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동기균형 척도와 균형지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Balance Index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1, v.40 no.4, pp.597-633
https://doi.org/10.22257/kjp.2021.12.40.4.597
박명준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세종충북센터)
신성만 (한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균형이론(신성만, 2017)을 측정할 수 있는 동기균형 척도 및 균형지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기 관련 선행연구와 개방형 질문지 분석을 통해 동기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예비문항을 개발했다.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n=353)에서 동기의 구성요소를 경험적으로 확인했고, 본조사(n=464)에서 타당화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동기균형 척도는 4요인(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이며, 각 하위요인마다 4문항씩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동기균형 척도 하위요인 총점 간 균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균형 척도 및 균형지수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keywords
Motivation, Balance, Scale, reliability, validity, index, 동기, 균형, 척도, 신뢰도, 타당도, 지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Balance Index that can measure the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Shin, 2017).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otivation and open questionnaire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motivation and develop preliminary questions. The components of motivation were empirically confirmed in a preliminary survey (n=353) of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and a vali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main survey (n=46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consists of 4 factors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and each sub-factor consists of 4 items, for a total of 16 items. In addi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 index was developed that can check the degree of balance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Balance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Motivation, Balance, Scale, reliability, validity, index, 동기, 균형, 척도, 신뢰도, 타당도, 지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