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to Classify Spouse Insurance Homicide Offens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3, pp.347-376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47
허영록 (경기대학교)
이수정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현장은 대부분 우연한 사고로 인한 사망으로 위장되어 있기 때문에, 살인범죄 관점보다는 자연스러운 사망 현장으로 바라보기 쉽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는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범죄임으로 타 살인범죄와 달리 범죄현장 보다는 범행동기 및 범행단계별로 나타나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피해자 보호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배우자 보험살인 사례에서 나타나는 범행동기 및 범행단계별 특성에 근거하여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의 유형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에게 적합한 유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 범행특성과 범죄자 유형의 변화추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2017년 한국에서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로 적발된 51사건에 대한 언론보도, 수사기관 보도자료, 형사판결문 등을 수집하여 108개 특성변인에 대한 동질성분석(HOMALS)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는 외도형, 포식형, 빈곤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외도형 범죄자는 주로 내연관계 공범과 함께 범행 후 뺑소니 교통사고로 위장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포식형 범죄자는 주로 사회적 약자인 피해자를 물색 후 위장혼인과 동시에 보험에 가입하고 독극물로 살해 후 사고사로 위장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빈곤형 범죄자는 주로 생계형 궁핍에 좌절을 느껴 배우자와 자녀들을 연속살인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범죄자 유형 중 외도형 범죄자는 감소한 반면, 포식형 범죄자는 증가 추세에 있음이 관찰되었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예방을 위하여 증가추세에 있는 포식형 범죄자의 위험성에 주목하여야 한다. 포식형 범죄자는 사냥하듯이 피해자를 물색하여 위장 혼인관계를 맺은 후 보험금과 재산을 함께 노리고 살해하는 특성이 관찰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식형 범죄자에 대한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spouse insurance homicide offenses, criminal profiling, type classification, homogeneity analysis(HOMALS),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범죄 프로파일링, 유형분류, 동질성분석(HOMALS)

Abstract

The murder crime scene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is often mistaken for casual accident death, so it is easier to look at it as a natural death scene rather than a murder crime. As the spousal insurance related murder is a planned and long-term crime unlike other murd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tection plan for the victim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ve and crime stages rather than the crime scen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ied the types of homicide offend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motive and crime stage in the case of spousal insurance homic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 that is suitable for Korean murder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Secondly, it is to analyze trends of characteristics of crimes and types of criminal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homogeneity analysis(HOMALS) on 108 characteristic variables after we’d collected media reports, investigative agency press releases and criminal judgment sentences of 51 cases accused of homicide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in Korea from 2000 to 2017. As a result, Korean homicide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motive and crime stage characteristics: affair, predator, and poverty. In the affair type, the crime mainly was disguised as a hit-and-run traffic accident and both of them having an affair were related to the crime. The predator type offender mainly disguised the crime as an accident after the offender’d poisoned the victim. The victim was selected for the marriage and insurance application as the victim was socially weak. The offender from the poverty type mainly killed both the spouse and children after frustrated from the financial difficulties for daily living. Among the crime types, the predator type increased while the affair type decrease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risk of predator type increasing for the prevention of crime related to the spouse insurance. The perpetrator searches for the victim like hunting and kills the victim for the insurance death benefits and property after fake marriage.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predators were suggested.

keywords
spouse insurance homicide offenses, criminal profiling, type classification, homogeneity analysis(HOMALS),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범죄 프로파일링, 유형분류, 동질성분석(HOMALS)

참고문헌

1.

강은영, 박형민, 박현수, 조소연 (2008). 살인범죄의 실태와 유형별 특성. 형사정책연구원연구총서, 1-2.

2.

금융감독원 (2010). 보험범죄 형사판례집 2010. 12. 서울: 금융감독원.

3.

금융감독원 (2012). 보험범죄 형사판례집 2012. 12. 서울: 금융감독원.

4.

금융감독원 (2013). 보험범죄 형사판례집 2013. 12. 서울: 금융감독원.

5.

금융감독원 (2014). 보험범죄 형사판례집 2014. 12. 서울: 금융감독원.

6.

금융감독원 (2019). 2018년 보험사기 적발금액8천억원, 신고포상금 24억원.

7.

김경옥, 이수정 (2005).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연쇄살인 범죄의 유형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31-149.

8.

김경옥, 이수정 (2009). 범죄현장 행동에 근거한 방화범죄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4), 131-146.

9.

김영오, 윤종성 (2012). 범죄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51(2), 189-224

10.

김지선, 박지선, 최수형 (2009).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유형분류와 프로파일링. 보건복지부.

11.

노형진 (2011). SPSS를 활용한 분할표의 분석 및 대응분석. 서울: 학현사

12.

박지선. (2010). 성적 살인에서의 범죄현장 행동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법, 1(1), 1-20.

