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사회의 위험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과 제언: 세월호 참사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approaches and suggestions about the risks of Korea: Focusing on the Sewolho ferry disaster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5, v.34 no.3, pp.709-739
https://doi.org/10.22257/kjp.2015.09.34.3.709
이순열 (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위험에 대해 이루어져온 심리학적 연구들을 살펴보고, 향후 위험을 감소시키고 안전을 획득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심리학회를 중심으로 발표된 위험과 안전 및 사고와 재난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함의와 생각해 보아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세월호 참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사고와 직면하고 있는 위험상황을 바라보는 심리학적 의문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험과 안전에 대한 개념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객관적 위험과 객관적 위험에 대한 주관적 평가로써 주관적 위험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나아가 위험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인 경험적 측면(사고경험 유무 및 사고발생에 대한 처리 경험 등), 인지적 측면(환경 및 인간, 도구에 대한 지식의 정도 등), 지각적 측면(위험의 통제소재, 사고에 대한 귀인, 통제 및 책임져야하는 위험에 대한 지각정도 등), 정서적 측면(위험에 대한 정서적 반응 및 태도, 불안 및 동기수준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소개된 연구결과들과 위험을 줄이고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학적 제언 및 제한점들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keywords
안전, 위험, 사고, 세월호, Safety, Risk, Accident, The Sewolho ferry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ach that has so far recognized the psychological tendency for the safety and reduce the risk. For this purpose, introduc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isk and psychological research on safe, I suggest that you should think and implications contained therein. Specifically, it proposed a psychological question facing the dangerous situation facing the incident that occurred in Korea. The following risk and safety, examined the concept of an accident. Had established the concep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risk, empirical assessment in the evaluation of risk(accident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handling incidents), assessment of cognitive(knowledge of the tools, environment and humans), perceptual evaluation(risk control material, attributed to the accident, perception of the risk to be controlled and responsible), looked for the emotional evaluation(emotional reactions and attitudes to risk, anxiety and motivation levels).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and reduce the risk introduced in this study describes the psychological suggestions.

keywords
안전, 위험, 사고, 세월호, Safety, Risk, Accident, The Sewolho ferry

참고문헌

1.

국무총리실 안전관리기획단 (2000). 안전관리종합대책.

2.

김기식, 박영석 (2002). 안전 분위기가 안전 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1), 19-39.

3.

김동우, 박선진, 이순철 (2009). 서두름 행동이운전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4), 487-505.

4.

김의철, 박영신, 박동현 (2001).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2), 39-63.

5.

김창훈, “JTBC 8시 뉴스”, 서울: JTBC TV, 2014.

6.

김형수, 오세진, 양병화, 김형일 (2002). 사회적교환관계가 안전사고에 미치는 경로효과모델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2), 47-66.

7.

대한변호사협회 (2003). 인권보고서 제18집, 서울: 대한변호사협회

8.

박선진, 이순철 (2009). 서두름 행동이 과젯행의 속도와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3), 469-485.

9.

박영신, 박동현, 김의철 (1998).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효율적 안전교육의 방향 탐색:작업자, 안전관리자, 공무원의 안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육학회: 사회교육학연구, 4(1), 277-307.

10.

박영호 (1989). 인적요인에 의한 산업재해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박진영, 최혜원, 서은국 (2012). 물질주의 인간관계 경시의 심리적 원인: 낮은 일반적신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1), 23-36.

12.

송동빈 (2002). 산업의학분야에서 심리학적 이론의 도입 필요성: 산업예방 프로그램을중심으로.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사)한국심리학회, 78-80.

13.

안상혁 (2015). 불안, 키에르케고어의 실험적 심리학,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4.

예영준 (2010, 10, 14). 칠레고아부 69일만에생환. 중앙일보, 6면.

15.

이순열 (2015a). 위험감수성(Risk Sensitivity) 측정문항 개발과 그 적용의 타당성: 불안정서와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교통연구, 22, 1, 61-74.

