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진로 전환기 여자 대학생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제약과 대처를 일의 심리학 이론(PWT)을 바탕으로 탐색하였다. 4년제 대학교 3학년, 4학년, 졸업유예 중인 여자 대학생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여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내용은 합의적 질적 분석(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영역 및 하위범주의 적절성에 대해 외부 전문가에게 감수를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8개 영역 31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인식하는 제약요인으로는 성차별과 불평등, 성역할 고정관념, 일 가정 양립의 어려움, 사회계층으로 인한 제약, 가족의 영향 등 5개 영역, 20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이러한 제약에 대한 대처로서 주체적 존엄성의 확보 의지, 사회의 변화에 대한 기대, 현실 타협적 선택 등 3개 영역, 1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진로 전환기 여자대학생의 진로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와 진로상담적 함의,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ived constraints and coping strategies in career decision-mak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The participants were 15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their third year, fourth year, or delayed graduation status in four-year colleges. The researcher conducted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From the analysis, 8 domains and 31 categories emerged. Perceived constraints included gender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gender role stereotypes, difficulties in work-family balance,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and family influence. The coping strategies identified included career compromise, belief in a just world, and the pursuit of dignity.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interventions to assist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adaptability of female students are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강민정, 신선미, 이서현 (2017). 대학일자리센터의 청년여성 프로그램 실효성 제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강민정, 박지혜 (2018). 조직 내 네트워크 구성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젠더와 문화, 11(2), 89-123.
강은영, 진미정, 옥선화 (2010). 비혼 여성의 비혼 자발성 관련 요인 탐색.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2), 135-144.
강지현 (2017). 여성 경찰관의 직장 내 성차별 경험 유형화 영향요인. 한국경찰연구, 16 (3), 3-28.
공태명 (2018). 여성 경찰공무원의 유리천장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20(6), 83-112.
구유정, 장원섭 (2018). 고학력 여성의 ‘워킹맘 되기’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적 접근. 여성연구, 98(3), 5-34.
김경희, 마경희 (2019). 새로운 세대의 의식과 태도: 2030세대 젠더 및 사회의식조사 결과. 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 기획토론회 자료.
김나래, 이기학 (2014). 대학생의 일 자유의지: Work Volition Scale(WVS)의 타당화 연구. 직업교육연구, 33(2), 41-58.
김나래, 이기학 (2016). 대학생의 일 자유의지와 진로만족의 관계: 문화적 자기관의 조절효과. 진로교육연구, 29(1), 47-64.
김민선 (2018).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진로갈등과 진로결정 어려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5(12), 135-157.
김민선, 양지웅, 연규진 (2016).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91-216.
김수한, 신동은 (2014). 기업 내 여성관리자의 성차별 경험. 한국사회학, 48(4), 91-125.
김영미 (2014). 젠더와 계급의 교차성 관점에서 본 일-가족 양립정책. 사회과학연구, 31(2), 1-26.
김영은, 엄명용 (2018).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9(4), 5-30.
김예은, 연규진 (2018). 20∼30대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에 의해 조절된 분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499-523.
김은하, 김지수, 박한솔, 김도연, 김수용 (2017). 직장 내 성차별 경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우울에 대한 연구: 척도 개발 및 매개효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 (4), 643-447.
김은희 (2009).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의 유리천장(Glass Ceiling) 지각과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21(4), 1337-1368.
김자영 (2015). 대학생의 일 자유의지와 학업만족의 관계에서 일 통제소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경 (2002). 성차별 경험이 여성의 사회적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태선, 신주연 (2020). 다문화 시대의 상담자 교육: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2). 667-692.
김하나 (2019). 여성 진로상담 사례개념화에서 환경요소를 강조하는 상담자의 관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DAN WANG, 안도희 (2017). 부모의 진로 관련 행동과 대학생의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30 (1), 201-223.
