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의 관련 변인 분석 - 부모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Parenting Behaviors, Child'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Bullying/Being bulli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1, pp.45-67
박진영 (성신여자대학교)
채규만 (성신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집단 따돌림의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부모 양육 행동과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이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천 소재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여학생 481명(총 15학급)을 대상으로, 집단 따돌림 가해 척도와 피해 척도를 이용하여 집단 따돌림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 가해-피해 집단을 구분하였다.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 경험 정도는 성별, 학년, 부모 동거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집단 따돌림 경험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고, 관련 변인 중 집단 따돌림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낮을수록, 부정적 양육 태도가 높을수록 집단 따돌림 경험이 더 높았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미성숙할 경우 집단 따돌림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 태도,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과 집단 따돌림 경험간의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집단 따돌림 가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은 해석 능력과 모의 거부적 태도였다. 집단 따돌림 피해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의 공격적·적대적 태도, 수행평가능력, 역할수행능력, 부의 온정적·애정적 태도, 목표설정능력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의 양육 행동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 경험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집단 따돌림 피해 아동, 집단 따돌림 가해 아동, 부모 양육 행동,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bullying, being bullied, parenting behaviors, child'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skills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parental rearing behaviors, child bullies' and victim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fluence their behaviors associated with bullying. The results of a survey on 481 male and female children,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15 classes in all, of a primary school in Inchon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bullying or being bullied behaviors greatly varied depending on their gender, grade and their parents' marital life. Secon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group of bullies and victims scored lower on the good parental rearing behavior scale but higher on the bad parental rearing behavior scale. Third, child'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relation to bullying. For example, the group of bullies and victims showed lower scores on both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an the norm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child bullies' and victim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ir parents' rearing behavi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child bullies' and victims' behaviors. This study also includes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keywords
집단 따돌림 피해 아동, 집단 따돌림 가해 아동, 부모 양육 행동,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bullying, being bullied, parenting behaviors, child'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skills

참고문헌

1.

강은희 (2002).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분석-자기애 성향, 지배성, 사회‧학업적 경쟁심 및 마키아벨리적 신념의 차이-.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

강진령, 유형근 (2000). 집단 괴롭힘. 서울: 학지사.

3.

구본용 (1997). 청소년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4.

김강희 (2004). 초등학생들의 집단 따돌림 경험과 자기능력지각 및 학교 적응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5.

김선애 (2007). 가족기능의 상실과 집단따돌림의 가해 피해와의 관계. 지성과 창조, -(10), 221- 244.

6.

김선희 (2004). 부모양육태도 및 아동학대피해와 집단따돌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서울시 저소득 지역의 중․고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7.

김옥엽 (1999). 전라북도 지역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대학원논문집, 23, 85-124.

8.

방신의 (2003).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대인관계성향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9.

송미선 (2007). 신도시 초등학교 중학년 집단따돌림 실태 및 관련변인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안정만 (2001).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피해 경험이 학교폭력 대처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유지영 (2004).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성숙도와 집단따돌림 피해정도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2.

이규미, 문형춘, 홍혜영. (1998). 상담 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현상. 서울 청소년 상담 연구 Ⅲ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상담실.

13.

이상균 (1999). 중학생 또래 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학, 37, 357-379.

14.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5.

이주현, 신지용, 연병길, 한창환 (2000).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2), 221- 230.

16.

이춘재, 곽금주 (2000).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 65-80.

17.

이훈구 (2000). 사회문제와 심리학. 법문사.

18.

장미향, 성한기 (2007).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경험과 사회정체성 및 사회지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77-87.

19.

전재천 (1999).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

전윤식․강영심 (1987).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연구보, 23(1), 47-74.

21.

최윤정, 김종원, 진혜경 (2001). 학령기의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한국 아동 인성 검사를 이용하여. 소아‧청소년 정신 의학, 12(1), 94-102.

22.

표내숙, 정상훈, 표경희 (2008).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애착관계와 교우관계기술의 차이. 교과교육학연구, 12(3), 815- 835.

23.

한겨레21 (2007. 4. 26). 총기 ‘집착’이 괴물을 낳았다, 657.

24.

한준상 (2002). 집단따돌림과 교육해체. 서울: 집문당.

25.

Fox ClaireL, Boulton MichaelJ. (2005). The social skills problems of victims of bullying: self, peer and teacher perceptions. Th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2), 313-328.

26.

Georgiou, SteliosN. (2008). Parental style and child bully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at school.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11(3), 213-227.

27.

Holt MelissaK., Kaufman Kantor, Glenda Finkelhor, David. (2009). Parent/Child Concordance about Bullying Involvem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Related to Bullying Peer Victimization. Journal of school violence, 8(1), 42-63.

28.

Hsi-Sheng Wei, James Herbert Williams, Ji-Kang Chen, Hisu-Yu Chang. (2010).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eacher practice, and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on students' bullying: A multilevel analysis of public middle school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2(1), 137-143.

29.

O'Brien, Catherine. (2007). Peer devaluation in British secondary schools: young people's comparisons of group-based and individual- based bullying. Educational research, 49(3), 297-324.

30.

Olweus, D. (1994). Bullying at school : Basic facts and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me. Promotion&Education, 1, 27-31.

31.

Peter K. Smith, Paul Brain. (2000). Bullying in schools: Lessons from two decades of research. Aggressive Behavior, 26, 1-9.

32.

Pontzer, Daniel. (2010). A Theoretical Test of Bullying Behavior: Parenting, Personality, and Bully/Victim Relationship. Journal of family violence, 25(3), 259-273.

33.

Spriggs, A. L. Iannotti, R. J. Nansel, T.R. Haynie, D.L. (2007). Adolescent Bullying Involvement and Perceived Family, Peer and school Relation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cross Race/Ethnicit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41(3), 283-29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