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형 도박행동 H척도의 개발: 고수준 도박자 대상의 연구용 척도

Development of Korean Gambling Behavior Scale-H: A Scale for Inquiry of Problematic Gambli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4, pp.1053-1082
이순묵 (성균관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최용성 (성안드레아병원)
이흥표 (대구사이버대학교)
김종남 (서울여자대학교)
김수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권선중 (침례신학대학교)
김세진 (충남대학교)
김인혜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일반을 대상으로 한 한국형 도박문제 선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도박행동이 순기능의 범주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 역기능의 범주에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도박문제 선별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 척도들을 일반인에게 적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 접근을 통합하여 고수준 도박자 대상의 연구용 척도(H척도)에 필요한 구성개념들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 도박중독척도에서 측정하고 있는 구성개념과 문항들, 문헌고찰을 통해 추출한 32개 행동 특성, 33명의 도박이용자 면접 자료에서 추출한 차원들, 도박중독자 전문상담원과 단도박 회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초점집단 면접 내용을 바탕으로 10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중에서 중복되는 문항을 제외하고 78개 문항으로 도박 이용자와 대학생 집단, 1,101명에게 1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검사 자료의 문항분석과 문항선정, 새로운 문항 추가 등의 과정을 거쳐 2차 예비검사에 사용할 53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도박이용자 581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선별과정을 거쳐 32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H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강화요인 영향’, ‘통제곤란’, ‘집착 및 손상’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요인계수가 낮은 1문항을 제외하여 본검사용으로 31문항이 되었다. 본검사에서는 3요인 모형을 기초로 단일체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H척도의 공시타당도과 수렴타당도/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도박중독, H척도, 척도개발, 도박행동 변별, 단일체모형, gambling problems, H scale, scale development, gambling problems, H scale, scale develop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Gambling Behavior Scale(KGBS)-H for conducting research on problematic gambling. To develop the scale, we identifie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ales used in Korea now, and then selected several constructs to be measured by the new scale, integrating theoretical approach and experiential approach. First, we collected items included in the existing gambling addiction scales, 32 behavioral features of gamblers obtained from many sources such as literature review, second handed data of individual interviews with 33 gamblers, and our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ounselors, G.A. members and gamblers’ families. Through the item development process, we could get 143 items. Excluding overlapping items, 78 items were used for the preliminary survey of gamblers and undergraduates. And then we selected 53 items for main study through item analysis, item selection, and addition of new items. After the main survey for 581 gamblers, we selected 32 items for H scale. We identified 3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s was labeled as ‘influences of reinforcing factors’, ‘control difficulty’, and ‘preoccupation and damages’. In this process, we found that one item has low correlations with other items, so we decided finally 31 items as the KGBS-H scale. Since the correlations among 3 factors were very high, we proposed a simplex model of gambling behavior. Actually, the model fit of the simplex model was good. In addition, we demonstrated concurrent validity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of the H scale.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도박중독, H척도, 척도개발, 도박행동 변별, 단일체모형, gambling problems, H scale, scale development, gambling problems, H scale, scale development

참고문헌

1.

김교헌 (2003). 병적 도박 선별을 위한 K-NODS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487-509.

2.

김교헌 (2006).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63- 105.

3.

김교헌, 권선중, 김세진, 이순묵 (2011). 저수준 도박행동 연구를 위한 개념화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599-628.

4.

김종남, 이흥표, 이순묵 (2011). 문제 도박의 조기탐지 및 대처를 위한 가족용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135- 163.

5.

이경희 (2009). 한국판 캐나다 문제도박 척도(CPGI)의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 667-675.

6.

이순묵 (1995). 요인분석Ⅰ. 서울: 학지사.

7.

이순묵, 김교헌, 최용성, 이흥표, 김종남, 김수진 (2009). 한국형 도박중독 변별척도 개발연구.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8.

이순묵, 김종남, 최삼욱, 현명호, 김수진 (2009). 도박의 정의와 범주화에 대한 개념의 명확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1-27.

9.

