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심리측정학적 관점에서의 MMPI 의 문제점 연구

A Psychometrical examin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MPI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6, v.15 no.1, pp.151-164
김중술 (서울대학병원)
박동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심리측정학적인 관점에서 MMPI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는 것이었다. 재표준화 자료를 재분석하여 이론적인 신뢰도계수를 보다 정확히 추정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재표준화 당시에 제시된 대부분의 척도의 α값과 그리 다르지 않았지만 Mf척도의 신뢰도 추정값은 매우 낮게 산출되었다. 그러나 신뢰도 추정치가 .7 이하인 척도는 MMPI처럼 연구의 목적이 아닌 개인의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의 경우에는 다소 낮기 때문에 척도점수가 불안정하여 진단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지적하였다. 문항분석을 한 결과 52개 문항이 부적인 문항총점간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부적인 상관이 부적인 요인간 상관에 기인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요인간 상관에 기인하여 부적인 문항총점간 상관을 나타낸 것이 아님을 밝혔다. 또한 준거집단과 정상집단의 응답빈도율 자료로 또 다른 교차검증을 한 결과 여전히 다수의 문항이 문제가 있는 문항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검사를 번역하여 사용할때 규준화이전에 문항분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사실과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수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An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Korean version of MMPI in a psychometrical perspectives. The study attempted to more accurately reestimate the theoretical reliabilities of the MMPI subscales utilyzing the cases in the restandardization.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computed α reliabilities for most of the scale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restandardizaion, α for the Mf sclae was much lower than before. It was pointed out that because the α values less than .7 estimated for many of the MMPI scales, which were not high enough for the individual disgnoses, may cause the scale scores to be unstable, diagnoes based on the scores should be done very cautiously. The item analysis revealed that the 52 ite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ale scores. To explore the possiblities that the negative item-total correlations were due to th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dimensions of each scale, an exploratory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performed.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most of the negative item-scale score correlations did not result from the negatively correlated scale dimensions. A cross validation using the response proportions of the criterion group and the normal group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item-total correl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 item analysis be indispensible prior to norming. Some considerions for future research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