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of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Utilizing Self-Enhancement Mode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4, pp.1093-1113






Abstract

The current study utilized latent growth model to examine how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and juvenile delinquency changed over time, and how these changes were related across time. Whil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elf-enhancement theory of juvenile delinquency main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ir relationship, and examined the change on each variables across time. The data was gathered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nd 5-year data of 3449 adolescents from the 2nd year in middle school to the 3rd year in high school was examined. The results confirmed the translinear model of self-efficacy and peer attachment, while the same model for juvenile delinquency was not supported. Multi-group analysis of the linear model in self-efficacy and peer attachment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initial value of self efficacy and peer attachment, as well as the rate of change for peer attachment. The test of the self-enhancement model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was enhanced by juvenile delinquency and peer attachment. Finally, multi group analysis of the self-enhancement model showed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in the model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keywords
자기강화이론, 잠재성장모형, 청소년 비행, 자존감, 친구애착, Self-Enhancement Theory, Latent Growth Model, Juvenile Delinquency,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Reference

1.

경찰청 (2011). 미성년 피의자 재범상황별 통계결과.

2.

김숙희 (2011). 비행청소년의 분노와 충동성 조절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 효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옥란 (2011). 희망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아동보호시설 비행청소년의 희망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경, 유가효 (2002). 아버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10), 33-43.

5.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6.

김희화 (2001), 청소년의 초기 비행과 지속적 비행에 대한 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8(1), 143-162.

7.

김희화, 김경연 (2000). 여자청소년의 비행경험 예측요인. 청소년학연구, 10(4), 487-510.

8.

노성호 (2006). 비행친구와 비행행동의 인과성에 대한 검증. 형사정책연구 17(4), 297-332.

9.

민수홍 (2006).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27-47.

10.

박현선, 이상균 (2008).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및 지도감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7, 399-427.

11.

신 미, 전성희, 유미숙 (2012).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지, 33(1), 81-92.

12.

신혜섭 (2005). 가정폭력 요인과 가족구조 요인이 남녀 학생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7(2), 63-88.

13.

심희옥 (1997). 아동 후기 초등학교생의 내적·외적 문제행동인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아동학회지, 18(1), 39-52.

14.

심희옥 (1998).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내적, 외적 문제행동인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아동학회지, 19(2), 39-49.

15.

여미정 (2011). 게슈탈트 집단프로그램이 아동보호치료시설 비행청소년의 충동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16.

오미경 (1997).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위험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8(1), 109-123.

17.

오영경, 이형실 (2010).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4), 51-64.

18.

유성경 (2002). 청소년 비행관련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의 남녀별 차이분석. 교육심리연구, 16(2), 201-217.

19.

유혜경 (1987).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경상, 이순래, 박철현 (2007). 청소년 비행의 발전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1, 1-92.

21.

이명우 (1997). 부산광역시 중․고교생의 비행실태와 예방교육 분석: 청소년 문제와 교육의 과제. 한국교육사회학회 제 120차 학술세미나, 19-50.

22.

이미정 (2006). 청소년의 비행경험 수준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71-91.

23.

이성식 (1999). 비행친구와 비행과의 관계: 통합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37, 193-221.

24.

이성식 (2007).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친구의 청소년비행에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8(2), 159-181.

25.

이수진 (2006). 비행에서의 남녀차이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4, 213-252.

26.

이은주 (2000). 청소년비행에 대한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청소년학연구, 7(1), 149-168.

27.

임소영 (2000).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전쌍식 (1999). 청소년 중비행 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아미 (2008). 종단적 자료분석을 통해 본 청소년의 비행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청소년시설환경, 6(1), 29-37

30.

조아미, 방희정 (2003).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1), 249-275.

31.

정익중 (2005). 성역할 고정관념과 청소년비행의 성별 차이. 한국청소년연구, 16(1), 35- 76

32.

정익중 (2006). 자아존중감과 청소년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 사회복지연구, 31, 133-159.

33.

조주연, 김신영 (2010). 청소년 비행 결정요인 탐색: 자기통제력과 자기친구의 주 효과 및 상호작용효과 검증. 미래청소년학회지, 7(1), 151-173

34.

진혜민, 배성우 (2012).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4(2), 193 -221.

35.

최수형 (2007). 비행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반응의 성별 차이.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6.

한명수 (2000).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243-264.

38.

홍정순 (2010). 자기개념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Allen, J. P. & Land, D. (1999). Attachment in adolescence.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pp.319-335). New York: Guilford Press.

40.

Arbuckle, J. L. (1996). Full information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incomplete data. In G. A. Marcoulides & R. E. Schmacker (Ed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techniq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41.

Bishop, J. A., & Inderbitzen, H. M. (1995).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 to self-esteem.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5(4), 476-489.

42.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43.

Chapple, C. L. (2005). Self-control, peer relations, and delinquency. Justice Quarterly, 22(1), 89- 106.

44.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46.

Jang, S., & Thornberry, T. P. (1998). Self-esteem,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A test of the Self Enhancement 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4), 586-598.

47.

Kaplan, H. B. (1975a). Self-Attitudes and Deviant Behavior. Pacific Palisades, CA: Goodyear Publishing Company.

48.

Kaplan, H. B. (1975b). Sequelae of self-derogation predicting from a general theory of deviant behavior. Youth & Society, 7(2), 171-197.

49.

Kaplan. H. B. (1978). Deviant behavior and self- enhancement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3), 253-277.

50.

Kaplan, H. B. (1980). Deviant Behavior in Defense of Self. New York: Academic Press.

51.

Loeber, R., & LeBlanc, M. (1990). Toward a developmental criminology. Crime and Justice, 12, 375-473.

52.

Mason, W. A. (2001). Self-esteem and delinquency revisited (again): A test of Kaplan's self- derogation theory of delinquenc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1), 83-102.

53.

Matsueda, R., & Anderson, K. (1998). The dynamics of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t behavior. Criminology, 36(2), 269-308.

54.

Mears, D. P., Ploeger, M., & Warr, M. (1998). Explaining the gender gap in delinquency: Peer Influence and Moral Evaluations of Behavior,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5(3), 251-266.

55.

O'Malley, P. M.. & Bachman, J. G.. (1983). Self- esteem: Change and stability between ages 13 and 23. Developmental Psychology, 19(2), 257- 268.

56.

Paternoster, R., & Brame, R. (1997). Multiple routes to delinquency? A test of developmental and general theories of crime. Criminology, 35(1), 49-84.

57.

Pratt, T. C., & Cullen, F. T. (2000). The empirical statu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A meta-analysis. Criminology, 38(3), 931-964.

58.

Rosenberg, M., Schooler, C., & Schoenbach, C. (1989). Self-esteem and adolescent problems: Modeling reciprocal effec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4(6), 1004-1018

59.

Sampson, R. J., & Laub, J. H. (1993). Crime in the Making: Pathways and Turning Points Through Lif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0.

Schunk, D. H., & Lilly, M. W. (1984). Sex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attributions: Influence of performance feedback.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4(3), 203-213.

61.

Simons, R. L., Johnson, C., Conger, R. D., & Elder, C. (1998). A test of latent trait versus life-course perspectives on the at ability of adolescent antisocial behavior. Criminology, 36(2), 217-243.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