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과 자신의 성 전형화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Typing in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5, v.24 no.2, pp.85-104
양혜영 (영남대학교)
김경미 (영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과 자신의 성 전형화, 그리고 그 둘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남학생 165명, 공학여대생 292명, 여자 대학의 여대생 125명 총 582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한 타인과 자신 척도는 두 개의 문항 유형인 남성형, 여성형과 세 개의 영역인 직업, 활동, 특성에 대한 문항들을 담고 있었다.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에서 여학생(공학여대생과 여대생)이 남학생보다 평등적 태도를 보였다. 자신의 성 전형화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성 전형화된 반응을 보였다. 타인척도와 자신척도 간의 관계를 보면 여학생 집단에서 성 도식의 유연성의 증거가 나타났다. 남성적 직업과 활동에서 보다 평등적 태도를 보이는 공학여대생은 남성적 문항에 대한 자기 승인이 높았다. 남성적 직업, 활동, 혹은 특성에서 평등적 태도를 보이는 여학생은 여성적 문항에 대한 자기 승인이 낮았다. 타인과 자신의 문항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세 집단에서 동일한 세 개의 요인들이 추출되었다. 문항의 내용에 상관없이 타인에 대한 성 태도를 묻는 문항들은 하나의 단일한 요인을 구성하고, 자신의 성 전형화를 묻는 문항들은 여성형 문항들과 남성형 문항들이 각각 다른 요인을 구성하였다. 즉 타인에 대한 성 도식보다 자신의 성 도식이 보다 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gender typing, gender stereotypes, gender roles, gender schema, gender typing, gender stereotypes, gender roles, gender schema, 성 고정관념, 성 전형화, 성 역할, 성 도식

Abstract

The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attitudes toward others, gender typing of self, and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typing of others and self in 582 college students, which were 165 male students and 292 female students of colleges, and 125 female students of a college for wome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ssess gender attitudes toward others and the self perception in three domains: occupations, activities, and traits. Female students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across domains. In gender typing of sel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gender-typed self-endorsement.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typing of others and self showed that the flexibility of gender schema appeared among female students. Those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oward masculine occupations and activities showed greater endorsement of masculine items for self. Those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oward masculine occupations, activities, or traits showed less endorsement of feminine items for self.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of others and self measures revealed the three meaningful factors, which were gender attitudes, feminine self, and masculine self. Although the factor loadings varied slightly in the three groups of college students, the three factors were identical for the three groups.

keywords
gender typing, gender stereotypes, gender roles, gender schema, gender typing, gender stereotypes, gender roles, gender schema, 성 고정관념, 성 전형화, 성 역할, 성 도식

참고문헌

1.

(2003) 중ㆍ고등학생이 지각한 성 역할 정체성과 우울에 관한 연구,

2.

(2000) 성 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고찰,

3.

(1998) 대학생과 고등학생의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에 대한 비교조사,

4.

(1996) 성 고정관념: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실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

(1994) 아동 후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성 역할 발달에 관한 연구-성 고정관념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6.

(1999) 미디어 교육의 효과 연구 성 역할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7.

(1991) 대학생의 성 역할 태도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한양대학교 한국생활과학연구소,

8.

(2001) 성 고정관념: 왜 끈질긴가? ,

9.

(2003) 여성의 명시적 암묵적 자아해석에 미치는 성 고정관념의 영향,

10.

(2003) 무용전공 여대생의 성 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11.

(1995) 한국 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성 고정관념 성 역할 유형 및 문화에 따른 차이 ,

12.

(2000) 직장 여성의 성 역할 정체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13.

(2001) 상담자 성 고정관념이 내담자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14.

(2004) 중ㆍ고ㆍ대학생의 성 역할 정체감 발달과 변화,

15.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16.

(1981) Gender schema theory:A cognitive account of sex typing,

17.

(1999) A shifting standards perspective on the complexity of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stereotyping Sexism and stereotypes in modern society ,

18.

(1999) An overview of research on gender Four themes from 3 decades Sexism and stereotypes in modern society The gender science of Janet Taylor Spence,

19.

(2003) Influences of gender as a basic-level category in person perception on the gender belief system,

20.

(2001) Twenty-five years after the Bem Sex-Role Inventory:A reassessment and new issues regarding classification variability,

21.

(1983)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22.

(1994) Developmental aspects of gender role flexibility and traditionality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23.

(1991) The measurement of masculinity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Academic Press Inc

24.

(2002) The developmental course of gender differentiation :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evaluating constructs and pathways. ,

25.

(1981) A schematic processing model of sex typing and stereotyping in children,

26.

(1999)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gender effects and gender concepts Sexism and stereotypes in modern society The gender science of Janet Taylor Spence,

27.

(1998)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28.

(2002) and evaluating the developmental course of gender differenti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9.

(1993)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hildren's gender schemata:A meta-analytic review,

30.

(1999) Multidimensionality of gender schem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Sexism and stereotypes in modern society The gender science of Janet Taylor Spencr,

31.

(1972) The Attitudes Toward Women Scale:An objective instrument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rights and roles of women in contemporary society,

32.

(1993) Gender-related traits and gender ideology:Evidence for a multifactorial theory,

33.

(1996) A test of three models of gender constructs,

34.

(1997) The attitudes toward women scale and attitude change in college students,

35.

(2000)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Instrumental and expressive trai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