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The Effect of Coaching 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2, pp.429-45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coaching on the concepts of career in college students. In each group,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36 College students were tested by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of Mixed ANOVA were represented that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have more positive career relative concept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both post and follow test. This study was suggested that coaching program was able to affect Business effectiveness as well as career relative concepts.

keywords
진로코칭,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Career Coaching,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ference

1.

강경자 (2006). 유아교육기관 미혼 원장의 ‘부모교육하기’에 관한 내러티브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광석 (2000). 코치의 리더십 유형과 구성원 성숙도 및 만족도가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선남, 정현욱 (2005). 남녀대학생의 진로 및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8(2), 267-284.

5.

김세정 (2008). 대학생의 통재소재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따른 진로탐색행동. 진로교육연구, 21(2), pp.93-107

6.

김정식 (2008). 리더십과 흡수역량 및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상범 (2010). 판매관리자의 코칭이 판매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 박사학위논문.

8.

김진수 (2012).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기업관리자의 코칭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10.

이미숙 (2002). 행동계약과 코칭을 통한 강화가 장애학생의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소희 (2008),「멋진 응원 코칭」, 서울, 신정.

12.

이순규 (2007). 그룹 코칭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석만 (2011). 외식기업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이선희 (2009). 리더십 코칭 연구의 현재와 향후 연구방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0(1), 115-142.

15.

이은경 (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임정섭, 최영임 (2011). 충남대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 방해요인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충남대학교 인재개발원 연구과제 수행보고서.

17.

조성진 (2009). 코칭이 자기효능감, 성과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조성진 (2011). 코칭이 자기효능감, 조절유효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9(2), 201- 252.

19.

최영례 (2007). 위인동화를 활용한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최치영 (2004). 상사의 코칭이 직원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대학병원간호사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통계청 (2008). 2008년 2월 고용동향. 대전: 통계청.

22.

한허정 (2007). 조직 중간관리자의 코칭 역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홍희숙 (2009). 중소기업 리더의 코칭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관련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Bench, M. (2003). Career coaching. Mountain View, CA: Davis Black Publishing.

25.

CCU(Corporate Coach University). What is Coaching. Http://www.coachinc.com/coachinc/ this is my frist visit/what is coaching. (2009. 4. 17. 인용)

26.

Edwards, L. (2003). Coaching the lastest buzzword or a truly effective management tool?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35(7), 298- 300.

27.

Ellinger, A. D., Beattie, R. S., & Hamlin, R. G. (2010). The ‘Manager as coach.’ In Cox, E., Bachkirova, T., & Clutterbuck, D., The complete handbook of coaching, 257-27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8.

Eric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29.

Ives, Y. (2008). What is ‘coaching’? An exploration of conflicting paradigms,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Coaching and Mentoring, 6(2), 100-113.

30.

KCA. 코칭의 정의. http://www.kcoach.or.kr/main. asp?subPage=411(2008년 11월 9일 인용)

31.

O'Hanlon, B & Beadle, S. (1996). A Field guide to possibility land: Possibility theraphy methods. London: BT Press.

32.

Redshaw, B. (2000). Do were rally understand coaching? How can we make it work better?,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32(3), 106- 108.

33.

Rogers, J. (2008). Coaching skills: A handbook. Glasgow: Bell and Bain Ltd.

34.

Steffy, B. D., Shaw, K. L., & Noe, A. W. (1989).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job search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 254-269. Psychology, 34, 1073-1084.

35.

Strong, E. K. Jr. (1970). Vocational interest 18 years after colleg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6.

Srivastava, A., Bartol, K. M., & Locke, E. A. (2006).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6), 1239-1251.

37.

Whitmore, J. (2002), Coaching for Performance, 3rd Edition, Nicholas Brealey Publishment, Lond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