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단축형 심리검사 개발의 측정학적 방법과 타당화: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를 중심으로

Psychometric Methods and Validation of Short Form for the Psychological Scale: Based on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1, pp.75-102
https://doi.org/10.22257/kjp.2019.3.38.1.75
서동기 (한림대학교)
이순묵 (성균관대학교)
김종남 (서울여자대학교)
최승원 (덕성여자대학교)
채정민 (서울사이버대학교)
정선호 (경희대학교)
조성경 (한림대학교)
김명기 (한림대학교)
Chad Ebesutani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집단 연구용으로 개발된 한국형 역기능우울(dysfunctional depression)척도 20문항을 이용하여 단축형 검사 5문항을 선별하고 타당화하였다.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단축형은 연구용 20문항 중 일부 문항(5문항)을 선별하여 제작된 것으로, 연구용 척도와 단축형 척도 모두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역기능우울척도는 역기능우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상우울의 상태가 심화되었거나 경우에 따라 일상우울에서는 없는 증상들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연구용 척도는 역기능우울에 대한 학술연구에서 집단수준에서의 추론을 위해 개발되었고, 단축형 척도는 주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개인의 역기능 우울 수준에 대한 신속한 진단을 위해 개발되었다. 즉 연구용 척도는 역기능우울에 대한 이론구축 및 관계구조 검증이 목적이 되고, 단축형 척도는 현장에서 개인의 역기능우울 상태를 신속하게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척도의 내적 구조 분석과 기준점을 이용한 분류정확성과 분류일관성 지수에 의해 검정이 되었다.

keywords
역기능우울척도, 단축형, 검사 개발, 타당화, 문항반응이론,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short form, development of scale, validation, item response theor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KDDS) and introduce methods for validation of the short form. The short form was developed by selecting five items from the original 20 items in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While the KDDS was developed to measure dysfunctional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group research, the short form was developed for the practical use at individual levels. The scale for academic study was developed to infer the dysfunctional depression at the group level. So the short form can be widely used by practioners in industries, organizations, clinical/counselling settings for quick screening of potential patients suffering from dysfunctional depression. We demonstr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by analyzing internal structure of the scale and providing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onsistency.

keywords
역기능우울척도, 단축형, 검사 개발, 타당화, 문항반응이론,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short form, development of scale, validation, item response theory

참고문헌

1.

강연욱, 김향희, 나덕렬 (2000).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 검사(K-BNT)의 병렬 단축형 개발. 대한신경과학지, 18(2), 144-150.

2.

김교헌, 권선중, 김세진, 이순묵 (2011). 저수준도박행동 연구를 위한 개념화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599-628.

3.

김종남 (2014). 한국형 우울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모형 설정. 2014년 한국심리학회연차대회 자료집(구술 발표). 8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한국심리학회.

4.

김종남, 이순묵, 채정민, 최승원, 서동기, 조철현, 최윤경 (2015). 문화반영적 우울모형 개발 및 그에 기반한 선별용 우울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보고서: 역기능-부적응 우울 예비문항 개발 보고서. 서울여대 산학협력단.

5.

김종남, 이순묵, 서동기, 최승원, 채정민 (2017). 한국형 역기능우울 검사의 사용자 교본. 서울여대 산학협력단.

6.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2017). 문화반영적 우울모형 개발 및 그에 기반한선별용 우울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일상우울 검사 개발 보고서. 서울여대 산학협력단.

7.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최윤경, 조철현 (2017). 한국형 역기능 우울 척도의 문항 개발 및 문항 분석. 한국심리학회: 건강, 22(4), 849-882.

8.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이헌정, 원은수 (2018).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硏究, 26(2), 103-114.

9.

김종남, 이흥표, 이순묵 (2011). 문제 도박의 조기탐지 및 대처를 위한 가족용 척도의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135-168.

10.

