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The Effectiveness of Youth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s: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6, v.35 no.1, pp.191-216
https://doi.org/10.22257/kjp.2016.03.35.1.19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youth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s. A total of 74 thesis on the effect of youth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4 were selected and reviewed. First, after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225 samples out of 74 studies, the average effect size of youth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s 1.144, respectively big. Second, the applied theory presents that the effect size is biggest when the program is developed on MI-CBT(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Third, in regard to the dependent variable, when the program is designed to reduce variables related to stress, the effect size is the biggest. Fourth, in regard to mediators of the target, the effect size of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 was the biggest. The effect size of voluntary participants and of the same gender group was bigger than that of involuntary participants and of the gender-heterogeneous group. Fifth, regarding to mediators of the program running, the effect size of treatment-focused programs was bigger than prevention-focused ones. It was the biggest when it was done by less than 10 participants during an experimental period of 5-8 weeks, 9-2 times per term, and 61-90 minutes per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key-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re discussed.

keywords
인터넷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청소년, 동기강화상담, 메타분석,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Meta-Analysis, Motivational Interviewing, Youth

Reference

1.

강대철 (2007).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인터넷 과다사용 경향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민선 (2003).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강진령, 손현동 (2004). 집단상담 프로그램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2(1), 81-90.

4.

강희양 (2008).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사회적 자기조절 모형 탐색 및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전북대학교석사학위 논문.

5.

강희양, 손정락 (2007). 인터넷 및 게임 중독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33-744.

6.

고용남 (2010).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구광모 (2011).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과 수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권경인, 조수연 (2013).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및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41-62.

9.

권성열 (2006).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 감소 및 정신건강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권예원 (2011). 청소년의 대인관계 집단상담 프로그램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권현주 (2007).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권희경, 권정혜 (2002).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503-514.

13.

김경환 (2003).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중학생의인터넷 게임 중독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김경희 (2008).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김계현 (2000). 상담심리학 연구. 서울: 학지사.

16.

김계현 (2007). 상담심리학 연구: 주제론과 방법론. 서울: 학지사.

17.

김계현, 이윤주, 왕은자 (2002). 국내 집단상담성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3(1), 47-62.

18.

김광현, 장재홍 (2010). 청소년 인터넷 게임과다사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 스트레스 지각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1(1), 213-232.

19.

김남조 (2009).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동기강화 집단상담의 효과. 한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김민정 (2011). 인터넷 과다사용 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자중학생의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김상숙 (2008). 알코올 의존 환자를 위한 인지행 동치료와 동기증진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비 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김수진 (2001). 우울증에 대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효과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김수진 (2009).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

김영애 (2010).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한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프로그램 적용 및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김영춘, 민경일, 신용달, 조용석 (2010). 현대사회의 정보통신개론.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26.

김용수 (2005). 집단상담이 인터넷 중독 예방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김윤희, 김진숙 (2015). 공감훈련 프로그램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4),1-21.

28.

김은영 (2007).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김종근 (2011). 경제성장과정에서의 정보통신기술정책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 논문집. 1089-1105, 6월 24-24일. 대전: 목원대학교.

30.

김춘경, 이수연, 최웅용 (2006). 청소년 상담. 서울: 학지사.

31.

김형태 (2008).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동문사.

32.

김혜온, 김성혜 (2005). 현실 치료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 18(1), 11-22.

33.

김희영, 조미경 (2015). 청소년 인터넷중독 집단치료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2), 89-118.

34.

김희주 (2004).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독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정도와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5.

고수연 (2002).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6.

남영희 (2006).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

노영희 (2008). 게임중독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 미술치료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8.

문순현 (2006).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통합적 자기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

문현실, 김옥희, 고영삼, 배성만 (2011). 인터넷 중독 청소년에 대한 해결중심 상담프로그램의 치료효과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123-140.

40.

미래창조과학부 (2013). 생애주기별 인터넷중독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제2차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

41.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42.

박건숙 (2011). 독서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박경란, 김희숙 (2011). 인터넷 중독 집단상담 통합 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경향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1(5), 694-703.

44.

박성희 (2010).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초등학교 5학년 대상-.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5.

박송호 (2014). 자기통제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고등학교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에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6.

박승민 (2009).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607-623.

47.

박영화 (2009). 인터넷 과다사용 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과다사용 아동에게미치는 영향. 경인교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박재홍, 김성환 (2011). 청소년기 뇌 발달과 인지, 행동 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2(1).11-20.

49.

박정임, 구미라 (2004). 알코올중독자를 위한 동기강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입원한 알코올중독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알코올과학회지, 5(1), 49-74.

