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정서경험 유형에 따른 식이행동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The difference in Eating behaviors and Ego-resilience derived from emotion experience types in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2, pp.307-325
박서연 (광운대학교)
이상희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명확성과 정서강도를 중심으로 정서경험 유형을 분류하고 정서경험 유형에 따른 식이행동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정서강도는 높을수록 정서적, 외부적 섭식이 높았으나 정서명확성이 식이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정서강도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명확성과 정서강도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생은 4개의 정서경험 유형-안정된 유형, 격렬한 유형, 압도된 유형, 무딘 유형-으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으며, 정서경험 유형에 따라 식이행동과 섭식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경험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유형이 다른 정서경험 유형보다 가장 높은 자아탄력성 점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격렬한 유형과 무딘 유형이 중간 정도의 점수를, 압도된 유형이 가장 낮은 자아탄력성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정서경험 유형, 식이행동, 자아탄력성,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 types, eating behaviors, ego resili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fine four emotion types (i.e., cerebral, hot, cool, overwhelmed) by their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emotion types on eating behaviors and ego-resilience. Total of 425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the emotional inten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on eating behavior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emotional intensity. Second, emotion typ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y their level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Eating behaviors and eating typ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motion types. Third, ego-resil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 types. Specifically, individuals of cerebral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s on ego-resilience followed by those of hot and cool types placed in the middle. Individuals of overwhelmed type demonstrated the lowest scores on ego-resilien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정서경험 유형, 식이행동, 자아탄력성,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 types, eating behaviors, ego resilience

참고문헌

1.

김혜은, 박 경 (2003).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511-524.

2.

박연수 (2003).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성주희, 홍혜영 (2012).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1), 325-340.

4.

소원현 (2000). 부정적인 정서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안소연 (1994). 폭식 행동 집단의 신체 불만족과자아존중감 및 우울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이경희, 김봉환 (2010).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한국상담및심리치료학회지, 22, 369-384.

7.

이민영 (2009). 정서강도,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이상선 (1993). 여대생의 식사행동과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이상선 (2007). 폭식행동의 이중-경로 모형에관한 검증: 부정 정서 경험 측정과 부정정서 조절 기대 구분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883-902.

10.

이소연 (2002). 정서인식, 스트레스 지각, 통증민감도가 신체화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이수정 (2001). 정서의 이론적 접근에 입각한정서관리 방략.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 67-90.

12.

이옥형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13.

이은석, 김성희 (2012). 대학생 자아탄력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6), 3077-3094.

14.

이임순 (1997). 정상인의 섭식유형 및 다이어트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 87-100.

15.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117-140.

16.

장수진 (2002). 직장인의 정서 자각, 표현과 정신건강의 관련.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전상희 (2012). 정서강도와 정서명료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조성은, 오경자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797-812.

19.

조소현 (2004).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이자기파괴적 충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식행동과 중독적 인터넷 사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천부경 (2012).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안녕감: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 비교.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군집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 59-73.

22.

Eisenberg, N., & Fabes, R. A. (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119-150.

23.

Flett, G. L., Blankstein, K. R., & Obertynski, M. (1996). Affect intensity, coping styles,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 221-228.

24.

Fujita, F., Diener, E., & Sandvik, E. (1991). Gender differences in negative affect and well-being: the case for emotional intens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3), 427-434.

25.

Gohm, C. L. & Clore, G. L. (2002). Four latent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their involvement in well-being, coping, and attributioanl style. Cognition and Emotion, 16, 495-518.

26.

Gohm, C. L. (2003).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3), 594-607.

27.

Goldman, S. L., Kraemer, D. T., & Salovey, P. (1996).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1(2), 115-128.

28.

Grabe, H. J., Spitzer, C., & Freyberger, H. J. (2004). Alexithymia and personality in relation to dimensions of psychopatholog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1(7), 1299-1301.

29.

Greeno, C. G., & Wing, R. R. (1994). Stress-induced eating. Psychological bulletin, 115(3), 444-464.

30.

Haddock, G., Esses, V. M., & Zanna, M. P. (1994). The role of mood in the expression of intergroup stereotypes. The psychology of prejudice: The Ontario experience, 7, 77-101.

31.

Heatherton, T. F., & Baumeister, R. F. (1991).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Psychological bulletin, 110(1), 86-108.

32.

Herman, C. P., & Polivy, J. (1980). Restrained eating. Obesity, 208-225.

33.

Kring, A. M., Smith, D. A., & Neale, J. M.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34-949.

34.

Larsen, R. J., & Diener, E. (1987).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A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1(1), 1-39.

35.

Leith, K. P., & Baumeister, R. F. (1996). Why do bad moods increase self-defeating behavior? Emotion, risk tasking, and selfreg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6), 1250-1267.

36.

Lupton, D. (1996). Food, the Body, and the Self. London: Sage.

37.

Mayer, J. D., & Stevens, A. A. (1994).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 (meta-) 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8(3), 351-373.

38.

McFarland, C., & Buehler, R. (1997). Negative affective states and the motivated retrieval of positive life events: The role of affect acknowle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 200-214.

39.

Orleans, C. T., & Barnett, L. R. (1984). Bulimarexia: Guidelines for behavioral assessment and treatment. The binge-purge syndrome, 144-177.

40.

Patel, K. A., & Schlundt, D. G. (2001). Impact of moods and social context on eating behavior. Appetite, 36(2), 111-118.

41.

Petersen, A. C., & Hamburg, B. A. (1986). Adolescence: A developmental approach to problems and psychopathology. Behavior Therapy, 17(5), 480-499.

42.

Ruderman, A. J. (1983). The restraint scale: A psycohmetric investigatio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21, 253-258.

43.

Ruderman, A. J. (1985). Dysphoric mood and overeating: A test of restraint theory's disinhibition hypothe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4, 78-85.

44.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45.

Van Strien, T. (1996).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ing and “obese” and bulimic eating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9(1), 83-92.

46.

Williams, D. G. (1989). Neuroticism and extroversions in different factors of the affect intensity measu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 1095-110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