상담학연구, 14(2), 1401-1422.
이희영, 최태진 (2004). 심리적 분리와 대학생활적응: 성별과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중재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5(1), 109- 136.
정미예, 조남근 (2015).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의 구조적 분석. 상담학연구, 16(2), 179- 193.
정은영, 장성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93-312.
정은희 (1992). 부모로부터의 독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긍호 (1999). 문화유형에 따른 동기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33- 273.
조긍호 (2012). 사회관계론의 동서비교.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서울: 집문당.
차경호 (2001).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상담연구지, 9(1), 7-26.
최상진, 김의철, 홍성윤, 박영숙, 유승엽 (2000). 권위에 관한 한국인의 의식체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1), 69-84.
탁수연, 박영신, 김의철 (2007).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 변인의 관계 분석: 부모자녀관계,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공부시간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6(1), 143-154.
통계청 (2017). 2016년 12월 및 연간 고용 동향 보도자료. http://kostat.go.kr 에서 검색.
한성열 (2008). 한국문화의 맥락에서 본 교육의식: 한국사회에서 교육적 성취에 대한 심리학 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3-46.
한정아, 심흥섭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65-981.
황매향, 조효진, 조윤진, 방지원 (2013).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675-699.
Adler, F. (1956). The value concept in sociolog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2(3), 272-279.
Agliata, A. K., & Renk, K. (2008).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e role of parent–college student expectation discrepancies and communication reciproc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8), 967.
Agliata, A. K., & Renk, K. (2009). College students’ affective distress: The role of expectation discrepancies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4), 396-411.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Arnett, J. J. (2006).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Barber, B. K., Olsen, J. E., & Shagle, 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5(4), 1120-1136.
Brehm, J. W. (1966). A theory of psychological reactance. Oxford, England: Academic Press.
Bugental, D. B., & Grusec, J. E. (2006). Socialization processes.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pp. 366-428). Hoboken, NJ: Wiley.
Chen, P. (1995).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separation-individuation change in counseling. Chine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8, 145-176.
Choi, S. H. (1990). Communicative socialization processes: Korea and Canad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Canada.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selected papers. Oxford, Engl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Fingerman, K. L., Pitzer, L., Lefkowitz, E. S., Birditt, K. S., & Mroczek, D. (2008). Ambivalent relationship qualities between adults and their parents: Implications for the well-being of both part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6), 362-371.
Higgins, E. T. (1989). Self-discrepancy theory: What patterns of self beliefs cause people to suffer?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2, pp. 93-136). New York: Academic Press.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Hoffman, J. A. (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0-178.
Hoffman, J. A., & Weiss, B. (1987). Family dynamics and presenting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2), 157-163.
Kernberg, O.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NY: Jason Aronson.
Kim, U., & Choi, S. H. (1994).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child development: A Korean perspective, In P. Greenfield & R. R. Cocking (Eds.). Cross-cultural roots of minority child development (pp. 227–257). Hillsdale, NJ: Erlbaum.
Kim, U., Yang, K. S., & Hwang, K. K. (2006) Contributions to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In: Kim U., Yang KS., Hwang KK. (eds.),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pp. 3-25). International and Cultural Psychology. Boston: Springer.
Kins, E., Beyers, W., Soenens, B., & Vansteenkiste, M. (2009). Patterns of home leav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emerging adulthood: The role of motivational processes and parental autonomy support. Developmental psychology, 45(5), 1416-1429.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NY: In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Lee Kise, Lee Soojung, & Yon Kyujin. (2017, August).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Career Decidedness in South Korea. Poster presented at the 125th Annual Conference on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Washington, D.C.
Masterson, J. F. (1985). The Real Self. New York, NY: Bruuner/Mazel.
McGillicuddy-De Lisi, A. V. (1980). The role of parental beliefs in the family as a system of mutual influences. Family relations, 29(3), 317-323.
Micucci, J. A. (2009). The adolescent in family therapy: Harnessing the power of relationships. New York, NY: Guilford Press.
Millon. T. (1981). Disorders and personality. New York, NY: Wiley.
Pavot W., Diener E. (2009).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In E. Diener (Eds), Assessing Well-Being (Vol. 39, pp. 101-117). Dordrecht: Springer.
Schultheiss, D. E. P., Kress, H. M., Manzi, A. J., & Glasscock, J. M. J. (2001). Relational influences in career development: A qualitative inquir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9(2), 216-241.
Wang, L. F., & Heppner, P. P. (2002). Assessing the impact of parental expectations and psychological distress on Taiwanese college student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0(4), 58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