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ounselors Working with Internationally-Married Female Migra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0, v.29 no.4, pp.817-846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이현정 (백석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한국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 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이들의 적응상의 다양한 문제와 심리적인 어려움이 밝혀지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상담 개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상담에서 중요한 도구인 상담자에 대한 관심이나 학문적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을 하고 있는 다문화 상담 종사자들의 개인적․전문적 현장경험과 고민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종사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근거하여 녹음된 면접 자료를 주요개념과 범주로 유목화하는 방법을 통해 공통적인 보고 내용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3개의 중심개념과 각각 3개의 영역, 총 9개의 주제로 나왔고, 이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심개념은 다문화 상담 종사자들의 심리적 상태로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영역 1) 상담자로서의 정체성의 혼란; 영역 2) 내담자와 관계 양상; 영역 3) 고립감․외로움 및 소진. 두 번째 중심개념은 상담 종사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 다음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영역 1) 다중업무 수행; 영역 2) 문화적 차이를 포함한 내담자의 특성; 영역 3) 사회적 인식 및 지지. 마지막으로 세 번째 중심개념은 대처방안으로 이 역시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영역 1) 상담자의 정신적 건강을 위한 지지 체계; 영역 2) 다문화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화 교육; 영역 3) 통합적인 조율을 통한 업무 효율성 확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종사자들이 상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다문화 상담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
multicultural counselors, multicultural counseling, internationally-married female migrants, cultural competency, burnout, 다문화 상담 종사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상담, 문화적 역량, 소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ounselors working with internationally-married female migrants in order to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and difficulties they face in multicultural counseling field. 12 counselors were interviewed an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3 main concepts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psychological state, difficulties, and strategies suggested by the counselors to solve those issu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to satisfy the counselor's needs and enhance expertise in effectively providing multicultural counseling for internationally-married female migrants.

keywords
multicultural counselors, multicultural counseling, internationally-married female migrants, cultural competency, burnout, 다문화 상담 종사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상담, 문화적 역량, 소진

참고문헌

1.

강유진 (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

고은아, 김광웅 (2001).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 경험과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4(1), 3-14.

4.

광주여성의 전화 (2004). 광주․전남지역 결혼한 이주여성 실태 보고 및 토론회. (사)광주여성의 전화 부설 광주가정 폭력상담소.

5.

교육부 (2006). 2006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6.

권복순, 차보현 (2006).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3), 109-134.

7.

김광수 (2008). 다문화사회와 학교상담의 역할과 과제. 서울교대 다문화연구소.

8.

김성한 (1997).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연희 (2007).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사회복지연구, 35, 117-144.

10.

김오남 (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1.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2.

박외숙 (1996). 다문화적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에 대한 검토. 한국심리학회 창립 50주년 동계 연구 세미나 자료.

13.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1.

14.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위원 정책방안.

15.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방안. 보건복지부.

16.

송미경 (2008).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상담의 모색. 여성연구논총, 23, 41-51.

17.

송미경, 신효정, 이은경(2008).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140, 한국청소년상담원, 1-46.

18.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pp.321-349). 한올

19.

이무영, 강기정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20.

이미승, 김갑숙 (2008).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3(4), 123-143.

21.

이병준 (2007). 다문화역량이란 무엇인가? 한국교육사상연구회, 37, 1-11.

22.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3.

이재창 (1996). 전문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8(1), 1-25.

24.

임은미, 정성진, 김은주 (2009). 국내 다문화 연구와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상담학 연구, 10(3), 1291-1304.

25.

임춘희 (2007). 상담실무자가 지각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담업무와 근무환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83-105.

26.

조선일보 (2009). 피부색은 달라도 모두 한국인. 2009. 1. 28. D 1면.

27.

조영달 2006). 다문화 가정교육 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8.

지승희 (2001).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 요인 연구: 애착이론적 조망에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진혜전 (2009). 다문화 가정 주부의 적응을 돕는 소시오드라마의 유용성.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 12(1), 11-22.

30.

최명민, 이기영, 최현미, 김정진 (2009).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학지사.

31.

최원희, 최혜지, 최연선 (2008). 다문화적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화적 유능감 실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6, 89-113.

32.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81-598.

33.

최은영 (2008). 사회적 문제해결 모형과 보편적 치료 조건을 기초로 한 다문화 상담자의 자기 상담 과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4.

