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외상후 위기 체크리스트: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osttrauma Risk Checklis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8, v.27 no.1, pp.235-257
주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안현의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용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Posttrauma Risk Checklist; PRC)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PRC는 외상적 사건이 발생한 이후 한 달 이내에 외상을 경험한 사람의 PTSD 발병 및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위험 요인들을 다양한 영역에서 점검하여 이후 PTSD로 진전될 위험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PRC의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PTSD를 발병, 지속, 심각하게 만드는 위험 요인들(이하 PTSD 위험 요인)을 개인(외상 전, 외상 당시, 외상 이후)영역, 외상영역, 회복환경영역으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예비 문항을 기술한 이후에 본 연구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93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 문항은 외상 관련, 외상 이전, 외상 당시, 외상 이후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예비 PRC의 질문지를 제작하여 만 18세 이상 일반 성인 20명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한 이후에 일부 문항을 이해하기 쉽게 수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질문지를 2주에 걸쳐 만 18세 이상의 일반 성인 집단에 중간 회수자를 통해 무작위로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외상 경험이 있는 442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PTSD 증상의 유무에 따라서는 무증상 집단, 부분 PTSD 집단, full PTSD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서는 약한 증상, 중간 증상, 심한 증상으로 구분하였다. 문항 분석(문항 변별도 지수 30이상이면서 문항-문항 총합 간 상관 .3이상인 문항들을 최종 문항으로 선별)을 통해 예비 문항 93문항 중 40문항을 제외하고 총 53문항을 선정하여 PRC가 개발되었다. PRC의 하위 영역들은 개인 영역(외상 당시 영역, 외상 이후 영역)과 외상 영역, 회복 환경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때 PRC의 하위 영역에서 개인 영역의 외상 이전 영역이 제외된 것은 문항 분석에서 개인 외상 이전 영역에 속하는 문항들이 모두 최종문항 선발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PRC 총점을 기준으로 외상 후 PTSD로 진행될 위험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절단 점수를 산출한 결과 16점 이하는 저 위기 수준으로 외상 후 회복되어 PTSD 증상이 없을 가능성이 높으며, 17점부터 26점까지는 중 위기 수준으로 외상 후 부분 PTSD 또는 full PTSD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고 증상의 심각도는 낮거나 중간 수준일 가능성이 높으며 27점 이상은 고 위기 수준으로 외상 후 부분 PTSD 또는 full PTSD로 진전될 위험이 높으며 증상의 심각도가 높은 수준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PRC의 위기 구분에 따른 저 위기, 중 위기, 고 위기 집단 구분은 지각된 생명의 위협 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 점수 및 총점에서 명확하였고 PRC는 PDS(r=.72, p<.01), BAI(r=.65, p<.01), BDI(r=.52, p<.01)와 높은 상관을 지니고 있어 동시 타당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keywords
외상,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요인, PRC, trauma, Posttrauma Risk Checklist, PTSD, PTSD risk factor, PRC, trauma, Posttrauma Risk Checklist, PTSD, PTSD risk factor, PRC

Abstract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posttrauma risk checklist (PRC) for adults and tested its validity. PRC was develop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 in order to examine risk factors in several areas that affect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TSD within a month after from the traumatic incident an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TSD. In order to develop the questions in PRC, we reviewed literature on risk factors that cause, prolong and worsen PTSD (PTSD risk factors). PTSD risk factors were extracted for the personal area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rauma), the trauma area and the recovery environment area. From the extracted PTSD risk factors were drafted preliminary questions. Then the questions were verified by a group of specialists that resulted in a total of 93 questions. Because PRC is a test to be us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tic incident, the subjects for the development of PRC were selected from adults aged over 18 who had experienced a trauma, and as a result, a total of 442 adults were sampl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asymptomatic group, a partial PTSD group and a full PTSD group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symptoms. Through analyzing the questions (the discriminant index of each ques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s of a pair of questions), we excluded 40 out of the 93 preliminary questions, and developed the final PRC consisting of the 53 questions. The sub‐areas of PRC are the personal area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rauma), the trauma area and the recovery environment area. Based on the total score of PRC, the low risk level was set at 16 points or less (i.e., expected possibility of recovery without PTSD symptoms), the moderate risk level was set between 17 and 26 (i.e., expected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partial or full PTSD with a light to moderate symptoms). The high risk level was set at 27 points or higher (i.e., highly possible for developing into partial or full PTSD with a severe symptoms). The classification into the low risk, moderate risk and high risk groups according to risk level in PRC was clear in the score of each sub area and the total score except the area of perceived threat to life. PRC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PDS (.72, p<01), with BAI (.65, p<01) and with BDI (.52, p<01), confirming that it has concurrent validity.

