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심리학회 연구진실성심사 운영세칙 제정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

The significance of the KPA's Regulations of Reviewing Procedures for Research Integrity and the remaining task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0, v.29 no.1, pp.133-147
김혜숙 (아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 심리학회에서 2009년 2월에 제정한 연구진실성심사 운영세칙 제정의 원칙, 의미 및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 세칙은 표절, 이중출판 등의 연구부정행위를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출판관련 세부 규정들을 제안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새로운 점은 연구부정행위 심사의 주체와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새로이 제정된 연구진실성심사 운영세칙의 한계와 앞으로의 개선점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현재의 한국 심리학회 연구윤리 관련 규정에서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eywords
한국심리학회, 연구진실성심사, 운영세칙, 심리학자윤리규정, 앞으로의 과제, KPA, Regulation's of Reviewing Proceduares for Research Integrity, KPA's ethics code, future tasks

Abstract

The present paper introduced the principles, significance as well as the major contents of establishing the new KPA's Regulations of Reviewing Procedures for Research Integrity, which was made by KPA in 2009. KPA's Regulations of Reviewing Procedures for Research Integrity includes regulations on such unethical acts as plagiarism and double publication,, detailed regulations on publication, as well as the rules for reviewing procedures for unethical research acts. I also indicated the limits and the improvement to be needed in the future of this newly made Regulations. Finally, I also mad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Ethics Regulations of KPA, related to research ethics.

keywords
한국심리학회, 연구진실성심사, 운영세칙, 심리학자윤리규정, 앞으로의 과제, KPA, Regulation's of Reviewing Proceduares for Research Integrity, KPA's ethics code, future tasks

참고문헌

1.

APA (2002). Ethical principles of psychologists and code of conduct.

2.

Princeton University (2006). Rights, Rules and Responsibilities.

3.

김혜숙 (2009). 연구진실성심사 운영세칙 제정의 의의와 앞으로의 윤리규정 과제. 한국심리학회 2009 연차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pp.94-95.

4.

서울대학교 (2008). 서울대학교 연구진실성위원회 규정.

5.

이화여대 (2003). 연구진실성위원회 규정.

6.

정경미 (2009). 학과윤리위원회의 실질적 운영 및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 2009 연차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pp.98-99.

7.

최훈석 (2009). 연구 진실성 세칙. 한국심리학회 2009 연차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pp.96-97.

8.

한국심리학회 (2003). 심리학자 윤리 규정.

9.

학술진흥재단 (2006). 연구윤리소개. 서울.

10.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외국 대학의 연구윤리 확립 활동 사례. 서울

11.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연구윤리실태조사.

12.

학술진흥재단 (2008). 제4차 연구윤리포럼-연구 윤리 확립을 위한 도전과 실천. 서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