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affairs about the suicide to be developed and to be carried out to the public induced by the major news media, occurring in present-day society called risk society. Research purpose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y discourse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icide prevention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Suicide related articles through the five major daily newspapers were chosen. Text analysis, discourse analysis, and social analysis by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Fairclough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discourse on medicine including mental health and treatment for depression was the main issue of the production of discourse by using the text and discourse analysis. As time goes on, policies for social security and suicide occurred with the Social Implication simultaneously. Second, the social analysis showed that monopolistic discourse on medicine without any introspection about the medical problem made the suicide discourses to be fragment. Third, although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y and frequent mention of social safety is noted, practical measures for suicide are lacking. And finally, discourse on medicin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 and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citizenship investigation for the suicide
강은정, 이수형 (2010). 자살의 원인과 대책 연구: 정신의학적 접근을 넘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안전처 (2015). Q&A로 알아보는 지역안전지수, 안전정책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http://www.mpss.go.kr/home/policy/policy/dataBoard/0004/?boardId=bbs_0000000000000041&mode=view&cntId=8529&category=%EC%95%88%EC%A0%84%EC%A0%95%EC%B1%85%EC%8B%A4&pageIdx=1&searchCondition=all&searchKeyword.
김병철 (2007). 한국 언론의 자살 보도에 관한코퍼스 언어학적 분석: 신문과 텔레비전방송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8, 252~275.
김연종 (2005). 자살보도 권고기준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 형태 분석. 한국언론학회보, 49(6), 140-166.
김왕배 (2010). 자살과 해체사회. 정신문화연구. 33(2), 195-224.
김우남 (2014).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일부개정 법률안, 국회 상임위원회.
김은하, 전소연, 김다예, & 도민정 (2015). 대학상담자들의 자살예방과 자살위기개입 경험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4), 177-206.
김형수, 황춘규 (2006). 한국사회의 동반자살에관한 연구: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38(1), 29-50.
김효창 (2010). 자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조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165-178.
남은영 (2015). 사회적 위험과 국민인식. 보건복지포럼, 7-22
남재일 (2010).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의 담론적 성격: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3), 191-224.
박순만 (2012). 한국 자살 담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형민, 이민아 (2009). 강력사건 및 자살에 대한 언론보도의 실태와 문제점.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09-14, 13~137.
보건복지부 (2013). 자살보도권고기준2.0 발표, http://www.mw.go.kr
서덕희 (2006). “교실붕괴” 이후 신자유주의 교육담론의 형성과 그 저항-홈스쿨링에 관한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16, 77-105.
서종한, 이창환, 김경일, 김성혜 (2012). 한국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적 부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23-344.
서혁, 편지윤, 류수경 (2015). 보도자료 기사화를 통해서 본 독서 담론 형성에 대한비판적 분석. 독서연구, (35), 285-317.
송재룡 (2008). 한국사회 자살과 뒤르케임의자살론: 가족주의 습속과 관련하여. 사회이론, 34, 125-162.
신선희 (2011). 노인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성원 (2011). 경찰공무원의 자살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7(1), 61~82.
신진욱 (2011).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 해방적 학문. 경제와사회, 12(3), 10-45.
안용민, 김보라, 김세현, 김은영 (2014). 2013자살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용역사업보고서,서울대학교의과대학
양보람 (2013). 한국사회의 우울증 담론에 관한사회학적 연구; 의료화와 정책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연문희 (2015). 한국사회의 위기와 국민의 정신건강: 정신보건 상담사의 역할. 효학연구, 21, 63-81
유현재, 송지은 (2012). 미디어의 성격별, 자살관련 보도의 스타일에 대한 분석. 보건사회연구, 32(2), 427-467.
윤재옥 (2014).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 국회상임위원회.
이강훈, 이창한 (2011). 경찰공무원 자살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6(1), 9~33.
이경진, 조성호 (2004).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6(4), 667-685.
이기형 (2006).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14(3), 106-145.
이동훈, 강현숙 (2015). 미국의 재난심리지원체계 및 재난위기상담의 실제와 시사점.상담학연구, 16(3), 513-536.
이미숙 (2007). 가족동반자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탐색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153~175.
이민아, 강정한 (2014). 한국 사회 자살률의 변동과 원인. 한국인구학, 37(2), 1-19.
이병준 (2015). 한국과 미국 일간지의 자살보도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주연, 김봉환 (2012). 연예인 자살생각의 보호요인-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6), 3059-3076.
이창한 (2011). 회복적 보호관찰에서의 범죄예방 위원의 역할 제고방안. 법학논집,16(1), 129-149.
이하나, 안순태 (2013). 자살예방뉴스의 낙인요소에 대한 분석. 한국언론학보, 57(4),27-47.
