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인지의 구조와 정보처리과정에 있어서 우울집단의 특성

Some characteristics of depressed people in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self-cogni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6, v.15 no.1, pp.17-31
권석만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우울집단이 지니는 자기인지의 표층적 측면과 심층적 측면을 자기보고형 측정도구와 인지과제를 통해 체계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자기개념의 다면성과 다차원성을 측정하는 다면적 자기개념검사를 통해 우울집단이 지니는 자기인지의 표층적 측면을 평가하고 둘째, 개인의 특성을 기술하는 형용사가 자기에게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자기관련판단과제를 통해 우울집단이 지니는 자기인지의 심층적 구조와 정보처리과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피험자는 Beck우울척도에 의해 선발된 대학생 우울집단 25명과 비우울집단 25명이었다. 다면적 자기개념검사에서 우울집단은 비우울집단에 비해 대부분의 자기영역과 평가차원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했으나 중요도 차원에서는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기관련판단과제에서 나타난 주목할만한 결과는 우울집단이 긍정형용사를 부인하고 부정형용사를 인정하는데에서는 비우울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긍정형용사를 인정하고 부정형용사를 부인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존의 이론과 연구결과에 비추어 논의하였으며 치료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keywords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urface as well as the deep aspects of self-cognition of depressed people with a self-reporting measurement and a experimental cognitive task. The surface or conscious aspect of self-cognition of depressed people was examined with the Multiphasic Self-Concept Inventory(MSCI) which had been developed to tap the multifaceted-ness and multidimensionality of self-concept, whereas the deep or unconscious structure and process of their self-cognition were evaluated with a self-referential judgment task in which subjects were asked to decide whether some positive or negative descriptors are self-referential or not. Subjects were 25 depressed college students and 25 nondepressed students selected by their score of BDI. The results show that the depressed group made more negative and less positive self-evaluation on the most self-subareas and evaluative dimensions(except the dimension of importance) of the MSCI than the nondepressed group did. The most noteworthy result on the self-referential judgment task was that the depressed group showed more difficulties in accepting positive descriptors and denying negative descriptors with longer response latency than the nondepressed group did, whereas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denying positive discriptors and accepting negative descriptors.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and psychotherapy of depress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