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K-BSAS)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Adolescent'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2, pp.399-417
정유진 (숙명여자대학교)
유미숙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만 15세 이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격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Slaby와 Guerra(1988)가 개발한 공격신념 척도(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Korean Adolescent'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 K-BSAS) 개발을 위해 서울, 경기, 경북, 경남에 위치한 중학교 1,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 3학년 851명 중 만 15세 이상에 해당하는 6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성분분석을 통해 K-BSAS는 자존감 및 이미지 향상, 공격행동의 정당성으로 2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최종 총 9문항으로 결정되었다. K-BSAS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교에서 성별에 따라 공격신념의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공격신념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K-BSAS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자존감 및 이미지 향상, 공격행동의 정당성과 총점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K-BSAS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K-DSQ의 공격성 도식 척도, K-CATS의 적대적 인지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K-BSAS는 공격성 도식 척도, 적대적 인지 척도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격행동집단과 비행집단에서 K-BSAS의 점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BAS-S의 T점수 60점을 기준으로 공격행동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뒤 K-BSAS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격행동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LDQ의 상위 10%tile을 기준으로 비행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뒤 K-BSAS 점수를 비교한 결과, 비행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K-BSAS의 신뢰도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만 15세 이상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의 타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 척도가 공격행동집단과 비행집단을 선별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한국판 공격신념 척도, 공격신념, 공격성, 공격행동, 신념, 타당화, K-BSA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Beliefs, Validation, K-BSA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Beliefs, Valid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K-BSAS) of the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Slaby & Guerra(1988) to measure the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11 students ranging in age from 15 to 18 years from four junior high schools and four senior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Gyeongbuk, and Gyeongnam. They were assessed by the Korean translation of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 Korean Adolescent's Dysfunctional Schemas Questionnaire (K-DSQ),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s (K-CATS), Adolescent Behavior Assessment Scales for Self Report (ABAS-S), and Latent Delinquency Questionnaire(LDQ).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9 items excluding the reverse-scored items extracted two factors which accounted for 50.39% of the total varian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gender on the K-BSAS. 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did female students on the K-BSA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age. Third, the Pearson's correlation showed that the increase of self-esteem/positive image subscale and legitimacy of aggression subscale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Total scores of the K-BSAS also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ncrease of self-esteem/positive image subscale and legitimacy of aggression subscale. Fourth, the K-BSA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K-DSQ and K-CATS. Fifth, mean score of the K-BSA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ggressive groups and delinquent groups than the nonaggression groups and non-delinquent groups. Sixth, internal consistencies (α) of the K-BSAS were good: α= .74 for the increase of self-esteem and positive image subscale, α= .61 for the legitimacy of aggression subscale, α=. 72 for the total score of the K-BSAS.

keywords
한국판 공격신념 척도, 공격신념, 공격성, 공격행동, 신념, 타당화, K-BSA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Beliefs, Validation, K-BSA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Beliefs, Validation

참고문헌

1.

곽금주 (1993). 공격영화시청이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1), 15-35.

2.

곽금주, 김하연, 윤진 (1991). 청소년의 반사회성과 사회정보처리과정간의 관계(Ⅰ)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차이에 대한 탐색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4(1), 145-156.

3.

김동기, 홍세희 (2007).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변화 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 검증. 조사연구, 8(2), 21-42.

4.

김민정, 도현심 (2001).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149-166.

5.

김은정, 하은혜 (2008). 한국판 청소년용 역기능적 인지도식 척도(K-DSQ)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66-567.

6.

김재엽, 이효정, 강민지 (2007).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4(6), 173-201.

7.

김정원, 오경자 (1993).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 인지적 몰락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2), 126-141.

8.

대검찰청 (2009). 범죄분석.

9.

도금혜, 최보가, 이지민 (2006). 청소년의 지각된 인기도에 따른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대한가정학회지, 44(2), 1-11.

10.

도기봉(2008).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2, 5-34.

11.

문경주, 오경자, 문혜신 (2002).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자동적 사고 척도(K-CAT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55-963.

12.

박민정, 최보가 (2004).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95-104.

13.

서수균 (2007). 한국판 적대적 자동적 사고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533-544.

14.

서수균 (2009).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695-708.

15.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16.

손지영 (2003). 공격신념, 사회정보처리, 정서조절능력과 공격행동 간의 관계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유안진, 한유진, 김진경 (2002).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3(3), 79-90.

18.

윤리라 (1999). 공격성의 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및 사회정보처리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해경, 신현숙, 이경성 (2008). 행동평가척도-청소년용: 청소년 상담을 위한 활용.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

하은혜 (2006). 청소년기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내용특수성 검증: 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를 변별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429-447.

21.

한세영 (2007). 초기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와 공격성 - 죄책감, 수치심, 감정이입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45(7), 17-33.

22.

Andreas, J. B., & Watson, M. W. (2009).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aggressive beliefs and their aggression trajectorie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1, 189-205.

23.

Buss, A.,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24.

Cole, M., & Gay, J. (1972). Culture and memory. American Anthropologist, 74(5), 1066-1084.

25.

Crick, N. R., & Dodge, K. A. (1994).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ition- 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15, 74-101.

26.

Dasen, P. R. (1972). Cross-cultural Piagetian research: A Summar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1), 29-39.

27.

Dodge, K. A. (1986).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In M. Perlmutter(Ed.),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Vol. 18, pp. 77-125). Hillsdale, NJ: Erlbaum.

28.

Dodge, K. A., & Price, J. M. (1994).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ocially competent behavior in early school-ag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65, 1385-1397.

29.

Farrington, D. P. (1978). The family backgrounds of aggressive youths. In L. A. Hersov., & M, Berger,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xford Pergamon Press. Crawford, Cohen Midlarsky & Brook.

30.

Guerra, N. G., & Slaby, R. G. (1990).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s: 2. Interven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6(2), 269-277.

31.

Huesmann, L. R. (1988).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14, 13-24.

32.

Huesmann, L. R., & Guerra, N. G. (1997). Children's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408-419.

33.

Ingram, R. E., & Kendall, P. C. (1987). The cognitive side of anxie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523-536.

34.

Leung, P. W. L., & Poon, M. W. L. (2001). Dysfunctional schemas and cognitive distortion in psychopathology: A test of the specificity hypothesi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6), 755-765.

35.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Mehrabian, A. (1997). Relations among personality scales of aggression, violence and empathy: Validational evidence bearing on the risk of eruptive violence scale. Aggressive Behavior, 23(6), 433-445.

37.

Osgood, D. W., Johnston, L. D., O'Malley, P. M., & Bachman, J. G. (1988). The generality of deviance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3, 81-93.

38.

Piaget, J. (1977). The development of thought: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s. New York: Viking.

39.

Schniering, C. A., & Rapee, R. M.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The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40.

Slaby, R. G., & Guerra, N. G. (1988).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s: 1. Assess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4, 580-588.

41.

Souweidnane, V., & Huesmann, L. R. (1999). The influence of Amenrican urban 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in middle-eastern immigra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7(2), 239-24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