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결혼이주여성의 상담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Counseling Experiences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1, pp.45-76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조병주 (덕성여자대학교)
이현정 (백석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결혼이주여성들 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이들의 적응상의 다양한 문제와 심리적인 어려움이 밝혀지면서 상담 및 복지현장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서비스 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의 상담 경험에 대한 관심이나 학문적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상담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 다섯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인 분석절차를 거쳐, 이들의 상담체험은 어떠한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결과 18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달라지고자 함: 남편과 잘 지낼 방법을 찾으러,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음.>, <알아차림: 남편에 대해서 알게 됨, 아이의 속마음을 알게 됨, 나를 돌아 봄.>, <변화를 위해 애씀: 나를 변화시킴, 아이를 다르게 대함.>, <마음 붙일 곳이 생김: 친정 같은 곳, 현실적인 판단, 경계선이 없음.>, <달라짐과 한계: 달라지는 모습들, 체화되지 않음, 혼자서 해야 하는 부담, 어떻게 하면 좋을지 방법을.>, <또 다른 기대: 아이들을 위한 배울 기회, 일할 수 있게, 맞춤 서비스, 가장 가까운 사람처럼>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상담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상담, 내담자 상담체험, 현상학적 연구,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multicultural counseling, client's counseling experience, phenomenological research

Abstract

With the recent rapid rise in the number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there has been an associated increase in the occurrences and awareness of the problems these women face, as well as the provision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in many social welfare centers or other such facilities. However, despite their growing importance,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paid to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these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nd even less research has taken place.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followed by a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five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The analysis reveal 18 themes and 6 categories: “Wanting to change: find ways to get along well with husband, want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Awareness: understanding of husb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mind, self reflection”, “Efforts to Change: changing self, changing approach to children”, “Finding a place to form attachment: Own home, realistic decision making, no boundaries”, “Change and Limitations: changing images, incomplete internalization, burden of doing it alone, responsive techniques”, “New Expectations: Opportunities to learn for the children, opportunities to work, as someone who is the closest”.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on improving the counseling programs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e provided.

keywords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상담, 내담자 상담체험, 현상학적 연구,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multicultural counseling, client's counseling experience, phenomenological research

참고문헌

1.

강기정, 이혜자 (2009). 다문화가족의 적응과 우리사회의 대응: 다문화가족 부부 및 자녀를 중심으로. 제 4차 국정포럼 ‘다문화 가족의 정착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자료집.

2.

강유진 (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3.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4.

광주여성의 전화 (2004). 광주․전남지역 결혼한 이주여성 실태 보고 및 토론회. (사)광주여성의 전화 부설 광주가정 폭력상담소.

5.

교육부 (2006). 2006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6.

권구영, 박근우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연구, 2(14), 187-219.

7.

김오남 (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8.

김은하, 박승민 (2011). 작업동맹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25.

9.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0.

노하나 (2007). 중국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외숙 (1996). 다문화적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에 대한 검토. 한국심리학회 창립 50주년 동계 연구 세미나 자료.

12.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1.

13.

박태영, 은선경 (2010). 다문화사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일본인 아내와 한국인 남편의 부부치료. 한국가족복지학, 30, 167-196.

14.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위원 정책방안.

15.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방안. 보건복지부.

16.

송미경 (2008).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상담의 모색. 여성연구논총, 23, 41-51.

17.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이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18.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

신재근 (2009). 농촌 다문화가정 현황과 지원방안. 농협경제연구소, 2009 NHERI 리포트, 51, 1-21.

20.

신희천, 최진아, 김혜숙, 이주연 (2011). 도시 지역 다문화 가정의 부부관계 고찰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99-322.

21.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 (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7-168.

22.

오성배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교육환경과 문제. 교육비평사, 22, 186-213.

23.

윤명숙, 이혜경 (2011). 농촌 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32(6), 103-135.

24.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pp.321-349). 한올

25.

윤혜미 (2009).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4), 85-108.

26.

양옥경, 김연수, 이방현 (2007).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도시연구, 8(6), 229-251.

27.

이병준 (2007). 다문화역량이란 무엇인가? 한국교육사상연구회, 37, 1-11.

28.

이은혜 (2009).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은희 (2009).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결혼이민지 여성의 적응연구-탄력모델을 적용하여. 한국가족복지학, 14(1), 73-94.

30.

임은미, 정성진, 김은주 (2009). 국내 다문화 연구와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상담학 연구, 10(3), 1291-1304.

31.

조영달 (2006). 다문화 가정교육 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32.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2005).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3.

주은선 역 (2001). 상담의 기술. 서울: 학지사.

34.

주은선, 이현정 (2010).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817-846.

35.

최금해 (2005).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44(1), 329-364.

36.

최원희, 최혜지, 최연선 (2008). 다문화적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화적 유능감 실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6, 89- 113.

37.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38.

한국가족상담협회 (2011). 다문화 가족 상담. 2011 가족상담컨퍼런스 자료집.

3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Ⅱ).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Ⅲ).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1.

한재희 (2004). 한국의 가족문화와 다문화 상담. 진리논단, 16, 117-133.

42.

행정안전부 (200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43.

홍달아기, 채옥희 (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44.

Atkinson, D. R., & Lowe, S. (1995). The role of ethnicity, cultural knowledge, and conventional techniqu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J. G. Ponterotto, J. M. Casas, L. A. Suzuki, & C. M. Alexander (Eds.), Handbook of multicultural counseling (pp.387-414). Thousand Oaks, CA: Sage.

45.

Byrd, M. M., & Garwick, A. W. (2004). Family identity: Black-white interracial family health experience. Journal of Family Nursing, 12(1), 22 -37.

46.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47.

Cowger, C. D. (1994). Assesing client strengths: Clinical assessment for client empowerment. Social Work, 39(3), 262-268.

48.

Cross, T., Bazron, B., Dennis, K., Issacs, M.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49.

D'Andrea, M., & Heckman, E. F. (2008). A 40- Year Review of Multicultural Counseling Outcome Research: Outlining a Future Research Agenda for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Move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6, 356-363.

50.

Flaskerud, J. H. (1991). Effects of Asian client-therapist language, ethnicity and gender match on utilization and outcome of therap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7, 31-42.

51.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공역(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 현문사.

52.

Gutierrez, L. (1990). Working with women of color: An empowerment perspective. Social Work, 35(2), 149-153.

53.

Ivey, A. E., Ivey, M. B. & Simek-Morgan, L. (1997).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 multicultural Perspective. (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54.

Kenny, K. R. (2002). Counseling interracial couples and multiracial individuals: Applying a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framework. Counseling and Human Development, 35, 1-12.

55.

Linda G. Castillo., Daniel F. Brossart., Carla J. Reyes, Collie W. Conoley., & Marion J. Phoummarath. (2007).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on perceived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implicit racial prejudice.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35, 243-254.

56.

McPhatter, A. (1997).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76(1), 255-278.

57.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02). NASW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practice. http://nasdc.org/pubs/standards/ cultural.htm.

58.

Samuel, E. (2009). Acculturative stress: South Asian Immigrant women's experiences in Canada's Atlantic province, Journal of Immigrant & Refuge Studies, 7, 16-34.

59.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MA: Allyn & Bacon.

60.

Sue, S. & Sue, D. (2003).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Theory and practice. Pacific Grove, CA: Brooks/Cole.

61.

Weerasinghe, S. & Number, M. S. (2010). A life-course exploration of the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behaviors of widowed South Asian immigrant women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Migration, Health and Social Care, 6 (4), 42-5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