16.

이순열 (2015b).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운전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1), 61-74.

17.

이순열, 이순철 (2007). 음주 운전자들의 운전확신수준 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1), 43-55.

18.

이순열, 이순철 (2010). 교통사고 위험지수에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1), 75-87.

19.

이순철 (2000). 교통심리학, 학지사: 서울.

20.

이순철 (2004). 교통행동 연구의 경향성 분석을 위한 문헌고찰: 1990년 이후 한국 교통심리학의 연구경향분석,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0(3), 1-18.

21.

이영애 (2005). 위험지각 연구의 최신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7(3), 265-277.

22.

이원영 (2006). 안전행동 및 사고에 대한 성실설, 인지실패 및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3), 475-497.

23.

이종한 (2003). 사고공화국에 대한 심리학적제의: 안전사고의 심리적 기제와 대안 모색에 관한 여덟 편의 논문을 안내하면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특집호), 1-14.

24.

이재식 (2005). 교통안전에 대한 공학심리학적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7(3), 279-297.

25.

이현주, 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831-851.

26.

임성만, 김명언 (2000). 조직에서의 신뢰: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3(2), 1-19.

27.

최광현 (2013). 인형치료-트라우마 가족치료에 대한 적용. 학지사: 서울

28.

최인철, 김범준 (2007). 원자력 발전소 안전체감에 관한 연구: 안전체감지수 개발과 안전체감 수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 3, 1-21.

29.

최상진, 김정인, 박정열, 손영미 (2001). 주차위반 유발에 관여되는 위반상황 해석양식과위반자들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7(1), 91-117.

30.

한덕웅 (2003). 한국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특집호, 35-55.

31.

한성열 (2005).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특집호, 163-174.

32.

Arunraj, N. S., Mandal, S., Maiti, J. (2013). Modeling uncertainty in risk assessment: An integrated approach with fuzzy set theory and Monte Carlo simulation.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55, 242-255.

33.

Brown, P. L., & Berdie, R. F. (1960). Driver behavior and scores on the MMPI.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4(1), 18-21.

34.

Craske, S. (1968).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accident history.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41, 399-404.

35.

Daalmans, J. (2013). Risk sensitivity: The perception of risks. Human behavior in hazardous situations, 43-62.

36.

Eberts, R. E., and MacMillan, A. G. (1985). Misperception of small cars. In R. E. Eberts and C. G. Eberts(eds.). Trends in Ergonomics Human Factors II (pp. 33-39). North Holland, The Netherlan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 V.

37.

Evans, I. (1996). A crash course in traffic safety. 1997 Medical and Hearth Annal, Chicago:Encyclopedia Britannica.

38.

Finucane, M. I., Alhakami, A., Slovic, P., & Johnson, S. M. (2000). The affective heuristic in judgements of risks and benefits.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rking, 13, 1-17.

39.

Geller, E. S. (2005). People based safety: The source. Virginia Beach, VA: Coastal Training Technologies Corp.

40.

Geller, E. S. (2001). The psychology of safety handbook. Boca Raton, FL: CRC Press LLC.

41.

Guastello, S. J. (1993). Do we really know how well our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work? Safety Science, 16, 445-463.

42.

Greenwood, M., & Woods, H. M. (1919).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upon individuals with specific reference to multiple accidents. Industrial Fatigue Research Board Report, 4, London: HMSO.

43.

Hansen, C. (1988).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 envolved employee. Journal of Bussiness and Psychology, 2, 346-365.

44.

Harlow, H. F., & Zimmermann, R. R. (1958).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responsiveness in infant monkey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02, 501-509.

45.

Harris, F. J. (1949). A Comparison of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ccident and non-accident industrial populations. American Psychology, 4, 79.

46.

Heinrich H. W., Petersen, D., & Roos, N. (1980).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McGraw Hill, Inc.

47.