keywords
외상,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요인, PRC, trauma, Posttrauma Risk Checklist, PTSD, PTSD risk factor, PRC, trauma, Posttrauma Risk Checklist, PTSD, PTSD risk factor, PRC

참고문헌

1.

김순진, 김환 (2000).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 경험의 후유증. 서울: 학지사.

2.

송승훈 (2006).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

신응섭, 채정민 (199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통합적 접근. 서울: 하나의학사.

4.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7, 217-231.

5.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 98-113.

6.

은헌정, 이선미, 김태형 (2001). 일 도시 지역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신경정신의학, 40, 581-591.

7.

육성필, 김중술 (1996).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한국 심리학회 96연차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41-49.

8.

한국심리학회 (2002). 심리검사: 제작 및 사용지침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9.

Allen, J. G. (2005).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Understand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orporation.

1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s.

11.

Beck, A.T., Epstein, N., Brown, G. & Steer, R.A. (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93-897.

12.

Blanchard, E. B., Hickling, E. J., Taylor, A. E., Loos, W. R., Forneris, C. A., & Jaccard, J. (1996). Who develop PTSD from Motor Vehicle Accid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4, 1-10.

13.

Brewin, C. R., Andrews, B. & Valentine, J. D. (2000).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 Exposed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748-766.

14.

Carty, J., O'Donnell, M. L. & Creamer, M. (2006). Delayed-onset PTSD: A prospective study of injury survivo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0, 257-261.

15.

Cusack, K. J., Grubaugh, A. L., Knapp, R. G. & Frueh, B. C. (2006). Unrecognized Trauma and PTSD among Public Mental Health Consumers with Chronic and Severe Mental Illnes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2, 487-500.

16.

Ehlers, A. & Clark, D. M. (2000), A cognitive 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 319-345.

17.

Foa, E. B., Cashman, L., Jaycox, L. & Perry, K. (1997).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 445-451.

18.

Frans, O. & Aberg, L. (2005). Trauma exposur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general population. Acta Psychiatr Scan. 111, 291-299.

19.

Green, B. L., Wilson, J. & Lindy, J. D. (1985). Conceptualiz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psychosocial framework. InC. Figley(Eds), Trauma and its wake: the study an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New York; Brunner/Mazel..

20.

Grubaugh, A. L., Magruder, K. M., Waldrop, A. E., Elhai, J. D., Knapp, R. G. & Frueh, B. C. (2005). Subthreshold PTSD in Primary Care Prevalence, Psychiatric Disorder, Healthcare Use, and Functional Statu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3, 658-664.

21.

Mayou, R., Bryant, B.& Duthie, R. (1993). Psychiatric consequences of road traffic accidents. BMJ, 307, 647-651.

22.

McFarlane, A. C. (1988). The longitudinal course of posttraumatic morbidity: the range of outcomes and their predictor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6, 30-39.

23.

McFarlane, A. C. (1989). The aeti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morbidity: predisposing, precipit-ating and perpetuating factor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4, 221-228.

24.

Mcnally, R. J., Bryant, R. A. & Ehlers, A. (2003). Does early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mote recovery from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 45-79.

25.

Ozer, E. J., Best, S. R., Lipsey, T. L. & Weiss, D. S. (2003).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ymptoms in Adult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9, 52-73.

26.

Shalev, A. Y., Freedman, S., Peri, T., Brandes, D., Sahar, T., Orr, S. P. & Pitman, R. K. (1998). Prospective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Following Trauma. Am J Psychiatry, 155, 630-637.

27.

Shalev, A. Y., Peri, T., Canetti, L. & Schreiber, S. (1996). Predictors of PTSD in Injured Trauma Survivors: A Prospective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3, 219-22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