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침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Self-sil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1, pp.69-97
김명화 (명지대학교)
홍혜영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침묵수준과 대인관계의 질, 우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침묵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대학생 513명(남 258명, 여 255명)을 대상으로 자기침묵척도, 우울척도, 대인관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에서 남여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학생이 대인관계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침묵과 우울은 남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기침묵과 우울, 대인관계에 대한 상관분석을 한 결과 남여 모두 자기침묵은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우울과 대인관계는 부적상관, 자기침묵과 대인관계 또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자기침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자기침묵이 대인관계에 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우울이 대인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침묵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침묵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우울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침묵을 많이 할수록 더 우울해지고 우울할수록 대인관계의 질을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느끼는 대학생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의 자기침묵과 우울의 중요성을 시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Self-Silencing,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자기침묵, 대인관계, 우울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level of self-silence, quality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513 students(male:258, female:255) from 8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Descriptiv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les were more aware of the quality of it. There was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silence and depression. Seco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elf-sil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both self-silence and depression,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relationship.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 that self-silencing influen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les' self-silencing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females' one. Fourth, males' depression have mor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females' one. Fifth, there were ful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relation of self-sil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elf-silence and depression in therapeutic approach to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personal relationship.

keywords
Self-Silencing,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자기침묵, 대인관계, 우울

참고문헌

1.

권석만 (1995). 대학생의 대인관계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모형. 서울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30(1), 38-63.

2.

권진희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나영 (2009).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미진 (2009). 여대생의 자기침묵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신애, 정남운 (2008). 남성의 성역할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23, 171-192.

6.

김지경, 김명소 (2003). 한국남여의 관계적 자아의특성: 다원적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2), 41- 59.

7.

김지현, 최희철 (2007). 남성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역할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45-160.

8.

김진선 (2009). 거절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을 매개 변인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차희, 이민규 (2006). 성격 양식 및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이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63-175.

10.

김현진, 한종철 (2004).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6(2), 277-294.

11.

남상철, 유영달 (2007). 부모와 자녀의 양육태도 지각 및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51-75.

12.

노경란, 방희정, 조혜자 (2007). 성인애착과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471-490.

13.

노컷뉴스 (2010. 8. 24) 우울증 등 질병휴학, 일반휴학 매년 급증

14.

박수애, 조은경 (2002). 남성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77-103.

15.

박영주, 이영호 (2010).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우울경험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9(2), 441-452.

16.

박장희, 조윤주 (2006). 대학생들의 낭만적 애착과 대인관계문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7), 113-124.

17.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8.

손보영, 정남운 (2006).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서 나타나는 대인관계패턴: CCRT 방법을 통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21-45.

19.

송소원 (2008).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6(1), 103-117.

20.

송은일 (1995). 자기표현 훈련이 우울수준감소 및 자기표현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신지은, 방희정, 윤진영 (2009). 애착과 대인관계: 여대생 부모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347- 363.

22.

심경원 (2007). 낙관성이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성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양지윤 (2006). 애착유형, 자존감, 자기침묵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인 여성 표본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원은정 (2005). 문화성향에 따른 우울취약성, 대인관계성향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윤현수, 오경자 (2004). 우울의 유형에 따른 대인표상과 대인관계 문제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577-594.

26.

이수진 (2009).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유대감과 자율성이 학교생활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문제를 매개로. 한국심리학회지 6(2), 229-248.

27.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0(1), 98-113.

28.

이은경, 서은국 (2009).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 문화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31-146.

29.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52.

30.

이지영 (2007). 완벽주의성향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우울취약성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현지, 김명희 (2007).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무망감,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4(3), 243-264.

32.

이형득, 문선모 (1980).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연구집, 19, 195-203.

33.

장성숙 (2004). 한국문화에서의 상담의 초점: “개인중심” 대 “관계중심”. 한국문화와 상담. 제5회 현실역동상담 학술세미나 자료집, 23-45.

34.

장정주, 김정모(2008).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697-714.

35.

정연옥, 이민규 (2005). 성인기 애착유형, 부정적 인지 왜곡 및 우울수준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1), 167-184.

36.

최미례 (2004). 우울에 미치는 우울반응양식의 효과: 남여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53-972.

37.

최상진, 정태연 (2001). 인고에 대한 한국인의 심리: 긍정적 보상기대와 부정적 과실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7(2), 21-38.

38.

최해연 (2008). 한국인에게는 억압이 적응적인가?: 억압 측정의 타당성 논의.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7(1), 197-216.

39.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1(4), 71-89.

40.

한나리 (2009).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갈등 상황에서의 인지 및 행동 반응.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1.

황수민, 방희정, 신지은 (2010). 애착과 대인관계: 남자 대학생의 부모애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67- 86.

42.

Adams, G., & Markus, H. R. (2004). Toward a conception of culture suitable for a social psychology of culture. In M. Schaller & C. S. Crandall(Eds.),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ulture(335-360). Mahwah, NJ: Erlbaum.

43.

Arieti, S., & Bemporad, J. (1980). The Psychological organization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7, 1260-1365.

44.

Barnett, P. A., & Gotlib, I. H. (1988).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Distinguishing among antecedents, concommitants, and consequences. Psycological Bulletin, 104, 97-126.

4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6, 1173-1182.

46.

Besser, A., Flett, G. L., & Davis, R. A. (2003). Self-criticism. dependency, silencing the self, and loneliness: a test of a mediational mode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735-1752.

47.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c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50, 1003-1020.

48.

Blatt, S. J., & Zuroff D. C. (1992).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if-definition: Two prototypes for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 527-562.

49.

