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용자 특성이 인공지능 수용성 및 인공지능 기반 제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er characteristic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eptability and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duc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1, v.40 no.4, pp.487-509
https://doi.org/10.22257/kjp.2021.12.40.4.487
김남희 (서울대학교)
최종안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용자 특성이 인공지능 기술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사용자 인식, 성격적 특성,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인공지능 기술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 지능 수용성의 경우 사용자 인식의 영향이 가장 중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 인식 중 인공지능 기기나 서비스를 유용하게 지각하는 정도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수용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에 대한 불안의 경우, 성격적 특성과 사용자 인식이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비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가지 성격 요인 중 개방성, 그리고 사용자 인식 중 의인화가 인공지능에 대한 불안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품 사용의도의 경우, 수용성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인식 중 쾌락적 동기와 사회적 영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인공지능 수용성, 의인화, 성격, 인공지능 불안, 인공지능 제품 사용의도, Artificial intelligence acceptance, Anthropomorphism, Personality, Artificial intelligence anxiety, Intention to use AI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ffect of user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effects of user percepti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ca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cceptability, the effect of user perception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expectan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or services and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losely related. For anxiety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openness and anthropomorphism among user perception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sers. In the case of product use intention, like acceptability, user percept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and hedonic motivation and social influen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among user percep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인공지능 수용성, 의인화, 성격, 인공지능 불안, 인공지능 제품 사용의도, Artificial intelligence acceptance, Anthropomorphism, Personality, Artificial intelligence anxiety, Intention to use AI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