김지윤, 여성칠, 이순묵 (2009). 급내 상관과 일반화가능도 이론 간의 이론적 및 경험적 비교. 한국심리학회: 일반, 28(3), 659-686.

11.

김중술 (1999).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2.

김홍석, 최이순, 장요강 (2013). 단축형 사회적 문제해결 검사의 타당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3), 611-625.

13.

박정훈, 김율리, 황순택 (2016). 한국어판 단축형 성격신념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55(2), 103-113.

14.

송상욱 (2009).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를 이용한 민감도와 특이도 측정.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11), 841-842.

15.

유상우, 김영신, 노주선, 오강섭, 김찬형, 남궁기, 채정호, 이기철, 전성일, 민경준, 오동재, 주은정, 박현주, 최영희, 김세주 (2006). 한국판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타당도 연구. 대한불안의학회지, 2(1), 50-55.

16.

엄진섭, 박지은, 전하정, 정이내, 손진훈 (2017).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감성과학, 20(1), 95-104.

17.

이순묵 (1999). 대학생선발용 면접의 기능과 방법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2(1), 55-76.

18.

이순묵, 김종남, 채정민, 최승원, 서동기 (2018). 일상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3), 411-430.

19.

이순묵, 김종남, 최승원, 채정민, 최윤경, 서동기, 권호인 (2017). 우울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향: 행동과학적 접근의 도입.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 293-323.

20.

이순묵, 김교헌, 최용성, 이흥표, 김종남, 김수진, 권선중, 김세진, 김인혜 (2011). 한국형도박행동 H척도의 개발: 고수준 도박자대상의 연구용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053-1082.

21.

이순묵, 김종남 (2009). 도박중독 문제의 본질에 충실한 평가/진단 및 비율 산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26.

22.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현수, 유태용, 이도형, 임대열. (2001). 영역참조적 검사제작의 논리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305-325.

23.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2007). 인터넷 중독 진단방식의 전환: 규준참조평가에서 영역참조평가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213-238.

24.

이형초, 최윤경, 이순묵, 반재천, 이순영 (2007).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765-791.

25.

이주연, 유성은 (2017).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 (K-MEAQ)의 타당화 및 단축형(K-MEAQ-24) 개발. 인지행동치료, 17(2), 181-208.

26.

정송, 이순묵, 이영선, 이민수 (2011). MMPI 단축형 우울척도 개발-문항기반 요인분석의 사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811-830.

27.

조용래, 서동기 (2017). 수용과 행동 질문지 제2판(AAQ-II)에 대한 요인분석과 다분문항이론의 적용: 지역 사회 노인표본을 대상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3), 402-417.

28.

최승원, 이순묵, 김종남, 최윤경, 서동기, 채정민 (2018). 반응성 우울과 내인성 우울의 현대적 재개념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2), 211-224.

29.

Algina, J., & Crocker, L.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ew York:Holt, Rinedhart and Winston Inc.

3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SM-5.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1.

Angoff, W. H. (1971). Scales, norms, and equivalent scores. In R. L. Thorndike(Ed.), Educational Measurement (pp. 508-600). Washington, DC: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32.

Beck, A. T., & Beck, J. S. (1991). The personality belief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33.

Bock, R. D., Gibbons, R, Schilling, S. G., Muraki, E., Wilson, D. T., & Wood, R. (2003). TESTFACT 4.0 [Computer program and manual]. Lincolnwood,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34.

Butler, A. C., Beck, A. T., & Cohen, L. H. (2007). The personality belief questionnaireshort form: development and preliminary finding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1(3), 357-370.

35.

Cronbach, L. J. (1988). “Five perspectives on validity argument”. In H. Waine & H. I. Braun (Eds.) Test Validity, NJ: LEA. pp.3-17.

36.

Rizopoulos, D. (2006). ltm: An R package for Latent Variable Modeling and Item Response Theory Analyse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17(5), 1-25. URL http://www.jstatsoft.org/v17/i05/

37.

