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영역참조적 검사제작의 논리와 적용

Rationale and Application of Domain-Referenced Test Developmen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1, v.20 no.2, pp.305-325
이순묵 (성균관대 BK21 아동교육연구단)
김청택 (서울대 심리학과)
김명소 (호서대 산업심리학과)
설현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태용 (광운대 산업심리학과)
이도형 (삼성인력관리위원회)
임대열 (성균관대 응용심리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역참조적 검사제작의 논리를 적용하여 5급 국가고시(행정고시, 외무고시, 기술고시) 지원자들의 공직적격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PSAT: Public Service Aptitude Test)를 개발하였다. 그 동안 심리학자들이 제작한 검사는 거의 예외없이 규준에 비추어 검사를 해석하는 규준참조적 검사였다. 그에 반해서 본 연구에서는 이분모형에 따라 검사점수가 해석되는 영역참조적 검사를 제작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정의와 명세이다. 제작 순서로서, 우선은 공직적격성의 영역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과 심층면접을 통한 직무조사를 하였다. 결과로 언어능력, 상황판단능력, 자료해석능력, 사회상식 영역이 도출되었다, 문항 제작과정에서, 지원자 가운데 10%-15%가 합격하면서 그들이 전체 문항의 80%를 맞출 것이 요구되는 이분모형의 조건에 따라 문항의 곤란도가 설정되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검사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의 1모수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작된 검사의 영역참조적 신뢰도로서 두가지 방식을 사용하였다. 첫째는 이 검사에서 80% 이상 맞는 사람의 비율이 과연 10%-15%인지의 검토이고 둘째는 80%를 기준점으로 할 때 합격 불합격 판정이 두 개의 동형검사간에 일치하는 정도를 사용하였다. 타당화의 범위는 구성개념타당도로 제한하였다. 즉 영역간에 충분한 변별이 있는지 그리고 영역설계에 따라 검사의 1차 원성이 성립하는 정도를 검토하였는데, 영역간 척도의 상관은 현저하게 작아서 변별성을 보여주었고 각 영역의 1차원성은 영역설계시 세부화의 정도에 따라 달랐다.

keywords
영역참조검사, 준거참조검사, 규준참조검사, 문항반응이론, 척도연결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applied the logic of domain-referenced testing to develop Korean Public Service Aptitude Test. Most of tests developed by psychologists can be categorized into norm-referenced tests. In contrast, we developed a domain-referenced test following the logic of discrete model "having a cut-off score and selection ratio. The applicants are separated into two groups by the cut score(80% correct) and the proportion of passing applicants should be 10% ~ 15%. Applying the Rasch model of item response theory, we set an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for items satisfying the two conditions for the test: 80% correct as the cut score, selection ratio 10% ~ 15%. The reliability of the test was defined by the conditions imposed by the test user. The validity of the test is limited to construct validity(convergent/divergent validity), leaving the examination of criterion validity for the follow-up study.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cceptable, although they were not outstanding.

keywords
domain-referenced test, norm-referenced tests, item response theory, linking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6-11
수정일Revised Date
2001-11-2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1-2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