류병화 (2018, 9, 7). 혐오를 혐오한다.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906_0000411050 에서 검색
변금선 (2015). 가구 소득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직업능력개발연구, 18(1), 129-161.
선혜연, 이제경, 김선경 (2012).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 내용 및 원인과 결과: 합의적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3(2), 1-24.
손귀현, 손영우, 정은경 (2018). 여군들의 일-가정 갈등과 군 사기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1), 175-194.
손보영 (2015). 성인진입기의 다중역할계획태도 종단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승영 (2014). 여대생 아르바이트 경험의 젠더 특수성과 성차별적 관행. 담론 201, 17(2), 95-121.
손진희 (2010).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35-457.
송지은, 이정윤 (2013).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상담학연구, 14(4), 2107-2123.
신명호 (2010). 왜 잘사는 집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하나?: 사회계층 간 학업성적의 격차와 양육관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신해리 (2018). 지각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항상성에 대한 신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상수, 박성정, 김금미 (2010). 성평등 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I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안상수, 김인순, 최윤정, 김금미, 최연혁 (2012). 성평등 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IV).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안윤정 (2014). 대학생의 역할지향성과 양성평등의식, 일희망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1(10), 167-193.
안진아 (2008). 역할모델 및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포부의 관계: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진아, 정애경 (2019). 일의 심리학 이론의 한국 진로상담 적용 방안. 상담학연구, 20 (2), 207-227.
양경은 (2016).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지체제론적 재조명. 비판사회정책, 53, 146-174.
양돈규, 김정인 (2016).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성희롱 문제인식과 성희롱 행동경험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91(2), 73-96.
위재원 (2014). 사회경제적 지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영란, 강명희 (201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2), 225-247.
이가연 (2019). 대학생의 일 자유의지가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기세, 이수정, 연규진 (2018). 대학생들의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31(3), 21-42.
이상화 (2018). 젠더관점에 기반한 여성리더십 교육의 과제와 방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4). 627-636.
이성식 (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소연 (2018).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과 진로 결과기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연, 서영석, 김재훈 (2018). 사회정의에 기초한 진로상담 및 직업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515-540.
이자연 (2012).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학습몰입,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윤서, 안윤정 (2016). 여대생의 자기성찰에서 드러난 ‘여성으로서 일’의 의미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2), 195-228.
정경은 (2010). 이성 관계 애착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민재 (2019, 12 11). 기업 내 여성임원 비율 보니..유리천장 아직 단단.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MYH20191211004200038?section=search 에서 검색
조용석 (2017, 9, 27). “여자는 뽑지마”…‘채용비리․뇌물’ 박기동 전 가스안전公 사장, 구속기소.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42246616064384&mediaCodeNo=257&OutLnkChk=Y에서 검색
조자경 (2018). 대학생 성평등의식 및 성평등교육 실태조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연구사업보고서.
조해영, 진선민 (2017).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경험이 여성 구직자에게 미치는 영향. 2017년 청년허브 공모연구사업.
주혜진 (2008). 공대 여학생 사례를 통해 본 소수자의 사회심리학적 경험. 담론 201, 11(3), 117-150.
최윤정, 안후남, 이지은, 최정순, 박선주 (2013). 여성 진로발달 및 상담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상담학연구, 14(2), 1285-1308.
트렌드모니터 (2018). 2018 성 고정관념 및 남녀차별 관련 인식 조사. https://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1659&code=0404&trendType=CKOREA 에서 검색.
한국교육개발원 (2019).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교육불평등과 빈곤의 대물림 정책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일․생활 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 배분과 정책과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2018 총괄보고서.
허 식, 엄주영 (2017). 여성인력의 유리천장 현상에 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30(5), 1813-1836.
홍경옥 (2005). 직장 내 성차별 관행과 성희롱 인식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14 (1), 27-44.
홍지선, 계은경 (2016). 여성 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진로발달단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3), 225-250.