50.

박향금 (2008). 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인터넷 중독 잠재력 사용자군을 대상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1.

백점순 (2005).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인터넷 중독 고등학생의 중독 수준과 자기효능감, 내부-외부 통제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2.

서보욱 (2012). 청소년 인터넷게임 중독에 대한 목회상담적 인지행동프로그램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3.

서진숙 (2006).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완화와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4.

성미나, 홍성화 (2010).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행동에 미치는효과. 청소년상담연구, 18(2), 57-69.

55.

소두영, 유현근, 손현동 (2008). 인터넷 과다사용 초등학생을 위한 사회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교육방법연구, 20(2),21-39.

56.

손기화 (2005). 인터넷과다사용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관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7.

손우현 (2009). 인터넷중독 청소년 NLP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우울, 자기통제력,스트레스대처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6(3), 45-66.

58.

손현정 (2011).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9.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0.

신성만, 권정옥 (2008).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동기강화 상담. 한국알코올과학회지, 9(1),69-84.

61.

신성만, 류수정, 김병진, 이도형, 정여주 (2015).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동기강화상담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상담학연구,16(4), 89-109.

62.

신을진, 김창대, 김형수, 이상희, 최한나 (2011).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63.

신향숙 (2005).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인터넷중독아동의 자기통제력 수준에 따라 인터넷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4.

오창홍, 박상규, 박태수, 오인자 (2012).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상담학연구, 13(5), 2395-2415.

65.

유승은 (2007). 아동․청소년의 문제 행동 감소를위한 집단상담 효과의 메타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6.

윤광숙 (2004). 現實療法 프로그램이 靑少年의인터넷 中毒減少에 미치는 效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7.

오성삼 (2002). 선행 연구 결과의 통합과 재분석을 위한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68.

오익수, 김 철 (2009). 인터넷중독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3(4), 529-538.

69.

이경환 (2011). 동기강화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인터넷 중독에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0.

이규미 (2008). 청소년상담 동기강화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6(1), 119-137.

71.

이몽숙 (2007). 인터넷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초등학생을 위한 자기통제력 향상 프로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2.

이선미, 이승희 (2008). 놀이 중심의 자기통제훈련 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터넷중독수준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2(2), 55-74.

73.

이신후 (2013).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프로그램 효과검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4.

이영미 (2005). 게임 중독 청소년의 충동성과 불안 감소를 위한 노래 만들기(songwriting)기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5.

이은경 (2014).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2009년∼2013년 논문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6.

이임순 (2004). 사이버와 면대면 인터넷사용조절 훈련을 통한 인터넷 중독 감소 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7.

이정미 (2007).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예방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현실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8.

이정화 (2005). 인지행동 집단치료가 게임중독고등학생의 게임중독 수준, 자기통제력 및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9.

이정화, 손정락 (2008). 게임중독 고등학생의중독 수준과 자기통제력, 우울감 개선을위한 집단인지행동치료의 효과. 스트레스연구, 16(4), 409-417.

80.

이준기, 강근모 (2015). 청소년 인터넷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상담학연구, 16(3), 101-120.

81.

이지혜 (2012). 동기강화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자기통제력, 우울/불안, 지각된 스트레스에미치는 효과. 한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2.

이형득, 김성회, 설기문, 김창대, 김정희 (2007).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83.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84.

이홍희 (2006). 집단상담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영향. 중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5.

임은미, 임찬오 (2003). 국내 집단 진로지도 및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청소년상담연구, 11(2), 3-11.

86.

장남미 (2007).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7.

장재홍, 신효정 (2003). 청소년 인터넷 중독예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651-672.

88.

전혜진 (2013). 성인아이의 특징을 지닌 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성작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교류분석상담연구,3(1), 21-52.

89.

정명희 (2006). 동기강화인지행동치료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0.

정민 (2012). 아들러의 사회적 관심과 격려 기법에 근거한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비행 아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533-553.

91.

정여주 (2008). 통합예술치료가 인터넷중독고교생의 인터넷 사용조절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5(3), 555-570.

92.

정현숙 (2014). 사회성 향상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2003∼2013)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3.

제가호 (2009).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학교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4.

조미경 (2004).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에 대한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5.

조옥자 (2005). 게임중독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호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6.

조은실 (2003). 대인불안 성향의 인터넷 중독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7.

조중현, 김진숙 (2014). 중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상담학연구, 15(6), 2269-2290.

98.

주해원 (2006). 초이론 모델을 적용한 청소년게임중독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9.