이현정 (2012).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한국,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접근. 한국학연구, 40, 187~227.
이현지, 김명희 (2007).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무망감,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4(3), 243-264.
장민정 (2012). 신문기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대조분석-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뉴스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신영, 이동귀 (2011). 자살 위험 병사들의 심리특성 연구. 상담학연구, 12(3), 897-914.
정영숙, 정영주 (2015). 한국 청소년과 노인의자살관련 변인들의 고찰.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8(3), 227-254.
정주연, 박재연 (2015). 청소년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자살시도 이전 단계,자살시도 단계, 자살실패 이후 단계 경험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7), 275-305.
중앙자살예방센터 (2015). 자살예방백서, 서울:보건복지부.
지승희, 김명식, 오승근, 김은영, 이상석 (2008).청소년자살 예방프로그램 및 개입방안 개발. 한국 청소년상담원
천선영 (2008). 자살의 이유를 알아야 하는 이유. 사회와 이론, 12, 293-325.
최보영, 김보람, 김아름, 장선희, 정선화, 이상민 (2011). 우연의 영향력에 대한 지각의차이가 진로스트레스,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5), 1873-1891.
최소정, 배대석, 장문선 (2010). 자살생각과 관련된 부모와의 애착, 역기능적 신념 및우울간의 관계분석. 상담학연구, 11(2),571-582.
한동섭, 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8(4), 702-739.
Baechler, J. (1975). Origins of Capitalism. Oxford: Blackwell.
Beck, U., (2008a). World at Risk: the New Task of Critical Theory. Seoul : SNU.
Catalano, R. F., Berglund, M. L., Ryan, J. A., Lonczak, H. S., & Hawkins, J. D. (2002). Positive youth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findings on evaluations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programs. Prevention & Treatment, 5(1), 15a.
Chen, Y. Y., Wu, K. C. C., Yousuf, S., & Yip, P. S. (2011). Suicide in As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pidemiol Rev 34(1), 129-144.
Durkheim, E., (2008).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 (황보종우 역). 청아출판사.
Fairclough, N., (1995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don: Longman.
Fairclough, N., (2001). Language and Power, 2/e, London: Longman
Fairclough, N., (2003). Analysing Discours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Garret, P., & Bell, A. (1998).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London: Blackwell.
Knox, K. L., Litts, D. A., Talcott, G. W., Feig, J. C., & Caine, E. D. (2003). Risk of suicide and related adverse outcomes after exposure to a suicide prevention programme in the US Air Force: cohort study. Bmj, 327(7428), 1376.
Lane, C., (2007). Shyness: How Normal Behavior Became a Sickness. London: Yale
Lupton, D., (1997). Foucault and the medicalisation critique. Health and Medicine, 94-110.
Marsh, D., & McConnell, A. (2010). Towards a framework for establishing policy success. Public Administration, 88(2), 564-583.
McCombs, M., & Ghanem, S. I. (2001). The convergence of agenda setting and framing. Framing public life: Perspectives on media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ld, 67-81.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Oregon: Sage.
Nock, M. K., Deming, C. A., Fullerton, C. S., Gilman, S. E., Goldenberg, M., Kessler, R. C., McCarroll, J. E., McLaughlin, K. A., Peterson, C., Schoenbaum, M., Stanley, B., Ursano, R. J. (2013). Suicide among soldiers: A review of psycho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sychiatry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es. 76(2), 97-125.
O’Connor, S. (2013). Mental health in korea: OECD Review and Recommendation. OECD가 본 한국 의 정신건강 정책과제, 국제세미나.
OECD (2013a). Suicides, in OECD Factbook 2013: Economic, Enviromental and Social Statistics, OECD .
Rabinowitz, J., Bromet, E. J., Lavelle, J., Severance, K. J., Zariello, S. L., & Rosen, B. (2014).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insurance and care during the early course of psycho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5(10), 1392- 1397
Shneidman, E. S.. (1976). Suicidology: contemporary developments. New York: Grune Stratton
Shorter, Edward (1997). A History of Psychiatry: From the Era of the Asylum to the Age of Prozac, John Wiley & Sons (최보문 역, 2009, 정신의학의역사, 바다출판사).
Stack, S (2000). Media Impacts on suicide: A Quantitative review of 293 findings. Social Science Quarterly, 81(4), 957-971.
Stack, S. (1987). Celebrities and suicide: A taxonomy and analysis, 1948-2983.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3), 402-412.
Stack, S. (2003). Media coverage as a risk factor in suicid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7, 238-240.
Vasterman, P. L. (2005). Media-hype selfreinforcing news waves, journalistic standards and the construction of social problems.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4), 508-530.
Wodak R., & Meyer, M. (2001), 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don: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