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서표현 양가성’과 긍정정서, 부정정서, 우울간의 관계: 성격변인의 조절효과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y Two Factors and Positive/Negative affect, Depression: Moderator Effect of Personality Variabl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4, pp.1073-1092
심서영(Olivia S. Sim)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하유진(Yoo Jin Ha)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요인별로 긍정정서, 부정정서, 우울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 관계가 성격변인인 외향성, 신경증, 성실성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긍정정서, 부정정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긍정정서와 부적상관, 부정정서, 우울과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양가성과 긍정정서, 부정정서, 우울 간의 관계에서 성격변인인 외향성과 신경증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성실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성실성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긍정정서와의 부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고, 부정정서 및 우울과의 정적 관계도 더 강하게 나타났다. 양가성의 하위요인별 차이 및 그 원인에 대해 언급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keywords
정서표현 양가성, 자기방어적 양가성, 정서, 우울, 성실성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E) and ‘positive/negative affect’ and ‘AE and depression’. Three potential moderators of ‘AE-Affect’ and ‘AE and depression’ relations were tested: extroversion, neuroticism, conscientiousness. During the examination, one hundred ninety-two undergraduates complet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Korean(AEQ-K),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Ten-Item Personality Inventory (TIPI) and Brief Symptom Inventory(BSI). Analyses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relationship-involved AE’ were not related to positive/negative affect and depression. In contrast, individuals with ‘self-defensive A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effect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ffect and depression. The relations of ‘self-defensive AE-Affect’ and ‘self-defensive AE and depression’ were not different based on levels of extroversion or neuroticism. However, The relations of ‘self-defensive AE-Affect’ and ‘self- defensive AE and depression’ were stronger for students with high conscientiousness. Implications for self- defensive AE are discussed.

keywor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lf-defensive AE, Positive/Negative Effect, Depression, Conscientiousness
투고일Submission Date
2012-09-30
수정일Revised Date
2012-11-2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2-11-2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