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인생의 단계와 그 연령기준 (1) - 청년기·중년기·노년기 그리고 취업 및 은퇴적령기에 대한 대학생과 노인의 지각비교 -

Life Stages and Their Onset Ages (I) - Perceptions of Onsets of Young Adulthood, Middle Age, and Old Age, and the Ages for Employment and Retirements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8, v.7 no.2, pp.127-139
윤진(Gene Yoo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20대의 청년과 60대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인생단계의 시작연령을 경험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전체 응답자 400명(대학생 및 노인 남.녀 각각 100명씩 )은 청년기, 중년기, 그리고 노년기등 세 가지 인생단계가 남녀 각각 몇세 부터 시작되는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응답자보다 노인응답자들은 세 가지 인생단계 모두가 좀 더 늦게 시작되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특히 여자웅답자들온 남자옹답자에 비하여 중년기가 더 늦게 시작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와같은 결과는 각 인생단계의 시작 연령이 자기가 현재 서 있는 연령에 따라 달리 지각되며, 또한 응답자의 연령이 많은 노인일수록 노년기의 시작연령을 더 늦추려는 동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아울러 취업적령기와 은퇴적령기에 대한 연령기준자료도 함께 제시되었다.

keywords

Abstract

Two-hundreds college students and two-hundreds senior citizens from a local senior citizen class(total 400 respondents) were asked to decide, the onset ages of the three life stages, - young adulthood, middle age, and old age (manhood and womanhood, respectively) and the appropriate ages for employment and retirements. Data had shown that older respondents tend to delay the onsets of the middle age and old age comparing with the younger respondents. This means the older people have motivation to be treated younger and evade the social stereotype toward the old ages. In addition to that, the appropriate ages for employment and retirement were evaluat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8-10-05
수정일Revised Date
1988-12-0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