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Value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2, pp.465-49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using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Confucian ideas, what structures of Confucian values remain in the thoughts and actions of Koreans, and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those valu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cale, first,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system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orld view, perspective on human beings, and perspective on societ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select the questions to ask. Second, existing empirical analyses were referenced to produce 77 questions on Confucian thoughts and actions that the researchers themselves experienced in real life, and a preliminary study was carried out.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at study, the questions were revised and some were eliminated to produce 54 pilot questions on Confucian values for this study. Using a professional survey compan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subjects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60’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show that, out of the three theoretical categories, “world view” and “perspective on human beings” each had one factor that was significant, while there were four such factors for “perspective on society” in the sub-categories of virtues between “husband and wife”, “old and young”, “friends”, and “parents and children”. Of these factors, “virtues between old and young”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followed in ranking by “virtues between friends”, “perspective on human beings”, “virtu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orld view”, and “virtues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levels of Confucian valu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show that, with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onfucian values in general, world view and virtues between husband and wife, while with ag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onfucian values in general and all the sub-category factors. These results reveal that many Confucian values still continue to exist within the minds of Koreans but the level of those values differ for different factors, especially with respect to gender and age group. The differences can be viewed as an indicator reflecting the westernization of Koreans and the generation gap in Korean society.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deas for furthe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words
Confucianism, Confucian values, world view, perspective on human beings, perspective on society, scale development, Confucianism, Confucian values, world view, perspective on human beings, perspective on society, scale development, 유교, 유교가치관, 세계관, 인간관, 사회관, 척도 개발

Reference

1.

강재언 (2001). 선비의 나라 한국유학 2천년. 서울: 한길사.

2.

고병익 (1996). 동아시아의 전통과 변용. 서울: 문학과 지성사.

3.

금장태 (1982). 한국유교의 재조명. 서울: 전망사.

4.

금장태 (2005). 한국 유가철학의 과제와 전망, 한국유학사상대계Ⅱ 哲學思想編 上. 서울: 한국국학진흥원.

5.

금장태 (2007). 유학사상의 이해.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6.

김경동 (1964). 태도척도에 의한 유교가치관의 측정. 한국사회학회지: 한국사회학, 1(1), 3- 20.

7.

김경동 (2004). 한국인의 가치관과 사회의식(상): 변화의 경험적 추적.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8.

김경일 (2001).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서울: 바다출판사.

9.

김의철 (2000). 토착심리학과 문화심리학의 과학적 토대.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연구학회 심포지움, 15-34.

10.

김의철 (2006).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4), 1-36.

11.

김성태 (1976). 성숙인격론.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12.

김성태 (1978). 경 개념의 심리학적 접근. 한국사상, 16, 22-42.

13.

김정운, 한성열 (1998). 문화심리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97- 114.

14.

김충열 (1984). 중국철학사 서설.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1(1), 9-45.

15.

김충열 (1991). 중국 철학의 이해. 서울: 외계.

16.

김충열 (2009). 유가윤리강의. 서울: 예문서원.

17.

김태길 (2001). 유교적 전통과 현대 한국. 서울: 철학과 현실사.

18.

나은영, 차재호 (1999). 1970년대와 1990년대 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 증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37- 60.

19.

나은영, 차유리 (2010).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 1998 2010년의 조사결과 비교.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4(4), 63-92.

20.

대동문화연구원 (1965, 1994). 경서(經書):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서울: 성균관대학교.

21.

박인조, 민경환 (2005).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작성과 차원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09-129.

22.

신수진 (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127-152.

23.

신수진, 최준식 (2002).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서울: 집문당.

24.

유승국 (1976). 한국의 유교.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5.

유승국 (1988). 한국사상과 현대. 동방학술연구원.

26.

윤사순 (1997). 한국 유학 사상사론. 서울: 예문서원.

27.

윤사순 (2006). 유학의 현대적 가용성 탐구. 서울: (주)나남출판.

28.

윤호균 (2007). 한국적 상담 모형: 온마음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 (3), 505-522.

29.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5). 청년기의 생명윤리와 사생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85-108.

30.

이수원 (1997). 동양 심리학의 모색: 중용의 심리학적 탐구.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움 자료집, 107-129.

31.

이언호 (1999). 공자를 알아야 나라가 산다. 서울: 큰방.

32.

임능빈 (1984). 性理學의 心理學的 一考察. 심리학의 연구문제, 1, 71-93.

33.

임능빈 (1995). 동양사상과 심리학. 서울: 성원사.

34.

장성숙 (2010). 상담자의 어른역할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야기 방식”에 기초한 보고 형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 (3), 311-329.

35.

정양은 (1970). 감정론의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3), 77-90.

36.

정양은 (1976). 심리구조이론의 동서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 68-79.

37.

조긍호 (1990). 孟子에 나타난 心理學的 含意(Ⅰ): 人性論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5(1), 59-81.