Hsee, C. K., & Weber, E. U. (1999).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risk preference and lay predictions.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12, 165-179.

48.

Katila, A., Keskinen, E., Hatakka, M. (1996). Conflicting goals of Skid Training.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8, 785-789.

49.

Kellermann, P. F., & Hudgins, M. K. (2008). 트라우마 생존자들과의 심리극 [Psychodrama with Trauma Survivors: Acting Out Your Plan]. (최대헌, 조성희, 이미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0년에 출판).

50.

Kim, U. (2003). Interface among psychology, technology, and environment: Indigenous and cultural analysis of probabilistic versus the deterministic view of industrial accidents and occupational safe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특집호), 123-147.

51.

Kunce, J., & Reeder, C. (1974). SVIB scores and accident proneness. Measurement & Evaluation in Guidance, 17, 118-121.

52.

Kuznar, L., A. (2002). Evolutionary applications of risk sensitivity models to socially stratified species comparison of sigmoid, concave, and linear functions.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23, 265-280.

53.

Loewenstein, G. F., Weber, E. U., Hsee, C. K., & Welch, N. (2001). Risk as feelings. Psychological Bulletin, 127, 267-286.

54.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55.

Morgan, J. I., Jones, F. A., & Harris, P. R. (2013).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ood on risk decision making in safety-critical worke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50, 472-282.

56.

Neal, A., & Griffin, M. A. (2006).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 946-953.

57.

O’Gorman, W. D., & Kunkle, E. C. (1947). Study of thhe relation between MMPI scores and pilot error in aircraft accidents, Journal of Aviation Medicine, 18, 31-38.

58.

Pires, T. T. (2005). An approach for modeling human cognitive behavior in evacuation motels. Fire Safety Journal, 40, 177-189.

59.

Ramsey, J. (1985), Ergonomic factors in task analysis for consumer product safety. Journal of Occupational accidents, 7, pp.113-123.

60.

Reason, J. (1984). Lapses of attention in everyday life. In R. Parasuraman & D. R. Davies(Eds.), Varieties of attention. (pp. 515-549). New York:Academic Press.

61.

Reason, J. (1990). Human error.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Sime, J. D. (2001). An occupant response shelter escape time (ORSET) model. Safety Science, 38, 109-125.

63.

Slovic, P. (1986). Informing and educating the public about risk. Risk Analysis, 6, 403-415.

64.

Slovic, P.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65.

Slovic, P., Kunreuther, H., White, G. F. (1974). In G. F. White (ed), Natural Hazards Local, national, and glob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6.

Slovic, P., Layman, M., Kraus, N., Flynn, J., Chalmers, J., Gesell, G. (1991). Perceived risk, stigma, and potential economic impacts of a high-level nuclear waste repository in Nevada. Risk Analysis, 11, 683-696.

67.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nd Emotional State: In Anxiety;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68.

Tuncel, S., Lotlikar, H., Salem, S., & Daraiseh, N. (2006). Effectiveness of behavior based safety interventions to reduce accidents and injuries in workplace: Critical appraisal and metaanalysis.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38, 391-398.

69.

Ulrich, B. (2014).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홍성태 역). 서울: 새물결 (원전은1986년에 출판).

70.

Von Thaden, T. L., Kessel, J., & Ruengvisesh, D. (2008). Measuring indicators of safety culture in a major european airline’s flight operations department. The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the Australian Psychology Association. Movotel Brighton Beach, Sydney, 8-11 April.

71.

Wasielewski, P. (1984). Speed as a measure of driver risk: Observed speeds versus driver and vehicle characteristic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16, 89-103.

72.

Wilde, G. J. S. (1982). The theory of risk homeostasis: Implication for safety and health. Risk Analysis, 2, pp. 209-225.

73.

Wuebker, L., Jones, J., & Du Bois, D. (1985). Safety locus of control as a predictor of industrial accidents. Technical Report. The St. Paul Co, St. Paul, M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