최혜윤, 정남운 (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35.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3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Ⅱ).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Ⅲ).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8.

한재희 (2004). 한국의 가족문화와 다문화 상담. 진리논단, 16, 117-133.

39.

행정안전부 (200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40.

홍달아기, 채옥희 (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4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9). Guidelines for providers of psychological services to ethnic, linguistic, and culturally diverse populations. retrieved from www.apa.org/pi/guide.html

42.

Atkinson, D. R., & Lowe, S. (1995). The role of ethnicity, cultural knowledge, and conventional techniqu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J. G. Ponterotto, J. M. Casas, L. A. Suzuki, & C. M. Alexander (Eds.), Handbook of multicultural counseling (pp.387-414). Thousand Oaks, CA: Sage.

43.

Atkinson, D. R., Thompson, C. E., & Grant, S. K. (1993). A three-dimensional model for counseling racial/ethnic minoriti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1, 257-277.

44.

Brohl, K. (2006).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worker burnout. Children's Voice, 15(5), 32-33.

45.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46.

Cross, T., Bazron, B., Dennis, K., Issacs, M.(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47.

D'Andrea, M., & Heckman, E. F. (2008). A 40-Year Review of Multicultural Counseling Outcome Research: Outlining a Future Research Agenda for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Move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6, 356-363.

48.

Delia, C., & Patrick, T. (1996). Stress in clinical psychologis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42, 141-149.

49.

Flaskerud, J. H. (1986). Effects of culture- compatible intervention on the utilization of mental heatlh services by minority client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2, 127-141.

50.

Flaskerud, J. H. (1991). Effects of Asian client-therapist language, ethnicity and gender match on utilization and outcome of therap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7, 31-42.

51.

French, J., & Caplan, R. D. (1987). Organizational stress and individual strain. In D. W. Organ (Ed.), The Applied psychology of work behavior: A book of reading (pp.307-339). Business Publication.

52.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4), 517-572.

53.

Joo, E. (2009). Counselors in South Korea: A qualitative study of senior professional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7 (4), 466-475

54.

Kim, I. J., Kim, I. I., & Kelly, J. G. (2006).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e oin working with Korea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2), 149-165.

55.

Linda G. Castillo., Daniel F. Brossart., Carla J. Reyes, Collie W. Conoley., & Marion J. Phoummarath. (2007).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on perceived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implicit racial prejudice.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35, 243-254.

56.

Luquis, R. R. and Perez, M. A. (2006). Cultural competency among school health educators, Journal of Cultural Diversity, 13(4), 217-222.

57.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58.

McPhatter, A. (1997).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76(1), 255-278.

59.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02). NASW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practice. http://nasdc.org/pubs/standards/ cultural.htm.

60.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02). NASW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practice. http://nasdc.org/pubs/standards/ cultural.htm.

61.

Orlinsky, D. E. & Ronnestad, M. H. (2004). How psychotherapists Develop.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2.

Pazin, J. S. (2001). The effects of burnout on doctoral counseling students in CACREP - accredited universiti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 Social Sciences, 61(9-A). 3476.

63.

Raquepaw, J. M., & Miller, R. S. (1989). Psychotherapist burnout: A componential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 Practice, 20, 2-36.

64.

Rizzo, J. R., House, R. J., &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 150-163.

65.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MA: Allyn & Bacon.

66.

Staruss, A. & Corbin, J. (1994).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 overview. In N Denzin & Y.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273-285). Thousand Oaks, CA: Sage.

67.

Stebnicki, M.A. (2008). Empathy fatigu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68.

Sue, S. & Sue, D. (2003).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Theory and practice. Pacific Grove, CA: Brooks/Cole.

69.

Sue, S. (ed). (1998).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Multicultural aspects of counseling series 11.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0.

Sue, S. (ed). (1998).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Multicultural aspects of counseling series 11.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1.

Sue, S., Fujino, D. G., Hu, L., Takeuchi, D. T., & Zane, N. W. S. (1991).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ethnic minority groups: A test of the cultural responsiveness hypothe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 533-540.

72.

Switzer, G. E., Scholle, S. H., Johnson, B. A., & Kelleher, K. J. (1998). The Client Cultual Competence Inventory: An Instrument for Assessing Cultural Competence in Behavioral Managed Care Organization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7(4), 483-49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