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Assessing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Guidelines and Empirical Illustr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6, v.35 no.1, pp.257-282
https://doi.org/10.22257/kjp.2016.03.35.1.257
정선호 (경희대학교)
서동기 (한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행동과학 연구자들은 흔히 회귀모형을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를 통해 질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최근에는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역할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이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자들이 이 통합모형의 개념적 구분과 분석절차의 적용에 있어 적지 않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연구모형과 통계모형 측면에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이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 회귀분석 접근법은 이 통합모형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 분석방법을 따르므로 이론개발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본문에서 먼저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개념적 구분과 방법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Baron과 Kenny(1986)가 처음으로 소개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James와 Brett(1984)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다회귀모형에 바탕을 두어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둘을 단일분석모형으로 통합한 Muller, Judd와 Yzerbyt(2005)의 회귀분석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이 접근법에 의해 각각의 분석전략과 검증방법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논의된 연구방법에 따라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PROCESS(Hayes, 2012)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들은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들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통합모형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도를 높이고 이론개발 단계에서 회귀분석 접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연구를 수행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그들이 이 논문을 기초로 경로분석 접근법(조건화 과정 모형)으로 연구방법의 폭을 넓혀나가기를 희망해 본다.

keywords
매개효과,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회귀분석, mediation, moderation, mediated moderation, moderated mediation, regression model

Abstract

The goals of this article are to (1) describ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2) provide conceptual overview of how to examine each type of integration between mediation and moderation, including analytical strategy and interpretation of numerical results; (3) demonstrate how to analyze each using real data sets. The authors focus on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because it remain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ssessing mediation and moderation in behavioral research.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mitigate confusion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d thus can enhance the frequency of tests of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in the literature.

keywords
매개효과,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회귀분석, mediation, moderation, mediated moderation, moderated mediation, regression model

참고문헌

1.

김기준, 송해엽, 정재민 (2015). 고익연계마케팅의 적합성과 지속성이 브랜드 페이지가입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4(1), 281-303.

2.

김인경, 홍혜영 (2013). 복합외상 경험자들의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453-491.

3.

김은혜, 서수균 (2013). 내현적 자기애성향과적대감 사이에서 부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33-548.

4.

박지현, 방희정 (2013). 여대생의 사회지향성이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2(3), 653-674.

5.

이흥표 (2014). 신경증 외래 환자 집단에서 사회적 배척과 자살 사고와의 관계 및 우울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33(1), 1-24.

6.

조영일, 김지현, 한우리, 조유정 (2015). 임상연구에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및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1113-1131.

7.

조영재, 이동훈 (2013). 남자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4), 845-866.

8.

차문경, 이유재 (2014). 노스탤지어의 유형이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향상감과사회적 책임감을 통한 조절초점의 매개된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9(5),23-49.

9.

채서영, 임성문 (2014). 자기애와 강박적 구매의 관계: 물질주의와 의사결정유능성의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5(1), 123-144.

10.

홍주현, 심은정 (2013). 정서인식의 명확성과청소년의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32(1), 195-212

11.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1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 1173- 1182.

13.

Brown, S. P., Westbrook, R. A., & Challagalla, G. (2005). Good cope, bad cope: Adaptive and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following a critical negative work ev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792-798.

14.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5.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16.

Cole, M., Bruch, H., & Walter, F. (2008). Affective mechanisms linking dysfunctional behavior to performance in work teams: A moderated mediation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945-958.

17.

Colquitt, J. A., & Zapata-Phelan, C. P. (2007). Trends in theory building and theory testing: A five-decade study of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 1281-1303.

18.

Di Muro, F., & Noseworthy, T. J. (2013). Money isn’t everything, but it helps if it doesn’t look used: How the physical appearance of money influences spend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6), 1330-1342.

19.

Dijkmans, C., Kerkhof, P., & Beukeboom, C. J. (2015). A stage to engage: Social media use and corporate reputation. Tourism Management, 47, 58-67.

20.

Edwards, J. R., & Lambert, L. S. (2007). Methods for integrating moderation and mediation: a general analytic framework using moderated path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2, 1-22.

21.

Fairchild, A. J. & MacKinnon, D. P. (2009). A general model for testing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Prevention Science, 10(2), 87-99.

22.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White paper, [http://www.afhayes. com/public/proces s2012.pdf].

23.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4.

James, L. R., & Brett, J. M. (1984). Mediators, moderators, and tests for medi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307-321.

25.

James, L. R., Mulaik S. A., & Brett, J. M. (2006). A tale of two method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9, 233-244.

26.

MacKinnon, D. P., Lockwood, C. M., & Williams., J. (2004). Confidence limits for the indirect effect: distribution of the product and resampling method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 99-128.

27.

Morgan-Lopez A. A., MacKinnon D. P. (2006). Demonstration and evaluation of a method for assessing mediated moderation. Behavior Research Methods, 38, 77-87.

28.

Muller, D., Judd, C. M., & Yzerbyt, V. Y. (2005). When moderation is mediated and mediation is modera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 852-863.

29.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 717-731.

30.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ss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 185-227.

31.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32.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33.

Sutton, R. I., & Staw, B. M. (1995). What theory is no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 371-38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