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외향성 및 신경증적 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8, v.27 no.2, pp.373-387
정민 (전남대학교)
노안영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향성 및 신경증적 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향성 및 신경증적 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외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신경증적 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외향성 및 신경증적 경향성과 인지양식과의 관계에서 외향성이 증가할수록, 신경증적 경향이 증가할수록 장의존 인지양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독립 인지양식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외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이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증적 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이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기 위해 외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및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 모두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추후 성격 및 인지양식의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keywords
외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심리적 안녕감,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 extraversion, neuroticism, psychological well-being,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Abstract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in relation among college students'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personality,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factors of personality,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Field dependence group scored higher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Third,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Field independence group scored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t was proved that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exerted as moderating variable among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variables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to help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keywords
외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심리적 안녕감,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 extraversion, neuroticism, psychological well-being,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참고문헌

1.

구재선 (2005).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지연, 이종희 (2003). 유아의 인지양식과 성격에 따른 놀이 스타일의 차이. 생활과학연구, 8, 205-216.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4.

김희선 (1998). 대학생의 내․외향성, 인지양식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안영, 강영신 (2006). 성격심리학. 서울: 학지사.

6.

동아일보 (2007. 2. 8.). 작년 4년제 대졸자 취업률 63%…취업까지 평균 27.8회 응시.

7.

박정희 (1997). 여대생의 장의존 및 장독립적 인지양식과 사회성과의 관계. 아동교육, 6, 127-142.

8.

백지연 (1995). 인지양식․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연구. 이와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세계일보 (2008. 4. 8.). 한국 근로시간 1위... 삶의 질 OECD 최하위권.

10.

신명희, 서은희 (2003). 인지양식 유형과 전공계열 및 학업적응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1, 139-154.

11.

신민섭 (1984). 자아강도의 강-약과 자의존성, 독립성과의 관계에서 Rorscharch 반응상의 1차 과정사고의 표현 및 통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신은영 (1988). 아동의 장독립성 인지양식과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지연 (2007). 대학생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창규, 이경임 (1996). NEO 인성검사의 해석과 활용. 서울: 한국가이던스.

15.

유희정 (1987). 노인의 성격특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외-내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1). 1-8.

16.

윤진 (1985).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7.

이인혜 (1997). 성격, 유쾌한 및 불쾌한 생활경험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NEO 성격모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209-219.

18.

장일기, 임현교 (1996). 인지양식과 성격유형에 근거한 행동특성 분석의 안전관리응용. 한국안전학회 ‘96 추계학술연구발표회. 183-188.

19.

전윤식, 장혁표 (1983). 집단잠입도형검사 실시요강. 서울: 코리안 테스팅 센터.

20.

진희경 (1996). 중학생의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과 역학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경숙 (1988). 직관과 장독립 인지양식과의 관계. 인문과학, 18, 129-145.

22.

Atchley, R. C. (1980). The social forces in later life: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3rd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3.

Brief, A. P., Bucher, H., George, J. M., & Link, K. E. (1993). Integrating bottom-up and top-down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case of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46-653.

24.

Costa, P. T. Jr. & McCrae, R. R. (1992).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NEO-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Neo-FFI) professional manual. Odessa, FI: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5.

DeNeve, K. M., Cooper, M., Kristina, & Harris, M, F. (1998).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4, 98.

26.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27.

Kette, G. (1990). Determinanten der Geschworenenentscheidung. Archiv für Psychologie, 142, 37-32.

28.

Kimble, G. A. & Garmezy, (1963). Principle of general psychology, 3rd. ed., NY: The Ronald Press.

29.

Rusting, R. L. & Cheryl, L. (1998). Personality, mood, and cognitive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Three conceptual frameworks, Psychological Bulletin, 124, 98-102.

30.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31.

Witkin, H. A., Goodenough, D. R., & Oltman, P. K. (1979).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Current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127-1145.

32.

Witkin, H. A, Oldman, P., Raskin, E., & Karp, S., (1971). A manual for the embedded figures tests.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s Pres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