13.

박지선, 최낙범. (2013). 묻지마 범죄의 특성과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법, 4(3), 107-124.

14.

손지선, 이수정 (2007). 가족살해 가해자의 특성과 양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1-17.

15.

송윤아 (2011). 살인 및 자살을 동반한 보험범죄 예방 방안. KiRi Weekly 2011.8. 16., 10-12

16.

윤광균 (2012). 생명보험에서의 피보험이익과 보험살인에 대한 보험회사의 책임. 인권과정의: 427호, 6-23

17.

윤민우, 이수정, 최혜림 (2011). 국내 형사사법시스템에서의 심리학 및 행동과학 분야민간전문가 활용방안에 대한 정책제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137-153.

18.

이병희 (2001). 保險金目的殺人犯罪의 實態. 형사정책연구, 53-76.

19.

이수정 (2018). 최신범죄심리학(제 4판). 서울:학지사

20.

임준태 (2004). 강력범죄에서의 범죄자 유형분석기법 (Criminal Profiling) 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7, 1-38.

21.

장익진 (1998). 다차원 척도 분석법. 서울: 연암사.

22.

장인권 (2010). 보험범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23.

정홍주 (2005). 한국의 위험과 보험이야기. 서울: 문영사

24.

허경미 (2008). 범죄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5.

허영록 (2018).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 수사심리학회지, 4, 29-42

26.

허영록 (2018).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범죄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27.

KBS (2016. 5. 6). 13년만에 들통난 남편 청부살해극.

28.

渡橋健(2009). 近年の刑事裁判例にみる保険金殺人の動向とモラル・リスク対策. 保険学雑誌, 2009(605), 605_161-605_179.

29.

越智啓太, & 木戸麻由美. (2011). 大量殺傷犯人の属性と犯行パターン(1) 日本における大量殺傷事件の類型.

30.

Adjin-Tettey, E. (2014). Protecting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within the insurance regime:Opportunities to seek termination or variation of insurance contracts. Can. J. Fam. L., 29, 211.

31.

Beauregard, E., Rossmo, D. K., & Proulx, J. (2007). A descriptive model of the hunting process of serial sex offenders: A rational choice perspective.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6), 449-463.

32.

Black, H. C. (1990). Black' slaw dictionary. St. Paul, MN: WestPublishing.

33.

Borg, I., & Shye, S. (1995). Facet theory. Form and content, Vol. 5. Advanced quantitative techniques in the social sciences series. Thousand Oaks, CA/London/New Delhi:SAGE.

34.

Canter, D. (2004). Offender profiling and investigative psychology.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fender Profiling, 1, 1-15.

35.

Chriscoe, J. C. (2016). Murder for Life Insurance Money: Protecting the Children. S. Tex. L. Rev., 58, 173.

36.

Dalko, V. (2017). Unsafe insurance. Journal of Financial Crime, (just-accepted), 00-00.

37.

Derrig, R. A. (2002). Insurance fraud.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69(3), 271-287.

38.

Douglas, J., Burgess, A. W., Burgess, A. G., & Ressler, R. K. (2013). Crime classification manual: A standard system for investigating and classifying violent crime. John Wiley &Sons.

39.

Ganon, M. W., & Donegan, J. J. (2006). Self-control and insurance fraud. Journal of Economic Crime Management, 4(1), 1-24.

40.

Havenga, P. (2006). Murder for insurance: policy pays out. Fundamina: A Journal of Legal History, 12(2), 51-70.

41.

Kocsis, R. N., Cooksey, R. W., & Irwin, H. J. (2002). Psychological profiling of offender characteristics from crime behaviors in serial rape off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46(2), 144-169.

42.

Pinizzotto, A. J., & Finkel, N. J. (1990). Criminal personality profiling. Law and Human Behavior, 14(3), 215-233.

43.

Roberts, A. R., Zgoba, K. M., & Shahidullah, S. M. (2007). Recidivism among four types of homicide offenders: An exploratory analysis of 336 homicide offenders in New Jersey.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2(5), 493-507.

44.

Roberts, T. (2011). The use of credit scorecard design, predictive modelling and text mining to detect fraud in the insurance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 University).

45.

Salfati, C. G. (2001). The Nature of Expressiveness and Instrumentality in Homicide and its Implication ofOffender Profiling. Paper Presented at the 6th Investigating Psychology Conference, Liverpool, England.

46.

Salfati, C. G., & Grey, J. (2002). Profiling U.S. Homicid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 fthe American Society of Criminology, November, Chicago.

47.

Stake, R. E. (2000). Qualitative Case Studies. In D. a. Lincoln (Ed.), Qualitative Research (3rd ed., pp. 443-466): Sage.

48.

Yin, R. K. (2017). Case study research and applications: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