주해원, 현명호, 박지선 (2011). 범이론 모형에 기반한 치료가 청소년 게임중독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8(6),227-246.

100.

차은선 (2011). 집단음악치료가 인터넷 중독초등학생의 자기통제, 사회성 및 스트레스에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1.

채유경 (2006). 초등학생 게임 과몰입에 관한 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효과검증. 상담학연구, 7(3), 885-898.

102.

최경원 (2004). 해결중심을 적용한 단기집단상담과 사후관리가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사용량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3.

최명상 (2004). 현실치료 집단 상담이 인터넷 중독 고교생의 자기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영향. 좋은인간관계학회지, 2(2), 35-51.

104.

최신영, 안이환 (2013).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초등상담연구, 12(20), 13-32.

105.

최요한 (2013).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6.

최은미 (2015).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을 위한 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과 인지행동 집단상담의효과 비교. 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7.

최지원 (2013).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8.

표명화 (2003). 게임 욕구조절 프로그램이 인터넷 게임 중독 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효과.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9.

하혜숙, 최은미 (2013). 집단상담 사전동의 형태에 따른 사용실태 비교 연구. 상담학연구, 14(2), 1033-1050.

110.

한상수 (2007).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1.

한소은 (2013). 과도한 인터넷사용 청소년을 위한 대인관계 프로그램의 효과: 인터넷 사용조절 중심의 프로그램과의 비교.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2.

허미리 (2002).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적응 상담프로그램의 효과. 안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3.

허지선 (2012). 초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침례신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4.

현은정 (2013).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인터넷과다사용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5.

황다연 (2011).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인터넷 중독 경향 청소년에게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6.

황정규 (1998). Meta-Analysis의 이론과 방법론(경험과학적 연구 결과의 종합을 위하여).서울: 성곡학술재단.

117.

Akin, A., & Iskender, M. (2011).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ternational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3(1), 138-148.

118.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 analysis. Chichester, UK: Wiley.

119.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Revised edi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20.

Cohen, P. A., Kulik, J. A., & Kulik, C. (1982). Education outcomes of tutoring: A metaanalysis of find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2), 237-248.

121.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 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122.

Egger, M., Smith. G. D., Sche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nal, 315, 629-634.

123.

Glass, G. V. (1981).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Beverly Hills: Sage Publish.

124.

Higgins, J.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icriview of Intervention. Chichester, UK: Wiley.

125.

Jacobs, E. E., Masson, R., & Harvill, R. L. (2012).집단상담 전략과 기술〔Group Counseling:Stategies and Skill. Wadsworth〕. (김춘경 역).서울: Cengage Learning. (원전은 2002년에출판).

126.

Lundahl, B., & Burke, B. L., (2009).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A practice-friendly review of four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Session, 65, 1232-1245.

127.

Lundahl, B. W., Kunz, C., Brownell, C., Tollefson, D., & Burke, B. L. (2010). A meta-analysi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Twenty-five years of empirical studie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20, 137-160.

128.

Miller, W. R., & Rollnick, S. (2006). 동기강화상담: 변화 준비시키기 [MOTIVATIONALINTERVIEWING〕. (신성만, 권정옥, 손명자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2에출판).

129.

Miller, W. R., & Rollnick, S. (2015). 동기강화상담: 변화 함께하기 [MOTIVATIONALINTERVIEWING〕. (신성만, 권정옥, 이상훈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13년에출판).

130.

Nelson, E. E., Leibenluft, E., McClure, E. B., & Pine D. S. (2005). The social re-orientation of adolescence: a neuroscience perspective on the process and its relation to psychopathology. Psychol Med 35(2), 163-174.

131.

Rosent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132.

Smith, M. L., & Glass, G. V. (1977). Metaanalysis of psychotherapy outcome studies. American Psychoiogist, 32(9), 752-760.

133.

Treasure, J. L., Katzman, M., Schmidt, U., Troop, N., Todd, G., & de Silva, P. (1999). Engagement and outcome in the treatment of bulimia nervosa: First phase of a sequential design comparing motivation enhance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7(5), 405-418.

134.

Westra, H. A. (2014). Motivational Interviewing in the Treatment of Anxiety. New York: Guilford Press.

135.

Winkler, A., Donsing, B., Rief, W., Shen, Y., & Glombiewski, J. A. (2013). Treatment of internet addiction: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s, 33(2), 317-329.

136.

Zuckerman, M., Eysenck, S., & Eysenck, H. J. (1978). Sensation seeking in England and America: cross-cultural, age, and sex comparisons. J Consult Clin Psychol. 46(1), 139-149.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