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신질환자의 사회적 낙인(stigma)에 대한 환자 가족들의 태도

Family Views about Social Stigma of Mental illness pati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6, v.15 no.1, pp.69-89
최이순 (부산 연산병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가족들이 사회적 낙인을 어느정도 느끼고 무엇을 구체적으로 영향받고 있으며 사회적 낙인을 가져다 주는 원인과 그 극복방법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낙인이 정신과 진단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반적으로 사회적인 낙인이 환자와 가족에게 미치는 정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나서 심각하게 지각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진단별로도 차이가 없었다. 2.가족들이 볼 때 사회적인 낙인이 환자에게 미친 구체적인 영향으로는 환자들의 자존심 손상, 친구를 사귀고 유지하기가 곤란, 직업구하기 곤란, 환자 자신이 병을 인정못함, 결혼상대를 구하기 어려움에 대해 웬만큼 그렇다고 지각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병과 회복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은 거의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였다. 3.가족들은 환자에 비해 사회적 낙인에 대해 구체적인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만, 남에게 환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가 꺼려진다는 문항에 중간정도로 평정하었다. 그리고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4.사회적인 낙인을 가져다 주는 원인으로는 정신질환자가 살인자로 등장하는 대중영화, 정신과 환자의 난폭한 행동에 대한 신문잡지 기사내용, 미친놈이나 또라이 등과 같은 말의 상습적 사용, 일반인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농담, 미친사람을 피할려는 태도, 환자에 대한 좋지 않은 개인적 경험,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교육의 결여와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대해서 웬만큼 그렇다고 지각하였다. 그리고 정신분열병에 국한하여 일반인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농담과 정신병원에 대한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 사회적인 낙인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심각하게 인식하였다. 5.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는 방법으로는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홍보를 하고 환자가족내에서 서로를 위로하고 정신질환의 치료 발전의 필요성이 있고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언론의 긍정적인 보도가 필요하고 그리고 사회적인 낙인을 줄이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는데 많이 그렇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다른 가족들과 친목단체를 결성하여 정보나 충고를 서로 교환하거나 정신질환의 심리적인 근거 보다는 생물학적인 근거를 입증하는 연구결과를 내놓는 것이라는데는 보통정도의 평정을 하였다. 집단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family of mentally ill person perceive about social stigma and whether the views of his/her family are different or not in according to diagnosis. It is for the sake of helping about directing establishment of family education in accord that recently family was contained as a member of therapis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71 family of mentally ill person divided neurosis, schizophrenia and psychosis patient group except schizophrenia. The results were following. In general, the impact of stigma perceived by respondents, most identified that stigma was moderate level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regardless of diagosis. And, Social stigm seems to be experienced because of their attending the mental hospital rather than by the kind of disgnosis, for there aren't any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Second, the patient got because of stigma, they identified moderate level they had difficult in getting marriage, willingness to admit mental illness, in working a job, ability to make & keep friend and in hurting self-esteem. But, they identified that they hadn't difficult in illness & treatment. This trend didn't affect the diagnosis itself. Third, the parients got because of stigma, they had been little affected by stigma. Only talking about their relative's mental illness to other people identified moderate level. Fourth, as perceived contributors to mental illness stigma, most identified the casual use of terms like "crazy", "psycho" etc, and the defensive attitude of avoiding the insane regardless of idiagnosis. In accordance with diagnosos, only schizophrenia of family saw jokes about mental illness and wrong policy of government about psychiatric hospitals. Except that perceived aids in coping with social stigma produced research findings which establish a biological basis for mental illness and interaction with other families with mentally ill relatives, many respondents said much responding to all items. This result appeared regardless of the sort of diagnosi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