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급 내 집단 괴롭힘에 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개입과정에 대한 연구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Homeroom Teachers' Experiences on Bullyi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9, v.28 no.1, pp.167-188
방기연 (한국디지털대학교)
이규미 (아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난 2년 내 학급에서 집단 괴롭힘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는 9명의 담임교사를 면접하여 교사의 사건에 대한 대응, 사건 후 인지적․정서적 경험을 조사하고, 교사에게 집단 괴롭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탐색하였다. 교사들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집단 괴롭힘 사건이 진행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학급 운영자로서의 자신감을 상실했고,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몰라서 막막했다. 교사는 집단 괴롭힘 사건의 성격과 관여한 학생들을 조사하고, 가해 학생을 훈육하고 부모에게 가해 사실을 알렸다. 교사가 피해 학생의 부모에게 자녀의 피해사실을 알린 경우도 있지만, 피해 학생의 부모는 교사보다 먼저 자녀의 피해 상황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집단 괴롭힘 사건 이후 교사들은 집단 괴롭힘을 허용하지 않을 것을 학생들에게 명확히 밝혔고, 항상 학급에 별다른 일은 없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믿을 수 있는 학급 임원들에게 학급의 상황을 보고받았고, 괴롭힘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학생에게는 친구를 붙여주었다. 이러한 담임교사들의 집단 괴롭힘 예방 활동은 효과적이었으며 그 후 집단 괴롭힘 사건은 재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여전히 교사들은 집단 괴롭힘에는 해결책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집단 괴롭힘이 언제 다시 일어날지 몰라 불안해했다. 교사들은 집단 괴롭힘 사건을 통해 상실한 학급 운영자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입학과 교사 동호회 참여 등의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되었으며, 집단 괴롭힘 현상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심리사회적 교육의 필요성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bullying, homeroom teacher, prevention, school counselor, 집단 괴롭힘, 교사의 경험, 질적 연구, 현상학적 방법, 전문상담교사, bullying, homeroom teacher, prevention, school counselo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bullying incidents in their own homerooms. Most bullying occurs in schools and thus teachers are essential to intervention efforts. However, research on bullying did not investigate the voice of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bullying in their homerooms. A purposeful sampling approach was used to generate information-rich cases that illuminated the study and elucidated variation as well as significant common patterns with in that variation. Criteria for inclusion were to have bullying incidents in their homerooms in recent 2 years. Nine teachers, seven females and two 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ve of them worked at elementary schools and four of them worked at secondary schools. Each case was idiosyncratic but shared commonalities. Teachers did not recognize bullying phenomena until the victim was extremely suffered. Teachers lose their confidence as a classroom manager since they realized their limit and did not know how to intervene. Teachers investigated the bullying phenomena and stopped violent actions of bullies. Teachers referred victims to professional counselors. After experiencing bullying, teachers were always alert regarding bullying and observed all students, and asked once in a while student leader about classroom atmosphere. Teachers also helped potential victims to have a friend. Their prevention efforts were rewarded as no bullying after all, but teachers were always anxious that bullying might happen again. They lost their confidence because of bullying incidents and tried to recover their confidence as a classroom manager through entering graduate programs in counseling and joining teachers' net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moral and psychosocial education regarding bullying and tolerance about individual differences.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keywords
bullying, homeroom teacher, prevention, school counselor, 집단 괴롭힘, 교사의 경험, 질적 연구, 현상학적 방법, 전문상담교사, bullying, homeroom teacher, prevention, school counselor

참고문헌

1.

곽금주 (2008).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255-272.

2.

구본용(1997).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림을 하는 아이들, 당하는 아이들.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3.

김귀연, 김경연 (2005). 아동의 위축 및 공격성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관계: 거부적 양육행동, 또래 괴롭힘, 부정적 부모 표상 및 부정적 또래 표상의 인과효과. 아동학회지, 26(6), 1-20.

4.

김영아, 김연아 (2008). 유아교육기관 내 또래 괴롭힘 현상에 대한 교사, 예비교사, 어머니의 인식비교. 열린 유아교육연구, 13(1), 279-300.

5.

김은영 (2008).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학, 26, 87-111.

6.

김은정, 김인경, 정태연 (2001). 집단 괴롭힘을 당하는 집단의 심리적 취약성. 한국심리학회: 임상, 20(2), 245-257.

7.

김혜원, 이해경 (2000). 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관련경험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탐색: 초, 중, 고등학생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5(1), 183-210.

8.

도현심 (2001). 또래 괴롭힘 피해아의 경험에 관한 심층 면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 (2), 1-16.

9.

박경애, 방기연 (2007).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연구, 8(3), 1185-1204.

10.

박효정, 정미경, 박종효 (2006). 학교폭력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11.

법제처 (2008).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법률8887호). www.klaw.go.kr.

12.

이성식, 전신현 (2000). 학교에서의 집단 괴롭힘의 상황 요인과 집단 역학 과정. 형사정책, 12(1), 155-183.

13.

이상민, 오인수, 서수현 (2007).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39-567.

14.

이춘재, 곽금주 (1999). 학교에서의 집단 따돌림: 실태, 특성 및 대책. 서울: 집문당.

15.

이해경, 김혜원 (2001). 초등학생들의 집단 괴롬힘 가해 행동과 피해 행동에 대한 사회적․심리적 예측 변인들: 학년과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117-138.

16.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삼성중공업 (2008). 2007 학교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17.

Beane, A. L. (2005). The Bully Free Classroom. Free Spirit Publishing Inc., Minneapolis, MN.

18.

Idsoe, T., Solli, E., & Cosmovici, E. M. (2008). Social psychological processes in family and school: More evidence on their relative etiological significance for bullying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34(5), 460-474.

19.

James, D. J., Lawlor, M., Courtney, P., Flynn, A., Henry, B., & Murphy, N. (2008). Bullying behavior in secondary schools: What roles do teachers play? Child Abuse Review, 17, 160-173.

20.

Kochenderfer-Ladd, B, & Pelletier, M. E. (2008). Teachers' views and beliefs about bullying: Influences on classroom management strategies and students's coping with peer victimiza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6(4), 431-453.

21.

Moustakas, C.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22.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Malden, M. A: Blackwell.

23.

Wienke Totura, C. M., Green, A. E., Karver, M. S., and Gesten, E. L. (2008). Multiple Informants in the assessment of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academic correlate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middle school. Journal of Adolescence, 32(2), 193-2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