Bolger, N., Delongis, A., Kessler, R. C., & Schilling, E. A. (1989). Effects of daily stress on negative m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808-818.

50.

Carfagnini, J. B. (2005). Self-silencing, Depressed Mood, and Anger Expression and The Meanings behind Self-Silencing Within Intimate Relationships. Lakehead University, MAI 44/06, 2997, Dec 2006.

51.

Carnelley, K. B., Pietromonaco, P. R., & Jaffe, K. (1994). Depression, Working Models of Others and Relationship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1, 127-140.

52.

Carr. J. G., Gilroy. F. D., & Sherman. M. F. (1996). Silencing the Self and Depression Among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terly, 20, 3, 375-392.

53.

Coyne, J. C. (1976). Depression and the response of oth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 186-193.

54.

Coyne, J. C., & Downey, G. (1991).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2, 401-425.

55.

Cramer, K. M., Gallant. M. D., & Langlois, M. W. (2005).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in women and men: Compara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581-592.

56.

Cross, J. J., & John, O. P.(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 Implicationd for affect, relationship,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 979-986.

57.

Flett G. L., Besser A., Hewitt P. L., Davis R. A.(2007). Perfectionism, silencing the self, a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1211-1222.

58.

Good, Gl, & Mintz, L., B. (1990). Gender role conflict and depression in college men: Evidence for compound risk.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9, 17-21.

59.

Gratch, L. V., Bassett, M. E., & Attra, S. L. (1995).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ethnicity to self silencing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9, 509-515.

60.

Hammen, C. L., Burge, D., Daley, S. E., Davila, J., Paley, B., & rudolph, K. D. (1995). Interpersonal attachment cognitions and prediction of symptomatic responses to interpersonal stress. Journal of Abnornal Psychology, 104, 436-443.

61.

Hewitt, P. L. & Flett, G. L.(1993). Dimensions of perfectionism,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specific vulner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 58-65.

62.

Jack, D. C. (1991). Silencing the self: Women and depress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28-183.

63.

Jack, D. C., & Dill, D. (1992). The Silencing the self scale: Schemas of Intimacy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6, 97-106.

64.

Josephs, R. A., Markus, H. R., & Tafarodi, R. W. (1992). Gender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391-402.

65.

Katz, I. M., & Campbell, J. D. (1994). Ambib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well-being: Nomothetic and idiographic tests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513-524

66.

Kitayama, S., Markus, H. R. (1998). Ying and Yang of the Jaanese Self: The cultural sychology of personality coherence. InD. Dervone & Y. shoda (Eds.). The coberence of personality : Social cogniitive baese of personality; variability and organization(pp.242-302) New York. Guilford press.

67.

Knowles, E. D., Morris, M. W., Chiu, C.-Y., & Hong, Y.-Y. (2001). Culture and the process of person perception: Evidence for automaticity among East Asians in correcting for situational influences on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1344-1356.

68.

Lee, M. J. (2009). Self-silencing, Cultural factor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merican women.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DAI-B 70/06, Dec 2009.

69.

Lewinsohn, P. M. (1974). A behavioral approach to depression. In R. J. Friedman & M. Katz(Eds.),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112-139). Washington, DC: Winston-Wiley.

70.

Lynd-Stevenson, R. M., & Hearne, C. M. (1999). Perfectionism and depressive affect: The pros and cons of being a perfectionis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549-562.

71.

Marshall, M. A. (1996). An examination of relationship factors and self-silencing in depression in women.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DAI-B 57/05, p. 3415, Nov 1996.

72.

McGrath, E., Keita, G. P., Strickland, B. R., & Russo, N. F (1990). Women and depression: Risk factors and treatment issu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3.

Mongrain & Zuroff (1994),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life events: Media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dependent and self-critical individua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 447-458.

74.

Nolen-Hoeksema, S. (1990). Sex differences in depressio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75.

Nolen-Hoeksema, S., Morrow, J., & Fredrickson, B. L. (1993). Response styles and the duration of episodes of depressed moo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 20-38.

76.

Remen, A. L. (2000). Silencing the self: An examination of a theoretical explanation for depression in women. Dissertation Abstrats International, 60(12-B), 6380.

77.

Shouse, S. H. (2009). Self-silencing, eating behavior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frican-American and White college wom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DAI-A 70/08, Feb 2010.

78.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79.

Spratt, C. L., Sherman, M. F., & Gilroy, F. D. (1998). Silencing the self and sex as predi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Psychological Reports, 82(1), 259-263.

80.

Stone, H., & Stone, S. (1989). Embracing our selves. Novato, CA: New World Library.

81.

Thompson, J, M. (1995). Depressive Syptomatology and Close Relationship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9, 337-353.

82.

Thompson, J. M., Whiffen, V. E., Aube, J. A. (2001). Does self-silencing link perceptions of care from parents and partners with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8, 503-516.

83.

Tice, D. M., & Baumeister, R. F. (2001). The primacy of the interpersonal self. In C. Sedikides, & M. Brewer, (Eds.), Individual self, relational self, collective self. Psychological Press., 71-88.

84.

Vazquez, M. D. (1998). Silencing the self,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arianismo; An analysis of depression of latinas. Doctoral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of New York, DAI-B 59/04, p. 1871, Oct 1998.

85.

Whiffen, V. E., Foot, M. L., & Thompson, J. M. (2007). Self-silencing mediates the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4(6), 993-1006.

86.

Zaitsoff, S. L., Geller J., Srikameswaran, S. (2002). Silencing the Self and Suppresed Anger: Relationship to Eating Disorder Symptoms in Adolescent Females.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10, 50-6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