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Y-G 성격검사의 타당화연구

A Validation Study of Yatabe-Guilford Personality Tes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0, v.3 no.1, pp.28-37
李舜堯(Soon-Yo Lee) (高麗大學校 產業工學科)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韓國版 Y-G性格檢査의 妥當性을 檢證하기 위하여 問項分析과 構造分析을 실시하였다. 이 分析을 위한 分析對象으로서는 問項分析을 위하여 業種別 職能別로 생플링된 管理監督者 3,110名으로 하였고, 構造分析을 위하여 韓國의 髙校生 715名과 日本의 髙校生 961名으로 하였고, 分析方法으로는 問項分析의 信賴度를 위하여 內的一致信賴度를, 構造分析을 위하여 多變量解析法인 Varimax法, Promax法 및 Factormax法을 이용하였다. 첫째, 問項分析 結果, 각 尺度에 配當된 質問問項이 불과 10問項인데도 불구하고 0.78~0.93의 대단히 높은 信賴度係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의 尺度를 情緖不安定性耍因(D, C, I, N), 社會不適應要因(O, Co), 衝動性要因(G, R), 主導性要因(A, S) 등의 尺度群으로 하여 檢査結果를 프로필로 診斷하는 信賴度는 더욱 더 높아지게 된다. 둘째, 要因構造分析 結果, 對應要因間의 一致度係數와 相關은 1.00에 가까운 대단히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韓日兩國에서 얻은 要因構造의 同一性은 거의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12개의 尺度平均値를 비교하면 거의 모든 尺度에 대하여 有意性있는 差가 보인다. 이 尺度平均의 差를 兩國의 實體的인 氣質差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實體遨를 檢出하기 위하여 Bilingual한 被驗者에 의한 情報로 修正하면 보다 精密한 國際的 比較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세째, 構造型分所 結果, 12개 尺度 중 9개 尺度(D, I, N, O, Co, G, T, A, S)는 一致構造型이었고 C尺度는 準-致構造型이었으므로 이들은 거의 改良없이 韓日男女의 4集圍에 대하여 轉移可能性이 保證되나, R尺度는 類似搆造型으로서 한 두 項目에 대한 再檢討를, 그리고 Ag尺度는 互換作用型으로서 尺度水準에 대한 檢討를 통하여 다소 調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Abstract

A validation study of Y·G personality tes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em analysis yielded a very high coefficient of reliability of 12 scales. The reliability was much improved if the scales were rearranged into groups. Second,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factor congruence and correlation between the antithetical factors were very high an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wa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 Japanes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9 out of 12 scales were congruent structures, whereas C scale was semi-congruent structure, the R scale was similarity structure and the Ag scale was interaction structure. Thu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o both sexes of two countries was assured, although some items of the R scale and the scale level of the Ag scale should be reexamined. The above mentioned results affirm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Y-G personality test of a Korean vers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