D’Zurilla, T. J., Nezu, A. M.., & Maydeu-Olivares, A. (2001).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Health System Inc.

38.

Embretson, S. E., & Reise, S. P. (2000). Item Response Theory for Psychologists. Mahwah: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

Evans, D. R., & Stangelang, M. (1971). Development of the reaction inventory to measure anger. Psychological Reports, 29(2), 412-414.

40.

Gamez, W., Chmielewski, M., Kotov, R., Ruggero, C., & Watson, D. (2011). Development of a measure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26, 35-45.

41.

Hathaway, S. R., & McKinley, J. C. (1943).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schedu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42.

John, O. P., Donahue, E. M., & Kentle, R. L. (1991). The Big Five Inventory Versons 4a and 5. Berkeley, CA: Institute of Personality and Social Research.

43.

Lee, W. (2007). Multinomial and compound multinomial error models for tests with complex item scoring.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31(4), 255-274.

44.

Lee, W. (2008). MULT-CLASS: A computer program for multinomial and compound-multinomial classification consistency and accuracy (Version 3.0). Iowa City, IA: Center for Advanced Studies in Measurement and Assessment, The University of Iowa.

45.

Little, R. J. A., & Rubin, D. B. (2002).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2nd ed.).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46.

Lunz, M. E., Bergstrom, B. A., & Wright, B. D. (1992). The effect of review on student ability and test efficiency for computerized adaptive test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6(1), 33-40.

47.

McGraw, K. O., & Wong, S. P. (1996). Forming inferences about som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Psychological Methods, 1(1), 30-46.

48.

Muller, M. P,, Tomlinson G, Marrie, T. J., Tang, P., McGeer, A., Low, D. E., Detsky, A. S., & Gold, W. L. (2005). Can routine laboratory tests discriminate betwee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nd other cause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0, 1079-1086.

49.

Muraki, E. (1992). A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Application of an EM algorithm.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6, 159-176.

50.

Muthén, L. K., & Muthén, B. O. (2011). Mplus User's Guide. Sixth Edition. Los Angeles, CA:Muthén & Muthén.

51.

Spitzer, R. L, Kroenke K, Willians, J. B., & L we, B. (2006).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 1092-1097.

52.

Stocking, M. L., & Lewis, C. (1998). Controlling item exposure conditional on ability in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23(1), 57-75.

53.

R Development Core Team (2008).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ISBN 3-900051-07-0, URL http://www.R-project.org.

54.

Rammstedt, B., & John, O. P. (2007). Measuring personality in one minute or less: A 10-item short version of the Big Five Inventory in English and Germa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 203-212.

55.

Reise, S. P., Morizot, J., & Hays, R. D. (2007). The role of the bifactor model in resolving dimensionality issues in health outcomes measures. Quality of Life Research, 16(1), 19-31.

56.

Samejima, F. (1969). Estimation of latent ability using a response pattern of graded scores (Psychometric Monograph No. 17). Richmond, VA: Psychometric Society. Retrieved from http://www.psychometrika.org/journal/online/MN17.pdf

57.

Sing T, Sander O, Beerenwinkel N., & Lengauer T. (2005). ROCR: visualizing classifier performance in R. Bioinformatics 21(20), 3940-3941.

58.

Spackman, K. A. (1989). “Signal detection theory:Valuable tools for evaluating inductiv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Workshop on Machine Learning. San Mateo, CA: Morgan Kaufmann. pp. 160-163.

59.

Takane, Y., & de Leeuw, J. (1987).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 response theory and factor analysis of discretized variables. Psychometrika, 52, 393-408.

60.

Walter, O. B., Becker, J., Bjorner, J. B, Fliege, H., Klapp, B. F., & Rose, M.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puter adaptive test for ‘Anxiety’(Anxiety-CAT). Quality of Life Research, 16, 143-155

61.

Weiss, D. J. (1985). Adaptive testing by comput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774-78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