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코로나 대유행 시기 외로움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종단매개효과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4, v.43 no.1, pp.1-29
https://doi.org/10.22257/kjp.2024.3.43.1.1
정다송(Dasong Jung) (성균관대학교)
이동훈(Dong Hun Lee)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성인 1,434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대유행 시기 외로움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8개월 간격의 코로나 두 시점 종단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1차 설문은 2021년 2월 19일부터 3월 3일까지, 2차 설문은 2021년 10월 19일부터 11월 17일까지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2시점)은 외로움(1시점)과 삶의 만족(2시점)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로움(1시점)과 삶의 만족(2시점) 관계에서 우울(2시점)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2시점)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외로움(1시점)이 삶의 만족(2시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전염병 상황에서 외로움을 경험한 개인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는 데 있어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특성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개인의 낮아진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코로나 대유행 시기, 외로움, 삶의 만족, 우울, 지각된 사회적지지, 종단매개효과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9 to March 3, 2021,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 to November 17, 2021. First,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path through which loneliness directly affects life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loneli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individual’s lower life satisfac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conducting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ho experienced loneliness during the COVID-19 period.

keywords
COVID-19 Pandemic,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5-15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