이순묵, 김아영, 권선중, 김종남, 차정은, 김인혜 (2011). 전국민 대상 도박문제 선별척도 및 기준점수 타당화 연구.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10.

이인혜 (2004). 카지노게임 선호유형, 성별, 도박심각성과 심리적 특성 간의 관계: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351-378.

11.

이흥표 (2003).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동기 및 위험감수 성향과 병적 도박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이흥표, 김정수, 고효진, 김갑중 (2003). 병적 도박의 충동성과 감각추구: 알코올중독과의 비교. 신경정신의학. 42, 89-95.

13.

충남대 산학협력단 (2010). 사행산업 이용실태조사.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14.

최완철, 김경빈, 오동열, 이태경 (2001). 한국형 사우스 오크 병적 도박 검사 표준화에 대한 예비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5(1), 46-52.

1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DSM-IV). Washington, DC: Author.

16.

Baker, F. B. (1985). The basics of item response theory. Portmouth, NH: Heineman.

17.

Blaszczynski, A., Steel, Z., & McConaghy, N. (1997). Impulsivity in pathological gambling: the antisocial impulsivist. Addiction Research, 92, 75-87.

18.

Brill, I. (2010). A SASⓡ program computes the crude, stratified and Mantel-Haenzel odds ratio for case-control study analysis of Nx2xk tables. SUGI 29, Paper 197-29. http://www2. sas.com/proceedings/sugi29/197-29.pdf. Cary, NC: SAS Institute Inc.

19.

Browne, M. W., Cudeck, R., Tateneni, K., & Mels, G. (1998). CEFA: Comprehens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WW document and computer program. URL http://quantrm2.psy.ohio -state.edu/browne/.

20.

Cronbach, L. J. (1988), “Five perspectives on validity argument”. In Test Validity. H. Wainer & H. I. Braun(Eds.), NJ: LEA. 3-17.

21.

Culleton, R. P. (1989). “The Prevalence Rates of Pathological Gambling: A Look at Methods,” Journal of Gambling Behavior5: 22-41.

22.

Ferris, J. & Wynne, H. (2001a). The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User Manual. Canada: Canadian Center on Substance Abuse.

23.

Ferris, J. & Wynne, H. (2001b). The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Final Report, Report to the Canadian Inter-Provincial Task Force on Problem Gambling. Canada: Canadian Center on Substance Abuse.

24.

Guttman, L. A. (1954). A new approach to factor analysis: The radix. In P.F. Lazarsfeld(Ed.): Mathematical thinking in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5.

Joreskog, K. G. & Sorbom, D.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2nd Ed.. Chicago, IL: SPSS.

26.

Lee, S-M. (2010). A review of CEFA software: Comprehens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10, 95 -103.

27.

Lesieur, H. R. (1994). “Epidemiological Surveys of Pathological Gambling: Critique and Suggestions for Modification,”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0(4), 385-398.

28.

Miller, T. R. & Spray, J. A. (1993). Logistic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for DIF Identification of Polytomously Scored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0(2), 107- 122.

29.

Moore, S., & Ohtsuka, K. (1999). Beliefs about control over gambling among young people, and their relation to problem gambling.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3, 339-347.

30.

Muraki, E. & Bock, R. D. (1999). PARSCALE: IRT Item Analysis and Test Scoring for Rating- scale Data. Chicago, IL: SSI.

31.

National Gambling Impact Study Commission (NGISC, 1999a). Gambling Impact and Behavior Study. Washington, D.C.: Author.

32.

National Gambling Impact Study Commission (NGISC, 1999b). Pathological gambling: A critical review.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3.

Petry, N. (2001). Substance abuse, pathological gambling, and impulsivenes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63, 29-38.

34.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 78.

35.

Toneatto, T., Blitz-Miller, T., Calderwood, K., Dragonetti, R. & Tsanos, A. (1997) Cognitive distortions in heavy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3, 253-266.

36.

Volberg, R. A. (1994). “Assessing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A Methodological Review.” In Gambling in Canada: The Bottom Line, Colin S. Campbell(ed.). Vancouver: Simon Fraser University Press. 137-14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