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대학생의 자녀의 교육관에 나타난 이상적 리이더쉽유형

Yearly Trends in the Leadership Type Preference Among Korean College Entrants as Seen Through Their Preferred Child Rearing Mod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79, v.2 no.4, pp.252-258
金明勳(Myung-Hoon Kim) (明知大)
鄭永潤(Young-Yoon Chung) (陸軍士官學校)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新世代는 리이더쉽에 對하여 어떤 생각을 하고 있으며 또 民主的인 태도를 갖고 있는가를 알아 보고져 毎牢 서울의 特殊人学인 M人学의 新人生을 대상으로 1972年부터 1979年까지의 7 年間 (1978年度分은 資料紛失로 除外), K. Lewin이 分類한 세가지 類型<自由放任型, 民主型, 專制型>과 이 類型의 中間인 折衷型에까지 頌型 合計 7個類型에서 한 類型을 択하도록 하였다. 質疑者의 内容은 '將次 上司나 長'이 될 경우를 仮想하여 部下나 成員에 対하여 어떤 리이더쉽類型을 択하겠는가? 를 물을 수도 있으나 公式組織에서는 權威다 体面등이 反応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간접적인 질문방식으로 自己 子女의 養育問題를 다루어 나의 子女를 키우고 싶은 리이더쉽 (자녀의 양육방식)을 選肢選択으로 표시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들 大学生의 大多数가 民主一専制 折衷的인 것으로 보고 있다. (2)그 다음으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좋아하는 것부터 차례로 民主, 自由放仟一民主, 및 自由放任一専制一民主의 折衷型이었고 下位그룹에는 由放任型 尊制型과 自由故任一専制의 折衷型으로 되어있다. (3) 1979년에는 전년에 비해 民主一専制의 折衷型이 줄고 民主型이 현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앞의 時期에는 年的인 별다른 趨勢를鲁 보기 힘들었다. 다만 民主型이 1972년에서 1977年까지 계속 감소추세를 보였다.

keywords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what the younger generation's ideal leadership type is and whether the young people have a democratic attitude, incoming freshmen of a college from ),972 through 1979 (except the year 1978 for which data are lost) were asked to indicate one preferred type from anong seven different leadership type itself, the question asked the subjects to choose one leadership type under which they would rather rear their children as parents. The number of subjects varied from year to year from 235 to 381. The principal findings were (1)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considered a mixture of democratic and autocratic types as most ideal; (2) the next most preferred types, in the decreasing order, were the democratic type, the mixture of democratic and laissez-faire, and the mixture of democratic, autocratic, and laissez-faire The least preferred types were the laissez-faire type, the autocratic type, and the mixture of these two; and lastly (3) in 1979, as compared to previous years, the student preference for the mixture of democratic and autocratic declined while their preference for the democratic type clearly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the democratic type had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1972 until 1977 before it showed all upturn in 1979.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