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참조적 응집성과 주제적 응집성이 덩이글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erential Coherence and Topical Coherence on Recall of Short Discours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4, v.4 no.3, pp.137-152
이정모(Jung-Mo Lee)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윤선희(Sun-Hee Yoon)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수연(Soo-Youn Kim)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통참조개념의 출현회수, 문장주제전개유형, 상위주제전개유형, 전체주제적 포괄적 짜임새 등의 변인이 덩이글의 응집성 형성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3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I에서는 공통참조개념 數가 많은 덩이글의 회상이 우세했고, 공통참조개념 數가 주제전개유형별로 통제되지 않았을 때는 (실험 II) 문장주제적 응집성이 강한 직선전개 유형의 덩이글이, 공통참조개념 數가 동일하게 통제되었을 때는 (실험 III) 상위주제적 응집성이 감한 위계전개유형의 덩이글이 더 잘 회상되었다. 동시에 포괄적 응집성이 강한 덩이글이 더 잘 회상됨이 실험 II에서 관찰되었다. 부호화時 정보처리의 용이성, 인출연습, 인출단서로의 활용등의 기제로서 이러한 응집성의 효과를 해석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coreferential ties, types of topical progression, and thematic coherence on recall of short discourses. In Experiment I, the dis­courses with greater number of coreferential ties were recalled better. When the type of topical progression were varied in two types; the linearly progressing type was recalled better if the number of core­ferential ties were not explicitly controlled (Experiment II), while the hierachically evolving type was recalled better if the number of coreferential ties were controlled equal across the types (Experiment III). Experiment II also showed that the discourses with greater thematic coherence were recalled better.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coherence is the key determinant of discourse compre­hension and memor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