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글 글자의 시각적 체제화

Visual Organization of Korean Letter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4, v.4 no.3, pp.153-170
이영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이판단 과제와 분류과제를 사용한 다섯 실험들을 통해서 한글 글자의 집단화의 성질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Garner (1978)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한 예언들과는 달리 한글 글자는 비록 자음과 모음의 이질 차원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집단화를 이루고 있고, 그 출현 속성들이 구성 성분인 자음 낱자와 모음 낱자의 지각 변별을 촉진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자음을 포함한 맥락들은 모음 낱자의 지각을 촉진하지만 자음의 지각은 모음 맥락에 의해 약한 촉진적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집단화는 고차수준의 인지과정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글자의 한 구성낱자에 선택적 주의집중하기가 두 낱자들에 분산된 주의집중하기보다 훨씬 용이하였다. 이 결과들은 한글 글자가 집단화되기는 하되, 또 이 집단화가 인접성에 의해 영향받기는 하지만, 그 강도가 그다지 강한 집단화가 아님을 시사한다. 한글 글자의 집단화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이 또한 밝혀졌고, 이들을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하였다.

keywords

Abstract

Using the oddity judgment and classification tasks, five experiments examined the nature of visual organization of Korean Geulja which is composed of a vowel and consonants. Contrary to the predic­tions derived from Garner's (1978, 1981) work on grouping, Korean Geulja, structured by stimulus letters of heterogeneous dimensions, is well grouped and its emergent features facilitate the perception of component letters. This is more so in the case of a vowel letter. Results also show that this grouping is not affected by high-order cognitive processes. Selective attention to a component letter in a Geulja is easier than distributed attention to all components, suggesting that Korean Geulja is moderately grouped. Several factors affecting visual organization of Korean letters into a Geulja were found. The present result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to previous studies on a selective attention approach to group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