Ali, S. R., McWhirter, E. H., & Chronister, K. M. (2005). Self-efficacy and vocational outcome expectations for adolescents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A pilot stud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 40–58.
Betz, N. E., & Fitzgerald, L. F. (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Inc.
Betz, N. E. (2006). Basic issues and concepts in the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women. In Bruce, W., & Heppner, M. (Eds), Handbook of Career Counseling for Women (pp. 45-74). Mahwah, NJ: Lawrence Elbaum Associates, Inc.
Blustein, D. L. (2013). The psychology of working: A new perspective for a new era. In D. L. Blustein(Ed.), Oxford handbooks on line.
Buyukgoze-Kavas, A., Duffy, R. D., & Douglass, R. P. (2015). Exploring links between career adaptability, work volition, and well-being among Turkish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0(1), 122-131.
Capodilupo, C. M., Nadal, K. L., Corman, I. Hamit, S., Lyons, O. B., & Weinberg, A. (2010). The manifestations of gender microaggressions. In D. W. Sue (Ed.), Microaggressions and marginality: Manifestations, dynamics, and impacts (pp. 193-216). Hoboken, NJ: Wiley.
Diemer, M. A., & Ali, S. B. (2009). Integrating social class into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and practice implication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3), 247-265.
Douglass, R. P., Velez, B. L., Conlin, S. E., Duffy, R. D., & England, J. W. (2017). Examining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Decent work among sexual minoriti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4(5), 550-559.
Duffy, R. D., Blustein, D. L., Diemer, M. A., & Autin, K. L. (2016).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3, 127-148.
Duffy, R. D., Diemer, M. A., & Jadidian, A. (2012).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work volition scale–student vers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0(2), 291-319.
Duffy, R. D., Douglass, R. P., & Autin, K. L. (2015). Career adaptability and academic satisfaction: Examining work volition and self efficacy as mediat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0(1), 46-54.
Duffy, R. D., Douglass, R. P., Autin, K. L., & Allan, B. A. (2015). Examining predictors of work voli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3(3), 351-366.
Fischer, A. R., & Bolton Holz, K. (2010). Testing a model of women’s personal sense of justice, control, well-being, and distress in the context of sexist discrimin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4(3), 297-310.
Gottfredson, L. S. (2002).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compromise, and self-creatio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4, 85-148.
Grollman, E. A. (2014). Multiple disadvantaged statuses and health: The role of multiple forms of discriminat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5(1), 3-19.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eppner, M. J., & Jung, A. K. (2013). Gender and Social Class: Powerful Predictors of a Life Journey. In W. B. Walsh, M. L. Savickas., & P. J. Hartung(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pp. 81-131). New York: Routledge.
HIll, C. E. (2012). Introduction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C. E. Hill (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pp. 3-2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Hurst, R. J., & Beesley, D. (2013). Perceived sexism, self-silenc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ollege women. Sex roles, 68(5-6), 311-320.
Jadidian A., Dufy R. D. (2011). Work Voliton, Carer Decision Self-E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An Examination of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Carer Asesment, 20(2), 154-165.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Luzzo, D. A., & McWhirter, E. H. (2001). Sex and ethnic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and career-related barriers and levels of coping efficac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9(1), 61-67.
Nadal, K. L. (2009). Preventing racial, ethnic, gender, sexual minority, disability and religious microaggressions.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positive mental health. Prevention in Counseling Psychology: Theory, Research, Practice, & Training, 2, 22-27.
Sue, D. W. (2010). Microaggressions in everyday life: Race,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Hoboken, NJ: Wiley & Son, Inc.
Swanson J. L., & Tokar, D. M. (1991).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 344-361.
Schulenberg, J. E., Vondracek, F. W., & Crouter, A. C. (1984).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n voc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1), 129-143.
Toporek, R. L., Lewis, J. A., & Crethar, H. C. (2009). Promoting systemic change through the ACA advocacy competenc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7(3), 260-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