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진로상담 및 직업심리학: 역할과 과제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psych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its role and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1, v.40 no.4, pp.511-538
https://doi.org/10.22257/kjp.2021.12.40.4.511
신주연 (인하대학교)
김태선 (아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진로상담 및 직업심리학의 역할과 과제가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의 세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개인과 사회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둘째, 개인과 사회는 변화하는 일의 세계에서 적응하고 나아가 변화를 주도하여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하여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현대적 관점의 진로상담및 직업심리학의 개념과 이론을 통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무경계 경력태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 구성주의 진로이론과 일의 의미 이론, 그리고 일의 심리학 관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기존 담론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주목해야 할 진로상담 및 직업 심리학의 주제들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과 사회적 맥락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기계발 현상의 잠재적 위험성을 포함하는 다각적 고찰을 시도하고, 일에서의 내면적 가치추구, 의미와 목적감 경험을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또한, 일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사회구조적 불평등 개선에 공헌하며, 일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통하여 일과 삶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것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keyword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reer Counseling, Work, Vocational Psychology, 4차 산업혁명, 진로상담, 직업심리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ole and task of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psych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 first addressed how the world of work has chang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how these changes have impacted individuals and the society. Second, we explored issues to consider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s’ lives and the society utilizing contemporary concepts and theories of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psychology. Specifically, we reviewe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constructivist career theories and meaningful work perspectives, and the psychology of working framework. Lastly, we reviewed the under-addressed aspect in the existing discourse and proposed themes and tasks that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psychology needs to further attend. We specifically discussed that the disciplines need to attend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and social contexts o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examine multifaceted aspects of self-development including its potential risk, and find strategies to help individuals experiences the higher sense of meaning and purpose in work in the changing world of work. We also discussed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discipline to contribute to improving structural social inequality through taking a more diverse and inclusive view of work and promoting a more integrative perspective on life and work by expanding the definition of work.

keyword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reer Counseling, Work, Vocational Psychology, 4차 산업혁명, 진로상담, 직업심리학,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