38.

조긍호 (1997). 순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1-27.

39.

조긍호 (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서울: 나남신서.

40.

조긍호 (2007). 동아시아 집단주의와 유학사상: 그 관련성의 심리학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21-54.

41.

차재호 (1994). 지난 100년간에 일어난 한국인의 가치, 신념, 태도 및 행동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2), 123-136.

42.

차재호, 장영수 (1992). 한국 대학생들의 중요한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2), 123- 136.

43.

차재호, 정지원 (1993).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집합주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150- 163.

44.

최병철 (1999).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서울: 시아출판사.

45.

최상진 (1999). 한국인의 마음. 최상진, 윤호균, 한덕웅, 조긍호, 이수원 (공저). 동양심리학: 서구심리학에 대한 대안모색, pp.377- 479. 서울: 지식산업사.

46.

최상진 (2011). 한국인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47.

최준식 (2000). 한국인에게 문화가 없다고? 서울: 사계절출판사.

48.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04). 韓國人의 宗敎와 宗敎意識: 제4차 비교조사. 서울: 한국갤럽.

49.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2005). 한국유학사상대계Ⅱ. 서울: 예문서원.

50.

한국사상사연구회 (2006). 조선 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51.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

52.

한덕웅 (1994). 퇴계 심리학: 성격 및 사회 심리학적 접근.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53.

한덕웅 (1996). 특집 퇴계 심학의 실증적 연구방향 모색. 퇴계학연구원: 退溪學報, 89(1), 44-62.

54.

한덕웅 (1997). 한국 유학의 심리학적 기초와 현대 심리학적 의의: 퇴계 율곡과 다산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6(1), 40-79.

55.

한덕웅 (2001a). 한국 유학의 4단7정 정서설에 관한 심리학적 실증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1), 1-40.

56.

한덕웅 (2001b). 한국의 유교문화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비판적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49-479.

57.

한덕웅 (2002). 한국문화는 유교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54-260.

58.

한덕웅 (2003). 한국인들이 인식하는 한국문화의 기본 구조.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365-367.

59.

한덕웅 (2004a). 한국문화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흐름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173-174.

60.

한덕웅 (2004b). 한국인의 중요한 가치.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183-184.

61.

한덕웅, 강혜자 (2000). 한국어 정서단어들의 적절성과 경험빈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2), 63-99.

62.

한덕웅, 이경성 (2003). 한국인의 인생관으로 본 가치관: 30년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1), 49-67.

63.

함재봉 (2000). 유교․자본주의․민주주의. 서울: 전통과 현대.

64.

현상윤 (1949, 1960). 조선유학사. 서울: 민중서관.

65.

현상윤 (2008). 기당 현상윤전집 1. 원전 조선유학사. 서울: 나남

66.

Bell, D. A. (2000). Asian Communitarianism. The Current state of Confucian Studies: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Asian Values Dabate. 함재봉, 함재학, 데이빗 홀 (편). 유교민주주의, 왜 & 어떻게 (pp.15-24). 서울: 전통과 현대.

67.

Bond M. H. (2008). Role of emotions and behavioral responses in mediating the impact of face loss on relationship deterioration: Are Chinese more face sensitive than Americans?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2), 175- 184.

68.

Choi, S. C., & Han Gyuseog (2000). Korea. In A. E. Kazdin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8, (pp.456-45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69.

Langness, L. L. (1982). The Study of Culture. San francisco: Chandler & Sharp.

70.

Hofstede, G. (1980). Culture and Organizations. International Studies of Management & Organization. 10(4), 15-41.

71.

Hofstede, G. (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Hill.

72.

Hofstede, G., & Bond, M. H. (1991). The Confucius Connection From cultural roots to economic growth. Organizational Dynamics, Spring, 5-21.

73.

Kitagawa, J. M. (1968). Religious of the East.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74.

Koh, B. (1996). Confucianism in Comtemporary Korea. In W. Tu (Ed.), Confucian tradition in East Asian modernity (pp.191-201).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75.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76.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and why. New York: Free Press.

77.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Y: The Free Press.

78.

Schwartz, S. H., & Bilsky, W. (1987). Toward a universal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valu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3), 550-562.

79.

The Chinese Culture Connection (1987). Chinese values and the search for culture-free dimension of culture.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8, 143-164.

80.

Triandis, H. C. (1979). Values, attitudes, and interpersonal behavior.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27, 195-259.

81.

Tu, W. (1985). Selfhood and otherness in Confucian thought. In A. J. Marsella, G. DeVos, & Francis L. K. Hsu (Eds.), Culture and self: Asian and Western Perspectives (pp. 231-251). New York: Tavistock.

82.

Yang, J. (1999). Confucianism, institutional change and value conflict in Korea.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26(1), 209-236.

83.

Yao, X. (2000).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