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약호화-인출합치도와 그림재료의 응집성이 기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ncoding-Retrieval Compatibility and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Memor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5, v.5 no.1, pp.27-33
김정호(Jung-Ho Kim)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Bransford et al.(1977)의 기억검사는 약호화-인출합치도를 맞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총체지향적 약호화활동이 이루어진 총체집단에게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체지향적 약호화활동에 맞는 기억검사를 마련함으로써 Bransford 등의 응집성 있는 그림재료와 응집성없는 그림재료의 기억에는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the results of Bransford et al. (1977) that non-cohesive pictorial materials were better remembered than cohesive pictorial materials came from inappropriate compatibility between encoding conditions and retrieval conditions; a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hesive materials and non-cohesive materials in goodness of memory. These results suggest some points to be considered in studying the effects of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memor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